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30대중반 여자가 도전해볼만한 일이 뭐가 있을까요?
전 지금 딱 35인데... 다시 뭔가 도전해서 시작해볼까합니다...
그런데 뭘해야할지...정말 고민이네요...
한 1,2년 죽어라 도전해서 할수 있는 일이 뭐가 있나요?
물론 취업이 가능한 일이었음 좋겠구요....
평생 할수 있는 전문직이었음 더 좋을듯하구...
여러분들의 의견이나 노하우를 조심스레 물어보려구요...
참고로...여기는 대구입니다....^^
1. 추억만이
'09.1.6 4:26 PM (61.104.xxx.162)국민자격증 공인중개사부터 시작해서 이것 저것 할게 많긴 하더군요
디지털대학 쪽도 한번 알아보세요2. 저도
'09.1.6 4:32 PM (58.120.xxx.206)이제 서른다섯? 넷? ㅋ 나이도 잊고 싶어지는 때인것 같아요. 애 키우느라 몸은 몸대로 힘들고요. 여튼 화이팅예요. 저도 고민중이거든요. ^^ 화이팅!
3. 저도
'09.1.6 4:34 PM (211.212.xxx.150)지금 직장도 직장이지만 세무사 공부 해볼까 싶기도 해요
이 일은 나이 든다고 뒤처지는 게 아니라 나이 들수록 경력관록으로 대접도 받고 여자라고 차별 받을 일도 없고...4. 고민녀
'09.1.6 4:40 PM (116.36.xxx.52)제 친구가 세무사 공부 하고있는데요...
완전 기초부터...
근데 엄청 힘들어하던데...
원래 공부를 안하던 친구가 한다고 하는데...자극이 되더라구요...
그 친구처럼 뭔가 저도 도전해보고 싶은데...지방이라 그런지 학원도 별루 없구 고민이네요....ㅠㅠ5. 아는사람
'09.1.6 4:45 PM (124.57.xxx.78)죽어라 공부할 결심이 있으시다면...
혹시 이과계열 공부를 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약사나 한의사 공부에 다시 도전해 보심이 어떨지요. 아는 사람이 학원 열심히 다녀서 편입시험 보고는 약대에 들어갔더군요.
뒤늦게 넘 신나고 재밌다고 하던데요^^.
혹시 사대출신이시거나 교직과목 이수를 하셨다면, 일정 과목만 추가로 대학강의 좀 더 들으시고, 임용고시 준비는 어떨까요?
제 친구도 매진중입니다^^;; 지금 40대 초반^^.
30대 중반이라면 저는~~ (넘 행복하네요, 상상만 해도)전공을 바꾸어서 편입시험으로 학교 들어가 새로운 분야를 공부하고 싶네요.6. 공인중개사
'09.1.6 5:52 PM (211.195.xxx.24)08년도에 공인중개사 일차시험합격한 45세 입니다.공인중개사 추천할만합니다.현재여기저기 공인중개사무소가 난립이 되어있지만..앞으로 차차 그 숫자가 정리될것으로 보이고..점점 전문화되어가는 추세입니다.시험 합격생의 연령은 점점 젊어지고 있지요.시험은 해가 갈수록 점점 어려워지고..거의 고시수준으로 공부해야합니다..인터넷으로 공부해도 되구요..도전하시면 무지 열심히 하셔야 해요^^
7. 여성
'09.1.6 8:40 PM (221.139.xxx.213)8. 한국
'09.1.6 8:41 PM (221.139.xxx.213)9. ^^
'09.1.6 10:43 PM (222.237.xxx.19)저도 올해 35살인데 반가워요 ^^
작년에 아기 임신하고 2009년 8월에 약학전문대학 시험 준비 시작했는데 출산하고 나니 공부하기 힘드네요.
그래도 뭐든 첫해가 젤 기회가 많은 거 같아서 올해 가을부터는 친정에 아기 맡기고 바싹 공부하려구요.
이과 나오셨고 화학, 생물에 감각 있으시면 약학전문대학 추천드려요.10. 지역이 어디신지.
'09.1.7 12:11 AM (125.177.xxx.151)저는 무려 37세구요. 저도 2막 준비하려고 고민중이에요. 로스쿨 낙방 이후 사대편입, 약대편입 또는 약학전문대학, 교대입학 등등을 생각중이에요. 남편은 영 탐탁치 않아 하지만, 인생 길~~잖아요.
11. ...
'09.1.7 2:26 AM (211.175.xxx.30)로스쿨은 별로 추천해드리고 싶지 않아요.
이미 변호사 포화상태인데다가, 2016년까지던가요? 사법 고시가 존재합니다.
올해부터 시작되는 로스쿨의 졸업생은 2011부터 쏟아져나오는데, 변호사 시험은
어떤 식으로 나올 것인지도 문제고,
실제로 로스쿨 시험의 당락 여부도 연령과 전공, 그리고 출신 학교가 아주 크게
작용을 했습니다. 물론 아직 한번밖에 진행이 안되었으니 확실하지는 않지만,
비법대도 많이 합격했다는 말을 합니다만, 실제로 수험생 중 법대생의 비율이
약 30~40%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법대생은 합격을 했다고 봐도 무방할 수치입니다.
차라리, 약대가 어떠실까 싶습니다만...12. ...
'09.1.7 2:27 AM (211.175.xxx.30)쓰다보니 틀렸네요. 로스쿨 입학 자격 시험의 성적 보다는 출신 학교와
연령, 전공이 더 중요하게 작용했다는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