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무가 많은데 보관을 어떠케 하죠?
장이 안좋아서 무를 많이 먹으려
고요.
1. ....
'11.1.27 11:33 AM (121.134.xxx.110)베란다에 항아리 놓고 보관하면 좋다고 하던데요..
항아리 구하기가 좀 그렇겠죠?2. 무우보관은
'11.1.27 11:35 AM (122.34.xxx.188)랩으로 두어번 감아서 주방 한쪽에 박스안에 개봉해두고 먹고잇습니다
싹 나는곳은 공기 없게 잘 밀착 시켜야 싹 안납니다
보름쯤은 꺼떡 없더군요3. win0416
'11.1.27 11:36 AM (113.43.xxx.154)잘라서 말려주세요 아주오랫동안 보관가능합니다 요즈음처럼 추우면 더욱 빨리 말라서 보관시
좋습니다 ㅎㅎㅎㅎㅎㅎ 그런일은 싫어하시나?ㅎㅎㅎㅎㅎㅎㅎ4. 좋아요
'11.1.27 11:36 AM (116.36.xxx.75)항아리 좀 힘들어요^^;;
5. 4711
'11.1.27 11:36 AM (118.221.xxx.246)플라스틱통 밀폐 잘되는 통에 넣어 두세요.
공기들어가면 무우에 바람들어서 못먹어요.6. 저
'11.1.27 11:41 AM (220.89.xxx.135)무를 신문으로 하나씩 사서 스치로폼 박스에 보관하면 오래갑니다
박스는 꼭 닫아 두어야 해요
가끔씩 열어보고 신문이 많이 젖었으면 마른걸로 바꿔 싸서 둡니다
그렇게 베란다에 두니 가장 좋은 방법이었어요7. 저는..
'11.1.27 11:42 AM (58.141.xxx.95)아무 생각없이 비닐에 넣어 베란다에 아주 오랫동안 뒀다가
어제 반찬해서 먹었는데요..
아무 이상 없더라구요..^^;8. 신문지!
'11.1.27 11:44 AM (152.99.xxx.103)신문지로 하나씩 싸서
서늘하고 볕없는곳에 보관해야한다고
엄마가그러셨어요 ..ㅎㅎ9. 저님
'11.1.27 11:44 AM (180.64.xxx.147)말씀대로 하나씩 신문지에 싸서 아이스박스 없으면 그냥 종이 박스에라도
넣어서 다용도실 같은 곳에 두고 드세요.10. 엔지니어님~
'11.1.27 11:47 AM (203.247.xxx.210)저는 안해봤지만...이렇게 하신다네요
http://blog.daum.net/engineer66/837045211. 저도
'11.1.27 12:57 PM (121.187.xxx.98)저님.. 말씀대로 합니다.
원래 시골에선 땅을 파고 캔 무를 그대로 묻어 둡니다..
수분을 유지하려구요..
무는 오래 보관이 가능하지만 수분이 날라가면 말 그대로 바람난 무가 됩니다..
참, 얼어도 절대 안되구요..
해서 신문지에 싸서 햇빛을 보지 않도록 사과박스나 스치로폼에 넣어 그늘에 보관하심 됩니다.12. ..
'11.1.27 1:11 PM (124.54.xxx.32)랩에 씌워서 냉장고 야채칸에 넣으면 한달도 끄떡없습니다. 윗분말씀처럼 공기빼서 숨쉬지않게-야채가 호흡을 하면 금방 상하거든요- 보관하세요
13. 여기서 배운방법
'11.1.27 2:32 PM (175.114.xxx.13)입니다.작년에 성공해서 검증된 방법입니다.
비닐로 3번싸서 마지막은 공기 쫙 빼서 매듭을 지어서 무가 땅속에 있던 모양대로 아이스박스에 담아서 뒷베란다에 놔두면 김장철부터 시작해서 2월말까지는 끄덕없어요.
저는 텃밭에서 나온 무를 저장해서 겨우내 해 먹어요..
11월 말에 넣어둔게 꺼내면 아직도 아삭하고 물이 많아요.
올해는 추워서 더 오래도 갈것 같아요.14. 경험
'11.1.27 5:45 PM (220.89.xxx.135)위에 신문지 싸서 스치로폼 박스에 보관한다고 글 썼는데
경험으로 보면
시골에서 김장때 겨울내 먹을 무 가져옵니다
그냥 큰 비닐봉지에 밀봉해서 담아 두었던 경우.,, 설날지나니 썩기 시작한게 있음
신문지에 싸서 그냥 상자에 담아 둠..... 설날 지나니까 썩지는 않으나 바람든것 많아짐
그래서
위에 쓴데로 신문지 싸서 스치로폼박스에 담아 둡니다
설 전에도 제사 있고 음력2월에도 제사가 있어서 그때까지
보관 잘해야 되는데 이 방법이 제일 좋았어요
가끔 하나씩 꺼내서 먹을때 습기로 많이 젖은것은 다시 싸 둡니다
냉장고에 1.2개 비닐봉지에 담아 야채실에 둔것도 괜찮지만
겨울내 먹을려는 많은 양은 냉장고 넣을수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