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비오는 수요일,피사로의 그림을 보다

| 조회수 : 1,028 | 추천수 : 52
작성일 : 2007-09-19 13:38:09


   읽어도 읽어도 질리지 않는 문장이 있습니다.

제겐 그런 저자중의 한 명이 바로 반 룬인데요

오늘 오전 그의 예술사 이야기를 원서로 읽고

영어로 이야기하는 수업이 있지요.

물론 영어로 의사표현을 다 제대로 할 수 없어서

답답하긴 하지만

이미 오래 전부터 만나면서 함께 이야기하는 멤버들이라

어하면 아하고 이해하게 되어서 (하고 싶은 말을)

그냥 즐거운 마음으로 수업을 하고

나오는 길,비가 내립니다.

이상하게 비가 오는 날은 밖에서는 불편하지만

집안에 들어오면 빗소리와 더불어

기분이 차분하게 가라앉으면서 엉뚱한 일을 하게 되네요.

artcyclopedia를 클릭했을 때는 어제 마무리못한

점묘화를 수용한 화가들의 그림을 찾아서 보아야지 했는데

역시 피사로를 클릭한 순간

그의 따뜻한 그림에 시선이 끌려서

그냥 그의 그림들을 보기로 마음을 바꾸었습니다.


수다중인 두 여자를 보니

오전에 반 룬 다음에 할 책을 시작도 못하고

이야기가 다른 곳으로 흘러 이런 저런 이야기하던

순간이 떠오르네요.

꼭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은 아니니 그것도 좋다는

생각을 했었지요.살아가는 이야기,그 속에서 느끼는

갈등,혹은 한 발 앞으로 나가기 위한 노력

다른 나라에서 살아본 두 사람덕분에 저도

새롭게 알게 되는 것들이 새롭기도 하고요.



인상주의 화가들과 어울려서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전시도 많이 한 화가 피사로,그러나 그는 나이가

조금 더 많았습니다.

그림이 혁신적인 면은 덜하지만 참 따뜻한 색감을

보여주지요.무엇보다도 그는 마음좋은 맏 형 노릇을 했다고요

특히 세잔에겐 잊을 수 없는 스승,아버지,혹은 신같은

그런 존재였다고 하네요.,세잔의 글에서 그 구절을 읽으면서

신같다는 표현이 마음에 걸리긴 했지만

그래도 그렇게 강하게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기차가 등장하면서 여러 화가들의 그림에

철도,혹은 철도역,철로가 등장하지요.

지금의 우리 눈에는 그저 그런 것이라 해도

그 시대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그러면 마술처럼

그 장면이 새롭게 보이겠지요?




요즘 이런 저런 모임에서 다양한 시기의 글을 읽다보니

일주일 동안 얼마나 다양한 이동을 하고 있는지 몰라요.

어느 날은 로마의 역사를 읽다가

어느 날은 신라사를 읽기도 하고

다른 날은 르네상스속으로,혹은 스페인의 무어인들

이야기를 읽기도 하고요.

그런데 그것이 혼란이 아니라 그 나름의 재미와

어느 순간 아하 이렇게 연결이 되는군 하고

실마리를 찾아가는 즐거움도 주네요.




모네의 정원이 즐기기 위한 공간이었다면

피사로는 실제로 그림이 잘 팔리지 않는 상태에서

생활고를 겪어서 정원에 필요한 채소를 길러서

집에서 반찬으로 썼다고 하네요.

그 글을 읽고 나니 그의 정원그림에 주목하게 되고

정말 그렇구나 하면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 그림의 색감이 너무 좋아서 한참 바라보다가

음악이 빠지면 곤란하다 싶어서 음악을 찾아서

소리와 함께 바라보고 있는 중이랍니다.







정물화만 따로 모아서 화가들의 개성을 느끼면서

비교 감상을 하는 것도 좋겠네 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요즘 everymonth에는 버지니아에서 삼년 살게된

클레어님이 주변 산책길을 사진으로 올려주셔서

즐거운 마음으로 기다리고 바라보곤 하는데요

이 그림을 보니 사진속의 버지니아가 생각나는군요.




19세기 후반에 철도와 증기선이 삶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듯이

지금은 인터넷과 휴대폰,그리고 엠피 쓰리가

전혀 예상치 못한 일들을 가능하게 하지요.

그것을 어떻게 우리 삶에 순기능으로 수용하면서

자신의 삶의 영역을 넓혀 나갈지는 전적으로

자신의 몫이겠지만

가끔 내미는 손을 잡고 함께 하는 일에서

예상치 못한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

그럴 수 있으려면 우리의 마음이 열려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겠지요?




당시의 극장가를 그린 모양입니다.

이 그림을 보고 있으려니 제가 잡은 손으로 인해서

(올 한해 줄기차게 everymonth의 켈리님을 따라서

혹은 함께 금요일마다 연주회,오페라,뮤지컬등을 보고

있는 중인데요 그것이 제 삶에 가져온 변화를 생각해보면

정말 놀랍거든요)

제 인생이 내부적으로 얼마나 확장되었나,

얼마나 깊어졌나

그런 생각을 하니 저절로 미소가 떠오르네요.




마음속의 금을 지울 수만 있다면

나는 이래서,나는 저래서 하는 판단하는 마음만 지울 수 있다면

(사실은 존재하지도 않는 금을 스스로 만드는 경우도 많이

있으니까요)

그 자체로 인생의 빛깔이 달라진다는 것

피사로의 그림을 보다가 갑자기 그런 생각을 하게 되네요.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행복세상
    '07.9.20 2:26 PM

    유명한 화랑에서 훌륭한 그림을 보는 듯 합니다. 저의 눈이 즐거웠습니다.
    감사드리구요. 앞으로도 좋은 일 있으시면 올려주세요.
    ^^

  • 2. 행복해
    '07.9.21 9:51 AM

    님~~
    뭐라고 써야 할까요.....
    그림과 일상을 통해 잔잔하게 들려주시는 님의 글에 늘 가슴이 따뜻해옵니다.
    저는 잃고, 버리고 살았던 시간들을 님은 참 아름답고도 풍성하게 만들어가면서 사시는 것 같아서 참 좋아요.
    그림의 색이 참 편안하고 따스합니다. 감사드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8076 휘슬러의 그림을 보다 3 intotheself 2007.09.20 1,986 135
8075 미리~ 인사! 풍성한 한가위 보내세요~ ^^* 4 선물상자 2007.09.19 1,073 7
8074 서울 외곽순환고속도로 1 하늘담 2007.09.19 912 10
8073 비오는 수요일,피사로의 그림을 보다 2 intotheself 2007.09.19 1,028 52
8072 주말엔 국립 현충원에 와보세요~^^ 행복세상 2007.09.19 1,147 11
8071 꽃무릇이 있는 풍경~~~~~~~~~~~~~ 8 도도/道導 2007.09.19 1,381 22
8070 추억속의 꽈리 5 어부현종 2007.09.18 1,315 12
8069 캐나다의 에메랄드 호수 옆 카페입니다. 8 행복세상 2007.09.18 1,729 13
8068 경주여행중 만난 시골장 구경하세요~^^ 13 에코 2007.09.18 3,176 45
8067 내 친김에 제 가족입니다.바로 삭제하셔도 됩니다. 5 아도로 2007.09.18 2,435 11
8066 성곡미술관 강의 (3) 신인상주의 1 intotheself 2007.09.18 1,208 27
8065 한가위.. 건강하게 보내세요...단.무.지. 오랫만에 웃다..... 1 망구 2007.09.18 1,050 32
8064 어린양의 행복 ~~~~~~~~~~~~~~~~ 7 도도/道導 2007.09.18 895 26
8063 가을엔 맑은 인연이 그립다 9 안나돌리 2007.09.17 1,557 9
8062 가장 아름다운 프로포즈 ^&^ 2 맘이아름다운여인 2007.09.17 1,225 14
8061 이 영화-나그네와 마술사 1 intotheself 2007.09.17 1,680 201
8060 성남 모란장 -2 9 하늘담 2007.09.17 1,556 21
8059 오클랜드 봄 꽃 이예요 3 비니맘 2007.09.17 923 13
8058 에그몬트 마운틴 (taranaki/mt.egmont) ~~~~~.. 10 도도/道導 2007.09.17 897 34
8057 쇼팽 연주를 들으면서 보는 그림들 3 intotheself 2007.09.17 994 47
8056 섬진강물이 너무만타... 2 차(茶)사랑혜림농원 2007.09.16 935 18
8055 마음에 드는 노트 한 권을 사다-여행을 준비하면서 3 intotheself 2007.09.16 1,627 44
8054 성남 모란장 7 하늘담 2007.09.16 2,078 13
8053 하늘에서 만난 일출 ~~~~~~~~~~~~~ 4 도도/道導 2007.09.16 954 58
8052 이 한 권의 책-박제가와 젊은 그들 2 intotheself 2007.09.16 1,723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