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 되어 → 돼" 에 대한 총정리

| 조회수 : 2,957 | 추천수 : 29
작성일 : 2006-09-17 21:39:45

                                                                                                     *  유익할것 같아서 네이버서 "펌"했답니다.

.
'돼'와 '되'의 차이에 대한 설명은 지식인에 참 많습니다.

'되어'의 준말이 '돼'라는 것은 많이들 알고 계시지만 '되어'에서 '-어'는 어디에서 온 것이며, '돼'와 '되'의 근본적인 차이가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고 그저 상황에 따라 어떻게 쓰면 되는지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돼'와 '되'의 그 근본적 차이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돼'는 '되어'의 준말입니다.

기본형은 '되다'입니다.

> 되다 ㅡ> 되(어간) + 다(어미)



1.

그러니 다른 말이 붙으려면 어간 '되'에 붙게 됩니다.

> 되 + 고 ㅡ> 되고

> 되 + 니까 ㅡ> 되니까

> 되 + 지 ㅡ> 되지

> 되 + 면 ㅡ> 되면



위의 낱말이 '되'가 아니라 '돼'라면 '되어'를 넣으면 말이 되겠죠?

'돼'는 '되어'의 준말이니까요. 한번 넣어 봅시다.

> 돼 + 고 ㅡ> 되어 + 고 ㅡ> 되어고[X]

> 돼 + 니까 ㅡ> 되어 + 니까 ㅡ> 되어니까[X]

> 돼 + 지 ㅡ> 되어 + 지 ㅡ> 되어지[X]

> 돼 + 면 ㅡ> 되어 + 면 ㅡ> 되어면[X]



전부 어색하지 않습니까? '어'가 들어가지 않아도 될 자리에 쓸데없이 '어'를 넣었으니 말이 어색한 건 당연합니다.



2.

어간 '되'에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되어'가 되고 이것이 줄어서 '돼'가 되는 것입니다.

> 되 + 어서 ㅡ> 되어서 ㅡ> 돼서

> 되 + 어야 ㅡ> 되어야 ㅡ> 돼야

> 되 + 었다 ㅡ> 되었다 ㅡ> 됐다



# '되어서'와 '되어야'에서 '서, 야'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습니다.



어간의 끝 음절 모음이 'ㅏ/ㅗ'일 때는 앞에 '아'가 오고

> 막(ㅏ) + 아서/아야 ㅡ> 막아서/막아야

> 보(ㅗ) + 아서/아야 ㅡ> 보아서/보아야 ㅡ> 봐서/봐야



어간의 끝 음절 모음이 'ㅏ/ㅗ' 이외일 때는 앞에 '어'가 옵니다.

> 먹(ㅓ) + 어서/어야 ㅡ> 먹어서/먹어야

> 굶(ㅜ) + 어서/어야 ㅡ> 굶어서/굶어야



그러므로 어간 '되'는 모음이 'ㅣ'로 끝났으므로 '어'가 옵니다.

> 되(ㅣ) + 어서 ㅡ> 되어서 ㅡ> 돼서

> 되(ㅣ) + 어야 ㅡ> 되어야 ㅡ> 돼야



참고로, '가다'와 '서다'의 경우는

> 가(ㅏ) + 아서/아야 ㅡ> 가아서/가아야

> 서(ㅓ) + 어서/어야 ㅡ> 서어서/서어야



이처럼 받침이 없는 어간의 끝 음절 모음과 어미의 '아/어'가 겹칠 때에는 어미가 줄어들게 됩니다.

> 가아서 ㅡ> 가(아)서/가(아)야 ㅡ> 가서/가야

> 서어서 ㅡ> 서(어)서/서(어)야 ㅡ> 서서/서야



결론은 '되서, 되야'란 말은 없습니다.

어간 '되'에 '어서/어야'가 붙고 반드시 '되어서/되어야'의 준말인 '돼서/돼야'라고 써야 합니다.



> 되 + 어서 ㅡ> 되어서 ㅡ> 돼서

> 되 + 어야 ㅡ> 되어야 ㅡ> 돼야



'잘되다'도 마찬가지입니다.

> 잘되 + 어서 ㅡ> 잘되어서 ㅡ> 잘돼서 좋겠다.

> 잘되 + 어야 ㅡ> 잘되어야 ㅡ> 잘돼야 할 텐데..



어간 '되' 다음에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 '었(과거),겠(미래)'이 올 수 있습니다.

이 중 '었'이 올 적에는 '되었'의 준말로는 '됐'을 씁니다.



> 되 + 었 + 다 ㅡ> 되었다 ㅡ> 됐다

> 되 + 었 + 거든 ㅡ> 되었거든 ㅡ> 됐거든

> 되 + 었 + 으니까 ㅡ> 되었으니까 ㅡ> 됐으니까

> 되 + 었 + 든(지) ㅡ> 되었든(지) ㅡ> 됐든(지)



3.

다음으로 종결할 때의 형태를 봅시다.



> 지금 가도 돼.



이때 '돼'가 맞을까요?

'돼'는 '되어'의 준말이라고 했으니까 대신 '되어'를 넣어보죠.

> 지금 가도 되어.



좀 어색하지요? 하지만 맞는 말입니다.

왜냐하면 종결할 때는 어간만 써서 종결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얼른 밥 먹어.

> 나중에 보아. ㅡ> 봐.



위의 낱말들을 어간만 써서 종결한다면

> 얼른 밥 먹. [X]

> 나중에 보. [X]



어색하지요?

그러니까 문장을 종결할 때는 반드시 종결 어미를 써야 합니다.

> 지금 가도 되 + 어. ㅡ> 되어. ㅡ> 돼.



위에서 설명했듯이 '되'만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습니다.

반드시 종결어미를 '되'에 붙여서 끝내야 합니다.

> 가도 돼. (되+어)

> 가도 되지. (되+지)



명사에 '되다'가 붙어 이루어진 동사를 '되다형 자동사'라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되'로 끝나는 경우는 없습니다.



기본형 '기대되다'의 예 ㅡ> 기대되(어간) + 다(종결어미)

> 기대되 + 어 ㅡ> 기대되어 ㅡ> 기대돼

> 기대되 + 었 + 어 ㅡ> 기대되었어 ㅡ> 기대됐어

> 기대되 + 지 ㅡ> 기대되지

> 기대되 + 었 + 지 ㅡ> 기대되었지 ㅡ> 기대됐지

> 기대되 + 었 + 지요 ㅡ> 기대되었지요 ㅡ> 기대됐지요

ㅡ> 기대됐죠



참고로,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가다'와 '서다'의 경우에는

> 가 + 아 ㅡ> 가아 ㅡ> 가

> 서 + 어 ㅡ> 서어 ㅡ> 서



이처럼 종결어미 없이 '가,서'만 쓴 것이 아니라 원래는 '가아, 서어'인데 어간의 끝 음절 모음과 어미의 모음이 중복되므로 어미가 생략된 것입니다.



4.

종결할 때의 형태 중에 자주 틀리는 것을 봅시다.



> 그러면 안되요.



위 말은 맞게 쓴 걸까요?

언뜻 맞는 것 같지만 틀렸습니다.

> 그러면 안돼요. [O]



기본형은 '안되다' ㅡ> 안되(어간) + 다(어미)



> 안되 + 어요 ㅡ> 안되어요 ㅡ> 안돼요



# '요'는 종결어미로 쓰이지 않습니다. 정확하게는 보조사라고 하는데 설명하자면 기니까 생략하고, 기억할 것은 종결어미가 아니므로 어간 뒤에 바로 붙지 못하고 그 앞에 종결어미가 온다는 것입니다.



> 안되(어간) + 어(종결어미) + 요(보조사)

ㅡ> 안되어요 ㅡ> 안돼요



> 막다 ㅡ> 막(어간) + 아(종결어미) + 요(보조사)

ㅡ> 막아요



이처럼 '어요/아요'는 본래 '어미(어/아) + 보조사(요)'이지만, '어요, 아요'를 통째로 하나의 종결어미로 봅니다.



다음은 맞았을까요?

> 하면 안되죠?



'안되죠'를 원형태로 바꾸면

> 안되죠? ㅡ> 안되지요?



위에서 '요'는 보조사로 종결어미로는 쓰이지 못한다고 했습니다.

때문에 앞에 종결어미가 필요한데 '지'가 왔습니다.

> 안되(어간) + 지(종결어미) + 요(보조사)

ㅡ> 안되지요 ㅡ> 안되죠



그렇기 때문에 '안되죠'는 맞게 쓴 것입니다.



만약 '안돼죠'라고 쓴다면

> 안돼죠 ㅡ> 안되어죠 ㅡ> 안되어지요

ㅡ> 안되(어간) + 어 + 지(종결어미) + 요(보조사)



종결어미로 쓰이는 '지'는 어간 뒤에 바로 붙습니다.

> 먹 + 지 ㅡ> 먹지

> 굶 + 지 ㅡ> 굶지

> 가 + 지 ㅡ> 가지

> 서 + 지 ㅡ> 서지



때문에 '안되어지요'에서 '어'는 불필요하게 들어간 것입니다.

> 안되어지요 ㅡ> 안돼지요 ㅡ> 안돼죠 [X]

> 안되지요 ㅡ> 안되죠 [O]



참고로, '었/았/겠/시'등 시제나 높임을  나타내는 어미

(선어말어미)는 종결어미 앞에 올 수가 있습니다.



> 안되 + 었 + 어 ㅡ> 안되었어 ㅡ> 안됐어

> 안되 + 었 + 지 + 요 ㅡ> 안되었지요 ㅡ> 됐지요 ㅡ> 안됐죠

> 안되 + 겠 + 지 + 요 ㅡ> 안되겠지요 ㅡ> 안되겠죠

> 안되 + 시 + 지 + 요 ㅡ> 안되시지요 ㅡ> 안되시죠



# '지요'도 '어요'처럼 원래는 종결어미 '지'에 보조사 '요'가 합쳐진 형태지만 통째로 하나의 종결어미로 봅니다.



# '안 돼(요)'와 '안돼(요)'처럼 띄어 쓰느냐 붙여 쓰느냐에 따라 그 의미상의 차이가 있지만 여기서는 '되'와 '돼'의 차이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의미상 구분은 하지 않고 '안돼(요)'처럼 붙여쓰는 경우만을 보았습니다.

'안 되지요'와 '안되지요'도 마찬가지입니다.



# '잘되다'도 같게 생각하면 됩니다.

> 잘되다 ㅡ> 잘되(어간) + 다(어미)



> 잘되 + 어요 ㅡ> 잘되어요 ㅡ> 잘돼요

> 잘되 + 었 + 어 ㅡ> 잘되었어 ㅡ> 잘됐어

> 잘되 + 었 + 으니까 ㅡ> 잘되었으니까 ㅡ> 잘됐으니까

> 잘되 + 지요 ㅡ> 잘되지요 ㅡ> 잘되죠

> 잘되 + 었 + 지요 ㅡ> 잘되었지요 ㅡ> 잘됐지요 ㅡ> 잘됐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렇다면 한가지,

왜 사람들이 '하'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되'를 '해'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돼'를 쓰면 된다고 하는 걸까요?



그것은 기본형 '하다'는 어간만 쓰일 때의 '하'와 어간 '하'에 '여'가 붙은 형태 '하여'의 준말인 '해'가 그 발음상으로 명확하게 구분이 되기 때문입니다.



'되'와 '돼'는 발음으로는 그 차이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그 성분을 분석하지 않으면 어느 것을 쓰는 게 맞는지 헷갈리므로, '되/돼'와 문법적 활용이 거의 같은 '하/해'를 대신 넣어서 어간만 쓰인 건지( 하 ㅡ> 되 ),  준말이 쓰인 건지( 해: 하여 ㅡ> 돼: 되어 )를 쉽게 구분하라는 것입니다.



예) 괄호 안에 '되'가 맞을까요? 아니면 '돼'가 맞을까요?

이럴 때 '하'나 '해'를 넣어서 '하'가 어색하지 않으면 '되'

'해'가 어색하지 않으면 '돼'를 쓰라는 것입니다.



(  )지 ㅡ (하)지 ㅡ('하'가 적절)ㅡ> 되지

(  )네 ㅡ (하)네 ㅡ('하'가 적절)ㅡ> 되네

(  )서 ㅡ (해)서 ㅡ('해'가 적절)ㅡ> 돼서

(  )요 ㅡ (해)요 ㅡㅡㅡㅡㅡㅡㅡㅡ> 돼요

잘(  )요 ㅡ 잘(해)요 ㅡㅡㅡㅡㅡㅡ> 잘돼요

잘(  )야 ㅡ 잘(해)야 ㅡㅡㅡㅡㅡㅡ> 잘돼야

기대(  ) ㅡ 기대(해) ㅡㅡㅡㅡㅡㅡ> 기대돼

안(  )요 ㅡ 안(해)요 ㅡㅡㅡㅡㅡㅡ> 안돼요


이상입니다.

내용출처  

(출처 : ''되어 → 돼'에 대한 총정리' - 네이버 지식iN)

* 요즘 글 적을 때 가끔 헷갈리는 문제여서..참고로 하셨으면 ...다 ~~ 알고 계신 건지 조심스럽네요.ㅎㅎ *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돼지용
    '06.9.17 10:30 PM

    정말 도움이 되었습니다.
    기억이 잘 되고, 적용이 잘 됐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 2. 수진
    '06.9.18 12:42 AM

    감사해요..
    프린트해서 아들내미 줘야겠어요.

  • 3. 프리스카
    '06.9.18 5:30 AM

    나중에 천천히 다시 봐야겠어요.^^
    우선 '돼' 를 '되어' 라고 먼저 발음을 해보면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4. 얼음공주
    '06.9.18 11:04 AM

    저는 "하"와 "해"로만 구분해서 썼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네요....정보 감사합니다...^^*

  • 5. 하리
    '06.9.18 11:35 AM

    감사합니다.
    문득 읽으면서, 이것을 학교시험이나 승진시험에 출제가 되었다고 가정하고
    읽으니... 한글 너무 어려워요~~~

  • 6. 수아
    '06.9.18 2:37 PM

    저 이거 넘 아리까리하고 궁금했었어든요(근데 찾아볼 생각은 안하고^^;) 감솨합니다

  • 7. antirose
    '06.9.18 11:19 PM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최근 들어 너무나 헷갈리던 부분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9418 세계명작동화요~ 2 호호네~ 2006.09.17 795 2
19417 너무 안자도 걱정, 자도 걱정... 5 오렌지피코 2006.09.17 1,690 2
19416 100일... 3 jh맘 2006.09.17 997 9
19415 저희 언니가 영국 여행을 간다는데 도움 좀 주세요. 4 상수리 2006.09.17 905 2
19414 추석 때 시댁에서 어떻게 옷입고 지내셔요? 10 로즈가든 2006.09.17 3,605 16
19413 베란다칠 2 까비 2006.09.17 1,775 4
19412 " 되어 → 돼" 에 대한 총정리 7 파도 2006.09.17 2,957 29
19411 형님네가 너무싫어요... 6 나르샤 2006.09.17 3,546 7
19410 요리책 추천 바랍니다. 7 지중해 2006.09.17 1,766 3
19409 웃어보기 ^^ 1 하늘파랑 2006.09.17 1,160 32
19408 고2 ..딸내미 때문에넑두리.. 5 뭉게구름 2006.09.17 1,895 1
19407 경희농원 홈피있나요?? 2 두현맘 2006.09.17 2,178 0
19406 '칠드런스 플레이스' 라고 하는 사이트는 어떤가요??- 8 곽현정 2006.09.17 1,723 0
19405 도로교통공단에서 지급하는 분담금 환급 받아가세요 3 알퐁소 2006.09.16 825 3
19404 너무 너무 좋은 정보여요. 시간이 별로 없네요. 공짜로 가입하면.. 8 일산맘 2006.09.16 2,649 9
19403 세상에 공짜는 없더랍니다... 3 코알라^&^ 2006.09.16 3,037 15
19402 옥션 3 서연정 2006.09.16 1,010 3
19401 그냥 넋두리.. 3 alavella 2006.09.16 1,624 3
19400 우리집앞슈퍼를 고발합니다 5 가을 2006.09.16 3,046 22
19399 대전에 사시는분들 문의 드려요.. 1 민주맘 2006.09.16 1,022 11
19398 말이 많은 아이는 어찌하면 고칠수 있을까요~ 10 가을향기 2006.09.16 5,316 3
19397 아이때문에. . 7 아오리사과 2006.09.16 2,047 103
19396 양재1동 유치원 추천좀 해주세요 1 리시안 2006.09.15 1,396 65
19395 돌잔치 사진보드판 만들어 보신분..... 2 삐삐2 2006.09.15 1,770 5
19394 cj 쇼핑몰에서 나오는 자음과 모음의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 이.. 3 맘새댁 2006.09.15 2,957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