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백설부(白雪賦)

| 조회수 : 1,304 | 추천수 : 8
작성일 : 2006-12-17 20:04:23

 참으로 기다리고 기다리던 함박눈이 내렸습니다


남녀노소 구분없이 모두들 선한 마음이 되어 누구에게나 사랑을 주고픈 흰 눈입니다.


 


STA64358_copy.jpg


 아침 일찍 나섰어야 했는데...


이미 많은 눈은 벌써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리고 잔설이라고 하기엔 그래도 제법 많은 눈을 담아 보았습니다.


 


STA64359_copy.jpg


 이렇게 눈 내린 날엔 김진섭님의 '백설부'가 가장 가슴에 와 닿습니다.


 


STA64361_copy.jpg


 고딩 시절 국어교과서에 나왔던 아름다운 수필중에 하나~


오늘은 이 한 편의 수필을 감상하면서 깊은 상념속으로 빠져들고 싶습니다..


 


STA64362_copy.jpg


 


백설부(白雪賦)  -  김진섭(金晋燮) -


 


 


말하기조차 어리석은 일이나 도회인으로서 비를 싫어하는 사람은 많을지 몰라도, 눈[雪]을 싫어하는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눈을 즐겨하는 것은 비단 개와 어린이들뿐만이 아니요, 겨울에 눈이 내리면


온 세상이 일제히 고요한 환호성을 소리 높이 지르는 듯한 느낌이 난다.


 


STA64364_copy.jpg


  눈 오는 날에 나는 일찍이 무기력하고 우울한 통행인을 거리에서 보지 못하였으니, 부드러운 설편(雪片)이, 생활에 지친 우리의 굳은 얼굴을 어루만지고 간지를 때, 우리는 어찌된 연유(緣由)인지 부지중(不知中) 온화하게 된 마음과 인간다운 색채를 띤 눈을 가지고 이웃 사람들에게 경쾌한 목례를 보내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나는 겨울을 사랑한다. 겨울의 모진 바람 속에 태고(太古)의 음향을 찾아 듣기를 나는 좋아하는 자이기 때문이다.


 


STA64365_copy.jpg


 


그러나 무어라 해도 겨울이 겨울다운 서정시(敍情詩)는 백설(白雪), 이것이 정숙히 읊조리는 것이니, 겨울이 익어 가면 최초의 강설(强雪)에 의해서 멀고 먼 동경의 나라는 비로소 도회에까지 고요히 고요히 들어오는 것인데, 눈이 와서 도회가 잠시 문명의 구각(舊殼)을 탈(脫)하고 현란한 백의(白衣)를 갈아입을 때, 눈과 같이 온, 이 넓고 힘세고 성스러운 나라 때문에 도회는 문득 얼마나 조용해지고 자그만해지고 정숙해지는지 알 수 없지만, 이 때 집이란 집은 모두가 먼 꿈 속에 포근히 안기고 사람들 역시 희귀한 자연의 아들이 되어 모든 것은 일시에 원시 시대의 풍속을 탈환한 상태를 정(呈)한다.


 


STA64367_copy.jpg


 온 천하가 얼어붙어서 찬 돌과 같이도 딱딱한 겨울날의 한가운데, 대체 어디서부터 이 한없이 부드럽고 깨끗한 영혼은 아무 소리도 없이 한들한들 춤추며 내려오는 것인지 비가 겨울이 되면 얼어서 눈으로 화(化)한다는 것은 참으로 고마운 일이다.


 


STA64369_copy.jpg


 


만일에 이 삭연(索然)한 삼동(三冬)이 불행히도 백설을 가질 수 없다면 우리의 적은 위안은 더욱이나 그 양을 줄이고야 말 것이니, 가령 우리가 아침에 자고 일어나서, 추위를 참고, 열고 싶지 않은 창을 가만히 밀고 밖을 한 번 내다보면, 이것이 무어랴! 백설애애(白雪皚皚)한 세계가 눈앞에 전개되어 있을 때, 그 때 우리가 마음에 느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STA64372_copy.jpg


 


말할 수 없는 환희 속에 우리가 느끼는 감상은 물론, 우리가 간밤에 고운 눈이 이같이 내려서 쌓이는 것도 모르고, 이 아름다운 밤을 헛되이 자버렸다는 것에 대한 후회의 정이요,


 


STA64373_copy.jpg


  


그래서 설사 우리는 어젯밤에 잘 적엔 인생의 무의미에 대해서 최후의 단안(斷案)을 내린 바 있었다


하더라도 적설(積雪)을 조망(眺望)하는 이 순간에만은 생(生)의 고요한 유열(愉悅)과 가슴의 가벼운 경악을


아울러 맛볼지니,


 


STA64376_copy[2].jpg


 


소리 없이 온 눈이 소리 없이 곧 가 버리지 않고, 마치 그것은 하늘이 내리어 주신 선물인거나 같이 순결하고 반가운 모양으로 우리의 마음을 즐겁게 하고, 또 순화시켜 주기 위해서 아직도 얼마 사이까지는 남아 있어 준다는 것은, 흡사 우리의 애인이 우리를 가만히 몰래 습격함으로 의해서 우리의 경탄과 우리의 열락(悅樂)을 더 한층 고조하려는 그것과도 같다고나 할른지!


 


STA64381_copy[2].jpg


 우리의 온 밤을 행복스럽게 만들어 주기는 하나, 아침이면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감미한 꿈과 같이 그렇게 민속(敏速)하다고는 할 수 없어도 한 번 내린 눈은,


 


STA64380_copy[2].jpg


  그러나 그다지 오랫동안은 남아 있어 주지는 않는다.


 


STA64378_copy[2].jpg


 이 지상의 모든 아름다운 것은 슬픈 일이나, 얼마나 단명(短命)하며, 또 얼마나 없어지기 쉬운가! 그것은 말하자면


기적같이 와서는 행복같이 달아나 버리는 것이다.


 


STA64377_copy[2].jpg


 편연(便娟) 백설이 경쾌한 윤무(輪舞)를 가지고 공중에서 편편히 지상에 내려올 때, 이 순치(馴致)할 수 없는


고공(高空) 무용이 원거리(遠距離)에 뻗친 과감한 분란(紛亂)은, 이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거의 처연(凄然)한 심사를 가지게까지 하는데, 대체 이들 흰 생명들은 이렇게 수많이 모여선 어디로 가려는 것인고?


 


STA64383_copy.jpg


 이는 자유의 도취 속에 부유(浮游)함을 말함인가, 혹은 그는 우리의 참여하기 어려운 열락에 탐닉하고 있음을 말함인가? 백설이여! 잠시 묻노니, 너는 지상의 누가 유혹했기에 이 곳에 내려오는 것이며, 그리고 또 너는 공중에서 무질서의 쾌락을 배운 뒤에, 이 곳에 와서 무엇을 시작하려는 것이냐?


 


STA64384_copy.jpg


 천국의 아들이요, 경쾌한 족속이요, 바람의 희생자인 백설이여! 과연 뉘라서 너희의 무정부주의를 통제할 수 있으랴!


너희들은 우리들 사람까지를 너희의 혼란 속에 휩쓸어 넣을 작정일 줄은 알 수 없으되, 그리고 또 사실상 그 속에 혹은 기뻐이, 혹은 할 수 없이 휩쓸려 들어가는 자도 많이 있으리라마는, 그러나 사람이 과연 그런 혼탁한 과중(過中)에서


능히 견딜 수 있으리라고 너희는 생각하느냐?


 백설의 이 같은 난무(亂舞)는 물론 언제까지나 계속되는 것은 아니다. 일단 강설(降雪)의 상태가 정지되면, 눈은 지상에 쌓여 실로 놀랄 만한 통일체를 현출(現出)시키는 것이니, 이와 같은 완전한 질서, 이와 같은 화려한 장식을 우리는 백설이 아니면 어디서 또다시 발견할 수 있을까? 그래서 그 주위에는 또한 하나의 신성한 정밀(靜謐)이 진좌(鎭座)하여, 그것은 우리에게 우리의 마음을 엿듣도록 명령하는 것이니, 이 때 모든 사람은 긴장한 마음을 가지고 백설의 계시(啓示)에 깊이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STA64386_copy.jpg


 


 보라! 우리가 절망 속에서 기다리고 동경하던 계시는 참으로 여기 우리 앞에 와서 있지는 않는가? 어제까지도 침울한 암흑 속에 잠겨 있던 모든 것이 이제는 백설의 은총에 의하여 문득 빛나고 번쩍이고 약동하고 웃음치기를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라 붙은 풀포기, 앙상한 나뭇가지들조차 풍만한 백화(白花)를 달고 있음은 물론이요 꾀벗은 전야(田野)는 성자(聖者)의 영지(領地)가 되고 공허한 정원은 아름다운 선물로 가득하다. 모든 것은 성화(聖化)되어 새롭고 정결하고 젊고 정숙한 가운데 소생되는데, 그 질서, 그 정밀은 우리에게 안식을 주며, 영원의 해조(諧調)에 대하여 말하다. 이 때 우리의 회의는 사라지고, 우리의 두 눈은 빛나며, 우리의 가슴은 말할 수 없는 무엇을 느끼면서 위에서 온 축복을 향해서 오직 감사와 찬탄을 노래할 뿐이다.


 


STA64387_copy.jpg


 눈은 이 지상에 있는 모든 것을 덮어 줌으로 의해서, 하나같이 희게 하고 아름답게 하는 것이지만, 특히 그 중에도 눈에 높이 덮인 공원, 눈에 안긴 성사(城舍), 눈 밑에 누운 무너진 고적(古蹟), 눈 속에 높이 선 동상 등을 봄은 일단으로 더


흥취의 깊은 것이 있으니, 그것은 모두가 우울한 옛 시(詩)를 읽는 것과도 같이, 그 배후(背後)에는 알 수 없는


신비(神秘)가 숨쉬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눈이 내리는 공원에는 아마도 늙을 줄을 모르는 흰 사슴들이 떼를 지어


뛰어다닐지도 모르는 것이고, 저 성사(城舍) 안 심원(深園)에는 이상한 향기를 가진 앨러배스터의 꽃이 한 송이 눈 속에 외로이 피어 있는지도 알 수 없는 것이며, 저 동상은 아마도 이 모든 비밀을 저 혼자 알게 되는 것을 안타까이 생각하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어라 해도 참된 눈은 도회에 속할 물건이 아니다.


 


STA64391_copy.jpg


 그것은 산중(山中) 깊이 천인 만장(千仞萬丈)의 계곡에서 맹수를 잡은 자의 체험할 물건이 아니면 아니 된다.


생각하여 보라! 이 세상에 있는 눈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니, 가령 열대의 뜨거운 태양에 쪼임을 받는


저 킬리만자로의 눈, 멀고 먼 옛날부터 아직껏 녹지 않고 안타르크리스에 잔존(殘存)해 있다는 눈, 우랄과 알라스카의 고원(高原)에 보이는 적설(積雪), 또는 오자마자 순식간에 없어져 버린다는 상부 이태리(上部伊太利)의 눈 등――이러한 여러 가지 종류의 눈을 보지 않고는 도저히 눈에 대해서 말할 수 없다고 아니할 수 없다.


 


STA64394_copy[1].jpg


 그러나 불행히 우리의 눈에 대한 체험은 그저 단순히 눈 오는 밤에 서울 거리를 술집이나 몇 집 들어가며


배회(徘徊)하는 정도에 국한되는 것이지, 생각하면 사실 나의 백설부(白雪賦)란 것도 근거 없고,


싱겁기가 짝이 없다 할 밖에 없다.





                        -조광, 1939


 


 

George Winston / December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6557 대왕오징어 [괴물] 17 어부현종 2006.12.21 2,767 12
    6556 물안개 7 어부현종 2006.12.21 1,486 39
    6555 루소와 함께 한 하루 1 intotheself 2006.12.21 1,080 8
    6554 i love 돌멍게 3 여진이 아빠 2006.12.21 1,581 108
    6553 해인이의 맘을 뺏은 아가 동자승 2 쐬주반병 2006.12.20 1,335 25
    6552 속눈썹이 예쁜 아기 5 오믈렛 2006.12.20 2,111 16
    6551 하일라 콘도에서 본 일출 3 하트쿠키 2006.12.20 1,438 24
    6550 눈내리는 향원정 6 안나돌리 2006.12.19 1,488 23
    6549 요즘은 너무 흔한가요? ^^; 강화 눈구경하세요~ 7 선물상자 2006.12.19 1,412 10
    6548 소영이의 큰 일 보기.. ^^;; 15 선물상자 2006.12.19 1,918 11
    6547 노다메 칸타빌레를 아시나요? 3 intotheself 2006.12.19 1,374 37
    6546 눈온다음날 2 노니 2006.12.19 1,123 54
    6545 눈이온 풍경과 피사로그림 노니 2006.12.19 1,148 63
    6544 오솔길님께- 음악카페는 아니지만 2 intotheself 2006.12.19 1,116 43
    6543 소문만복래 6 사랑가득*^^* 2006.12.18 1,471 33
    6542 눈사람 만들기 놀이~~~ 우와 신난다. 2 소금별 2006.12.18 1,200 10
    6541 칸딘스키를 보면서 -피아노 협주곡을 듣다 2 intotheself 2006.12.18 2,676 87
    6540 Miri-Christmas!!! 3 안나돌리 2006.12.18 1,194 67
    6539 내게도와준..... 야끼모母 2006.12.17 1,087 30
    6538 까치밥 먹던 날? 까치 밥먹던 날?~~ㅎㅎ 13 안나돌리 2006.12.17 1,327 11
    6537 히히~~ 5 일등농부(박송희) 2006.12.17 1,846 142
    6536 백설부(白雪賦) 밤과꿈 2006.12.17 1,304 8
    6535 울집도 설국이랍니다. 5 remy 2006.12.17 1,581 30
    6534 설국속의 크리스마스~ 4 브리지트 2006.12.17 1,408 8
    6533 작은세상~쿠키집 6 애교쟁이 2006.12.17 1,59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