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오후 서울 송파구 가락동의 ㅌ정육점.
쇠고기 원산지 표시 실태를 점검하러 나선 농산물품질관리원 서울사무소 단속반이 냉장고 안에서 뉴질랜드산 목심을 발견했다. 진열대에서는 보이지 않던 것이다.
이 고기의 용도를 묻는 단속반의 질문에 업주는 “근처 회사 식당에 단체 급식용으로 납품하는 물량”이라고 말했다. 단속반이 식당에 전화를 걸어 어떤 고기를 샀는지 물어봤다. “한우를 샀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뉴질랜드산 쇠고기를 한우로 속여 팔아온 것이다.
거래명세표에도 원산지 표시가 빠진 ‘정육류’로만 표기돼 있었다.
업주는 그 때서야 “급식 등 대량 판매처를 잡기 위해 수입 쇠고기를 한우로 팔았다”면서 “일반 한우보다 싼 값에 물건을 대주기 위해서는 그 방법밖에 없다”고 실토했다.
미국 쇠고기 수입이 점점 가시화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의 잘못된 협상 때문에 광우병 위험이 있는 쇠고기를 먹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런 위험을 피하려면 미국산 쇠고기는 안 먹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실제 유통 과정에서는 원산지 표시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미국산이 수입될 경우 골라먹는 방법이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오후 1시에서 6시까지 단속반이 조사한 송파구 일대 6개 업체 중 1곳이 농산물품질관리법상 원산지 표시위반으로 적발됐다.
20일에도 가락동의 ㅎ할인마트 내 정육점이 수입 쇠고기와 사골을 국내 명품 한우인 것처럼 팔다 단속됐다.
국립농수산물품질관리원이 지난해 적발한 쇠고기 원산지 허위표시 업체는 전국에서 1723곳이었다. 올해(5월19일 기준)는 벌써 769건이 넘었다. 또 지난해 총 2651업체가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은 쇠고기를 팔다 적발됐고, 올 들어서도 지금까지 663건이 단속됐다.
단속 과정에서 만난 쇠고기 판매 업체들은 “소비자들이 원하지 않는 한 미국산 쇠고기 판매를 시작하지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원산지를 속이는 일이 많다는 사실은 부인하지 못했다.
송파구 거여동 ㄷ마트 관계자는 “단속반이 자주 오는 평일에는 뜸하지만 손님들이 많아지는 저녁 시간대나 주말에는 한우로 표시된 수입 쇠고기를 진열하는 경우가 많다”며 “일반 산매도 문제지만 식당이나 급식으로 들어가는 쇠고기 관리는 훨씬 허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를 단속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현재 서울 25개 지역을 담당하는 농산물품질관리원 직원은 총 18명에 불과하다. 서울지역내 3만여개의 슈퍼마켓, 대형 마트와 백화점 등이 모두 이들의 관할지역이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지역자치단체, 한우협회 등과 원산지 합동단속을 늘리고는 있지만 모든 업소들을 상시 단속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여기에 다음달 22일부터 규모 100㎡ 이상 음식점에 대한 쇠고기와 쌀의 원산지 의무화가 확대되면 일손은 더 달릴 수밖에 없다.
품질관리원 안동윤 팀장은 “원산지 단속은 일일이 발품을 팔아 육안으로 검사하는 작업이 중요하다”며 “소비자들은 소비가 몰리는 주말을 피해 육류를 구입하고, 마블링(쇠고기 지방층)이나 떡심(힘줄덩어리)에 핏물이 많이 스며들었을 경우 수입 쇠고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보미기자 bomi83@kyunghyang.com>
-----------------------------------
예상대로지만, 정말 대책없는 이 유통시스템에서
그래도 돈만 속고 먹는 한우대신 뉴질랜드산은 그나마(?) 다행이겠지만
나중에 미국산은 어찌 해야 되나요?
진짜 고기를 끊어야 하나요...ㅠ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진열대선 '한우' 창고엔 뉴질랜드산
기사 조회수 : 623
작성일 : 2008-05-21 11:59:40
IP : 218.48.xxx.186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
'08.5.21 12:15 PM (219.254.xxx.85)정말 그나마 다행이네요.. -_-;; 이런일이 이제 비일비재하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