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동그란땡예쁘게하는법?

| 조회수 : 1,797 | 추천수 : 1
작성일 : 2004-09-21 14:19:10
반찬집가서보면 두부랑돼지고기섞인동그란땡 넘 조그맣게 이쁘게 만들어 팔잖아요..
그렇게 만들었으면 좋겠는데 어려운것 같애요
전 그냥 야채랑고기 같이 갈아놓은걸 계란 풀어서 한 숟가락씩 펴서 지지거든요. 그게 젤 편하던데
모양은 별로인거 같애요..
혹 반찬집의 노하우를 아시는 분 알켜주세요~
회원정보가 없습니다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늘사랑
    '04.9.21 2:23 PM

    전 반죽을 좀 된직하게 해서 가래떡처럼 동그랗고 길게 만들어서 랩이나 비닐에 감아서 냉동실에 넣어 두었다가 2/3쯤 얼었을때 꺼내서 칼로 잘라서 계란 묻혀서 구워요.

  • 2. 진주
    '04.9.21 3:13 PM

    참! 저도 냉동고 넣었다 급하게 구워야 했을때 해피쿡(일반 생선굽는 양면팬)에 약하게 해동하다 녹았을때 계란을 그냥 거기다 넣고 구웠더니 기름기 없는 동그란땡 이 되던데요..ㅋㅋ. 물론 모양은 안좋지만요..ㅋㅋ

  • 3. 선녀
    '04.9.21 4:10 PM

    음..
    일단 반죽을 만드신다음 반죽을 떠서 동그랗게 대충모양을 만들며서
    엄지와 검지사이에 넣고 동그랗게 모양을 만들어요 그러면서 그안에서 살살 돌리면 됩니다
    손가락을 동그랗게 한다는거죠 ^^
    잘 설명이 된건지 모르지만 그게 모양이 잘나오죠
    그리고 그렇게 모양잡은다음 밀가루에 뭍혀서 계란물에 담그죠
    전 한 10개씩 계란물에 풍덩빠트린후 한꺼번에 예열된 후라이팬에 지지는데요
    이때 계란물이 옆으로 번지면서 지저분하죠
    건졌을때 쭉 따라오는 계란물을 좀 털어서 끊어주고 계란물이 안떨어지면
    후라이팬에 얌전히 놓으면 됩니다
    저희는 뭔날만되면 이걸 하거든요
    그것도 당일날 아침에 바로해서 먹습니다
    다른것은 못해도 전 하나만큼은 고수 비스무리는 되는것 같애요^^

  • 4. 나너하나
    '04.9.21 5:07 PM

    제가 제사음식준비하는 방법인데요..
    우린 완자전에 두부를 안넣거든요..혹 상할까봐..(근데 갠적으로 두부넣은게 맛나죠)
    저도 하늘사랑님처럼 만든후 썰어서 전기찜기에 한꺼번에 찐 후 밀가루 입히고
    계란물입혀 부칩니다. 3단이니 거의 한꺼번에 찔 수 있죠..
    맛성분이 빠진다 말들이 있긴한데 돼지고기에 기름도 만만치않으니 더 단백하다고할까.
    글쿠 다 익은거니 거의 색깔만 낼 정도로 부쳐주면 정말 간편히 완자전이 완성되죠..
    모양도 거의 찍어낸 수준입니다..(전 누가 인스턴트인줄 알았다는 말까지 들었어요..^^)
    근데 궁금증 하나...일일이 썰어서 찌찌말고 혹 김밥모양 그대로 찌면 어떨까
    고민중인데...그럼 썰때 모양이 흐트러질려나요???
    항상 더 간편하게 할 방법만 생각중이랍니다..

  • 5.
    '04.9.22 9:13 AM

    저도 나너하나님 처럼 구울때 시간도 오래걸리고 계란이 타서 밉더라구요.
    선물할일있어 오븐에 애벌구이해서
    밀가루 묻히고 계란입혀 살짝 구워서 드렸더니
    사온줄 아셨다고 하더군요..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9721 베이글 집에서 만들 수 있나요? 3 soho 2004.09.21 636 2
9720 [re] 알려주셔셔 고맙습니다. 나무딸기 2004.09.22 560 22
9719 약식을 하려는데요.도움말 부탁드립니다. 3 나무딸기 2004.09.21 957 1
9718 저도 요구르트 케잌에 대한 조언 구해요~~ 4 엄마곰 2004.09.21 935 21
9717 묻기도 민망한..요구르트케잌 2 유혜경 2004.09.21 847 2
9716 동그란땡예쁘게하는법? 5 진주 2004.09.21 1,797 1
9715 해삼탕 하려고 하는데요...~~ 1 엘리자 2004.09.21 536 7
9714 매실보관시.. 2 sos... 2004.09.21 710 1
9713 배좀 추천해주세요 2 박지영 2004.09.21 552 3
9712 매실보관에 관하여 3 맛탕 2004.09.21 948 1
9711 코스트코에서 파는 피자랑 핫도그,와플요? 2 블루스타 2004.09.21 1,258 1
9710 포도씨유랑 발사믹식초 사용어케해야하나요? 1 윤서맘 2004.09.21 866 1
9709 단호박 처리하기 10 애플민트 2004.09.21 1,204 9
9708 간단팥케익에 들어가는 찹쌀가루란... 3 핑크 2004.09.21 755 0
9707 통후추를 깨갈이에 갈아도 된대요(냉무) 벚꽃 2004.09.21 543 25
9706 요즘 대하, 게...얼마씩 하는지 아셔요..? 2 이뿌지오 2004.09.21 861 1
9705 마요네즈 같은 종류...유통기한...? 권나영 2004.09.21 744 6
9704 [re] 상차림 이정도면 채리엄마 2004.09.21 592 3
9703 상차림 이정도면 2 언젠가는 2004.09.21 1,368 1
9702 백설기 어떻게 하나요? 3 다애마미 2004.09.21 658 1
9701 너무 짠 김치 어떡하면 좋을까요? 5 박하사탕 2004.09.21 1,610 2
9700 새송이 버섯이 한상자 생겼는데.. 어찌 보관해야하나요? 1 진주 2004.09.21 2,663 1
9699 차례상에 올리는 전들... 1 버들아씨 2004.09.20 1,428 5
9698 바닐라오일과 바닐라에센스 중에서.. 3 쿠키초보 2004.09.20 1,208 6
9697 월남쌀국수 5 궁금한 이 2004.09.20 1,23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