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 맛있는 김치찌개의 비밀
--------------------------------------------------------------------------------
뜻밖의 비결, 김치찌개
김치찌개는 김치만 맛있으면 무조건 맛있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김치를 더 감칠맛 나게 하는 비장의 부재료와 양념도 있다는 사실.
맛있는 김치찌개라도 늘 같은 건 싫다. 매일매일 달라지는 김치찌개 레시피.
......................................................................................................................................
<배추김치>
가장 흔히 끓이는 재료. 상에 올렸던 김치는 다른 통에 따로 모았다가 찌개를 끓이도록. 원래의 김치를 늘 싱싱하게 먹을 수 있다.
<총각김치>
총각김치로 끓인 김치찌개는 구수한 맛이 특징. 잘 익어서 신내가 나는 것일수록 구수한 맛이 더하다.
<깍두기>
깍두기가 충분히 익을수록 맛이 나는 깍두기 김치찌개. 깍두기가 푹 무르도록 은근한 불에 오래 끓이는 것이 포인트.
<우거지 김치>
우거지는 절여서 고춧가루와 소금을 약간 뿌려 김장김치 위에 덮어두었다가 쓴다.
<말린 무청>
비타민과 섬유질이 많은 무청은 겨울철 실속 있는 별미. 쓴맛이 있으므로 삶아 찬물에 담갔다가 사용한다. 질기기 때문에 참기름 1큰술이나 돼지기름을 함께 넣는 것을 잊지 않도록. 기름 때문에 김치가 부들부들해진다.
--------------------------------------------------------------------------------
김치찌개와 어울리는 부재료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돼지고기>
기름이 붙어 있는 삼겹살이 가장 적당한 부위. 기름이 있어야 김치가 부드러워지고 국물이 구수해지기 때문. 냉동고기보다는 두툼하게 썬 생고기가 맛있다. 누린내가 염려된다면 맨 나중에 후춧가루를 약간.
<참치 통조림>
참치 통조림은 국물을 쪽 빼서 끓이기도 하는데 국물까지 넣으면 국물이 더 진해지고 담백해진다. 참치통조림은 배추김치와 가장 잘 어울린다. 참치를 넣었을 때는 설탕을 약간 넣도록, 더 맛있다.
<스팸 >
김치찌개에 다른 햄을 넣으면 누린내가 나고 김치의 맛이 죽는다. 돼지고기를 잘게 다져 양념한 제품인 스팸을 넣을 것. 스팸은 오래 끓이기보다는 김치가 반쯤 익었을 때 얇게 썰어 넣고 잠깐 끓여 담백하게 즐긴다.
<가래떡>
김치찌개에 잘 어울리는 재료가 가래떡, 라면, 불린 당면 등. 국물이 걸쭉해지고 진해지므로 김치 국물을 한 국자 더 넣어 진하게 끓이는 것이 포인트.
<버섯>
표고, 팽이가 가장 어울리는 재료. 버섯은 푹 익으면 맛없다. 맨 나중에 넣도록.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 등을 넣어 따로 매운 양념장을 만들어서 넣어주어야 국물이 싱거워지지 않는다.
<어묵>
어묵은 더운 물을 한번 끼얹어 표면의 더러움을 씻어낸 다음 사용할 것. 오래 끓이면 국물이 텁텁해지므로 찌개가 반쯤 익은 다음에 넣는다. 고춧가루를 넣어 끓여야 제 맛이 난다.
--------------------------------------------------------------------------------
맛좋은 김치찌개를 위한 tip
1 .<고추장 1큰술이 비밀>
김치찌개에 왠 고추장이냐고 하겠지만 국물이 약간 진해지면서 달착지근한 맛을 낸다. 많이 넣으면 텁텁해지므로 주의할 것.
2 .<김치맛이 가장 중요, 양념 많이 넣은 김치가 최고>
김치찌개용 김치는 새우젓과 마늘, 파를 듬뿍 넣어 푹 익힌 김치여야 한다고. 찌개를 끓일 때도 맛을 강하게 하기 위해 대파와 다진 마늘을 더 넣는다. 김치 국물도 빼놓지 않고 넣는다.
3 .<시지 않은 김치에는 식초 1큰술>
식당 김치찌개 맛의 비밀은 푹 익어 신 김치. 하지만 그런 김치가 없을 때는 식초 1큰술을 넣어 신맛을 내 준다. 신 김치와 같은 맛을 낸다.
4. <센 불에 우르르>
모든 재료를 한번에 넣는 대신 센 불에 강하게 끓여 김치가 사각사각 씹히게 한다. 물은 김치 양만큼만. 돼지고기는 김치 밑에 까는데, 김치보다 먼저 익으면서 국물맛을 내기 위한 것
--------------------------------------------------------------------------------
바쁘신 분들을 위한 맛짱 후딱 김치찌개의 비밀
1 .<식용유나 참기름에 볶자>
어떤 기름에 볶아도 좋다. 맛이 더 깊어지는 효과도 있지만 시간이 없을 때는 먼저 센 불에 확 익힌 다음 물을 부으면 물만 끓고 나서 먹어도 은근한 불에 오래 끓인 것처럼 맛이 깊다.
2 .<두 번 끓여야 맛있다>
김치찌개는 약한 불로 은근히 1시간 정도 푹 익혀야 하지만시간이 없으니 이것을 두 번에 나눠서. 한 번 센 불에 우르르 끓인 다음 불을 끄고 다른 일을 한다. 먹기 직전 다시 다시 센 불에 5분 정도 끓이면 찌개가 걸쭉하고 단맛이 강해진다.
3. <전자레인지에서 김치찌개 끓이기>
그릇에 김치, 들기름, 양념을 넣은 다음 물을 붓고 랩으로 덮어 전자레인지에 넣는다. 물은 김치 양의 1/2정도만. 전자레인지에서 5분 정도 돌리면 간편한 김치찌개 완성.
4 .<양파, 고추를 넣어라>
양파는 단맛을, 고추는 칼칼한 맛을 낸다. 양파와 청양고추만 썰어 넣으면 깔끔하면서 매콤한 찌개 완성.
--------------------------------------------------------------------------------
김치찌개 레시피
<물 대신 사골 국물로, 영양 만점 사골 국물 김치찌개 >
재료: 배추김치 150g, 사골 국물 3컵, 쇠고기(양지머리) 100g, 다진 실파 4큰술, 다진 마늘 1큰술, 소금· 후춧가루 약간씩
1. 배추김치를 물에 씻는다 사골 국물에 끓일 때는 배추김치를 물에 씻는다. 그래야 사골 국물의 맛을 더 진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
2. 소금으로 간을 한다 간은 소금으로. 후춧가루를 넣어주어야 먹고 나서도 텁텁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건 취향.
3. 사골 국물을 넣어 진하게 하지만 국물 양 모두를 사골 국물로 잡으면 맛이 너무 짙다. 물과 1 대 1로 섞는 것이 좋다.
----------------------------------------------------------------------------------------------
< 멸치와 함께 볶아, 뒷맛 깔끔 멸치 김치찌개 >
재료 :배추김치 200g, 멸치 50g, 양파 1/2개, 참기름·다진 마늘 1큰술씩, 물 2½컵, 대파 1/4뿌리, 소금 약간
1 .김치를 물에 씻는다 양념 맛이 강하면 구수한 맛이 덜하기 때문. 물에 살짝 양념만 씻어 끓이면 구수한 맛이 더 잘 난다.
2 .멸치를 처음부터 넣는다 국물용 멸치는 머리와 내장을 떼어내고 먼저 마른 팬에 바짝 볶아 비린 맛을 없애야 한다. 처음부터 김치와 함께 참기름에 볶는다.
3 .설탕 대신 양파로 단맛 내기 . 신 김치에는 신맛을 없애려고 설탕을 넣는데, 설탕 대신 양파를 넣어주는 것
--------------------------------------------------------------------------------------------
<멸치 두부 콩나물>
아주 시어버린 김치에 가장 어울리는 재료. 김치를 물에 대충 씻은 다음 국물용 멸치와 함께 들기름에 볶은 다음 물을 자작하게 붓고 끓인다. 멸치는 3~4마리면 적당.
김치가 모두 끓고 난 다음 맨 마지막에 두부를 넣을 것. 두부는 소금간을 한 다음에 넣어야 밍밍하지 않고 잘 부서지지도 않는다. 김치를 따로 볶을 필요없이 냄비 바닥에 콩나물을 먼저 깔고 김치를 올린 다음 물을 붓고 끓인다. 뚜껑을 열고 끓여야 비린 맛이 나지 않는다. 시원하고 얼큰한 김치찌개를 맛볼 수 있다.

1. 김혜경
'04.4.2 6:05 PM우와!! 김치찌개 완전정복이 가능해졌군요!!
2. 주노미
'04.4.2 6:06 PM저 식당 차리러 가요 :::::33
김치찌개 전문점이요.
맛나게 잘보고 가요.3. 로로빈
'04.4.2 6:15 PM와, 김치찌개란 정말 언제 봐도 또 먹고 싶어지는 메뉴같아요...
왜 그렇게 맛있는 건지..
전 저희 집 들어갈 때 경비실에서 항상 식사 때마다 멸치 김치찌개 혹은 청국장 냄새가
나거든요. (아저씨들이 취사를 해서 드시나봐요.) 그 때 마다 왜 그렇게 그게
먹고 싶은지.. (주책이죠?) 아마 아저씨들도 매일 해서 드시니까 이골이 나셔서
너무 잘 끓이시나봐요. 냄새는 ... 거의 죽입니다, 죽여요...4. 키위
'04.4.2 6:23 PM82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얻고 살림하고 요리하는데 재미를 붙이고 있답니다.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신다면 좋겠어요. 리플 감사해요..5. 키위
'04.4.2 6:25 PM글제목앞에 별표는 무엇이죠? 내가한거 아닌뎅..
6. 물안개
'04.4.2 7:12 PM저 지금 탄력받아서 김치찌개 끓이고 있어요.
돼지고기 넣고 끓이는데 나중에 후추 좀 넣어 볼라구요.
좋은 정보 감사해요.
로로빈님. 저희 아파트 경비실에도 그런 냄새가 난다는...
배고플땐 저도 막 먹고 싶어지던걸요. 주책이라기보다 본능이라고 생각하면셔...7. 황마담
'04.4.2 7:59 PM고정관념을 깬 김치찌개........
재료 바꿔 가며 열쉬미 끓여봐야겠네요~~~~~~~감사^^8. 2004
'04.4.2 8:11 PM중요한거니까 꼭 보라고 별표 붙여 주신거 같은데요 ^^
9. ...
'04.4.3 1:07 AM그런데, 키위님, 제가 딴지를 거는것은 아니지만,
위의 자료를 어디서 가져오셨는지는 말씀하셔야지요.
본인이 정리한 자료가 아니라면, 적어도 어디서 펐다는걸 밝혀야,
원글 쓴 사람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요?
저는 옛날 어떤 잡지에서 그 기사를 읽은 기억이 있습니다 (5천만의 김치찌개도 같군요).
죄송합니다..
저의 지적이 님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10. 블루스타
'04.4.3 2:30 AM전 김치찌개 맛이 아무리 해도 안나더라구요.,
원래 모든 음식에 조미료를 안넣는데 김치찌개만은 조미료를 살짝 넣어줘야 먹을 만 하더라구요. 잘 참고할께요. 감솨~!!!!11. 키위
'04.4.3 8:57 AM...님 ..저희 언니가 제게 물려준 레시피 스크랩북에서 발췌해서 올린글이예요..
사실 강제로 뺏어왔죵...ㅋㅋㅋ(자수합니당..)
A4 용지에 프린트된 거라서 어디 출처인지는 모르겠구요..
유용한 정보가될거 같아서 올린건데..만약 잡지에 실린 내용이었다면 어느잡지인지 모르지만
그 기자분께 감사해야 겠네요..
하지만, 넘쳐나는 자료중에 모두가 반길수 있는 자료를 찾아내어 올리는것도 좋은거라고 생각해요..항상 출처를 아는것도 아니고요.. 아마 이 기사를 쓰신 분도 기뻐하지 않을까요?
암튼 김치찌개 맛나게 해먹고 삽시다..12. 커피앤드
'04.4.3 9:23 AM좋은 정보 넘 감사드립니다. 제가 82쿡을 눈이 오나 비가 오나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이유,,,충분합니다.^^
13. 열쩡
'04.4.3 10:53 AM키위님, 아주 유용한 정보가 담긴글에는
혜경샘님이 별표를 붙여주신답니다
저두 참고해서 맛나게 끓여먹을께요14. 홍차새댁
'04.4.3 12:25 PM이런방법이....
15. yozy
'04.4.3 2:41 PM키위님!
수고 많으셨어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추천 |
---|---|---|---|---|---|
3715 | 만원으로 두집 배루르게 한끼 먹기 9 | 김새봄 | 2004.04.04 | 3,653 | 10 |
3714 | 돼지고기 콩나물찜의 바다버젼 7 | Ranhee | 2004.04.04 | 3,296 | 10 |
3713 | 아몬드 파르페 8 | june | 2004.04.04 | 2,139 | 12 |
3712 | 햇살가득 봄날 여유로운 커피한잔~ 8 | maus | 2004.04.04 | 2,244 | 7 |
3711 | 주말의 브런치 '오리엔탈 파스타'- 7 | june | 2004.04.04 | 3,145 | 12 |
3710 | 당면뿐인 잡채 10 | 더난낼 | 2004.04.04 | 3,612 | 10 |
3709 | 주말의 명화와 함께하는 계란채소말이 12 | 프림커피 | 2004.04.04 | 2,447 | 4 |
3708 | 잠원동 트럭마차 떡볶이 49 | 현준맘 | 2004.04.03 | 5,074 | 3 |
3707 | 엘리~♡의 게으른밥상~~ 9 | 엘리~♡ | 2004.04.03 | 3,392 | 24 |
3706 | 구수한 냉이국 12 | 강금희 | 2004.04.03 | 2,504 | 2 |
3705 | 주말엔 밥을 안한다 – 피자 8 | 밴댕이 | 2004.04.03 | 3,025 | 10 |
3704 | 스위트 칠리소스 맹렬히 쓰는 법에 보태기... 7 | 뽀로로 | 2004.04.03 | 2,799 | 2 |
3703 | 찌라시 스시 4 | sca | 2004.04.03 | 2,323 | 28 |
3702 | 해물치즈 스파게티 & 아라레 님께 바치는 그릇사진 12 | 아이스커피 | 2004.04.03 | 2,775 | 5 |
3701 | "돼콩찜"을 응용했어요. 5 | 1004 | 2004.04.03 | 4,378 | 245 |
3700 | [re] 혜경샘님 도와 주셔영^^;; 1 | 김흥임 | 2004.04.03 | 1,950 | 30 |
3699 | 주말엔 곱창에 쇠주 한잔 어때여? 7 | 김흥임 | 2004.04.03 | 2,889 | 12 |
3698 | 냉면 비빔장 오장동냉면 양념장 8 | 빅젬 | 2004.04.03 | 16,481 | 3 |
3697 | 고추기름 만들었어요 4 | 구경꾼 | 2004.04.02 | 2,052 | 8 |
3696 | 반갑습니다 2 | 레이첼 | 2004.04.02 | 1,799 | 95 |
3695 | 정확한 레시피 부탁 드려도 될까요? 5 | 홀리걸 | 2004.04.03 | 1,760 | 158 |
3694 | ^^ 요구르트 만들기 대성공!! 13 | 키세스 | 2004.04.02 | 2,812 | 3 |
3693 | 주말에 뭘 먹지? 8 | 경빈마마 | 2004.04.02 | 3,109 | 3 |
3692 | 해초샐러드와 오이김치 4 | 푸른하늘 | 2004.04.02 | 2,708 | 3 |
3691 | 골뱅이 튀김을 아시나요? 11 | 복사꽃 | 2004.04.02 | 2,109 | 10 |
3690 | 다시마의 화려한 부활..ㅋㅋ 6 | cheese | 2004.04.02 | 2,700 | 11 |
3689 | ★ 맛있는 김치찌개의 비밀 15 | 키위 | 2004.04.02 | 6,037 | 2 |
3688 | 커피 버터떡 만들어 보아요 6 | 쫑아 | 2004.04.02 | 2,474 |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