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에이프런님께 질문

| 조회수 : 485 | 추천수 : 2
작성일 : 2004-07-02 12:54:24
답글 잘 참고 했습니다.
내친김에 에이프런님 블럭에도 잠시 놀다 왔습니다.
멋지고 유익한 내용이 많더군요.
요리의  집대성 이랄까...느낌이 그랬습니다.

다시 꽁치 통조림 얘기로 돌아가서
꽁치를 토막 내서 하는건 어떨까요.
한마리 째로 하니까 꺼낼때 부서지더라구요.

저 꽁치 배 따면서 맘이 참 복잡했습니다.
내가 왜 얘들 배를 따고 있나 싶고, 걔들이 불쌍 키도 하고
(현종님 꽁치는 신선 해서 그런지 비린내는 안나더라구요)
담 세상에는 좋은 곳에서 태어나라 기원도 하고

우습죠? 요리 하면서.
저같은 사람 또 있을까요?
다시는 생선 배 안딴다 생각 하며 했었는데
남편이 맛있어하니 또 할것같은 예감도 들고....에구.

에이프런님 블록 즐겨 찾기에 추가 했답니다.^^
자주 들를께요.
회원정보가 없습니다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이프런
    '04.7.2 1:51 PM

    꽁치 가로로 2등분 했는 데요
    그런 다음 내장을 뺀다 그 말인데요
    당연히 통채론 못하지요
    다시 한 번 더 잘 보시라고 퍼왔어요
    그러고 가로로 2등분 하면 내장을 가위로 절단면에서 머리족으로 가위집을 내보세요
    그럼 손쉽게 잘 빠져요

    꽁치통조림 만들기 노하우



    꽁치 가정에서도 손쉽게 통조림 만들수 있어요
    통조림은 공장에서 캔에 담아서 유통 하는 것이 통조림일뿐 원리는 같아요
    홈메이드는 캔을 사용 할수가 없으니까 냉동 하면 됩니다
    좀더 테크닠하게 병조림도 할수 있지만 지식이 없다면 위험하지요

    일단 제가 쓰는 노하우 공개 할게요
    참고해보세요

    조리법 (무염)

    1. 신선한(냉동이나 쩔은 꽁치 절대 사용 불가)꽁치를 내장만 빼 버리고 대가리채 가로로 2등든한다은 찬물로 씻거나 그대로 준비한다
    2. 압력솥 안에 들어 갈수 있는 내열용기에 손질한 꽁치를 담는다
    3. 압력솥 바닥에 찜판이나 삼발이를 올려 놓은 다음 물을 찜판 위로 올라 오도록 부어 준다
    4. 꽁치그릇을 찜판위에 올려 놓은 다음 압력솥 뚜껑을 잘 종여서 덮은다음 일반 개스레인지 센불 (센불 중불 약불의 경우)에서 10-15분 정도 추가 돌아 가게 끓인다음 불에서 내린다
    5. 압력솥 김이 자연스럽게 완전히 빠지면 꺼내서 그대로 먹거나 식힌다음 밀봉해서 냉동한다


    먹을때는 자연 해동 보다는 끓는 물에 찌개 처럼 끓이거나 조리거나 하면 되구요
    이방법으로 조림양념장을 첨가 해서 같은 방법으로 만들수도 있어요
    어떤식으로든 반드시 싱싱한 생 꽁치가 제일 맛있게만들어 집니다
    제가 쓰는 방법은 일단 탈 염려가 없어서 좋구요
    물을 첨가할 필요도 없읍니다
    제경우 시판용 통조림 좋아해서 맛소금으로 간을 아주 약하게 해서 만드는데 맛이 정말 통조림과 같더라구요
    맛소금 거부증 없는 분들 사용해보세요


    추신

    입맛에 따라 더 고을수도 있고 간을 가감 할수도 있고 하니 냉동실로 보내지 마시고 먼저 통조림 만들어 보세요
    후회 안하실 것 같은데 ...
    사람의 마음이란 다 달라서 잘 모르겠네요...ㅎㅎㅎ

  • 2. 에이프런
    '04.7.2 1:54 PM

    먼저 자르신다음 내장 빼보세요
    제가 좀 착각 하기 쉽게 써놓았네요
    전 내장 배에난 작은 구멍에 가위집을 내서 쭉 갈라준다음 빼거든요
    그런 다음 2등분...내장에 쓸개가 있을 경우 쓴맛이 나거든요
    그래서 내장 제거 하는 것이 안전하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7996 최경숙 샘의 맑은 장국, 맛간장 보관이요,,, 6 로로빈 2004.07.02 3,154 2
7995 방배동에서 배우신 분들께 질문이요... 로로빈 2004.07.02 675 1
7994 토마토님의 소주 넣은 장아찌요.. 4 궁금이 2004.07.02 1,559 2
7993 뒷북..약식..질문~ 7 2004.07.02 648 1
7992 모밀장 만들어보신분이여??? 4 여우별 2004.07.02 772 9
7991 묵 가루여^^ 2 이스리 2004.07.02 465 4
7990 T.G.I에서 먹는 통감자 구이 레시피좀 알려주세요 1 박지영 2004.07.02 1,056 3
7989 조기모양이 이상해요... 3 chuckki 2004.07.02 535 1
7988 에이프런님께 질문 2 아침 키위 2004.07.02 485 2
7987 [re] 야채 많이 넣고 끓인 닭죽... sabrina 2004.07.02 545 7
7986 삼계탕 국물로 재활용 가능한 요리들 알려주세용 *^^* 7 초보 2004.07.02 3,429 16
7985 수지,분당에 제빵재료 파는곳알려주세요. 6 grace 2004.07.02 4,628 2
7984 약식할때요... 1 약식 2004.07.02 502 8
7983 보온병에 수박화채를 넣어갈까하는데요? 1 wjdrlfdla 2004.07.02 643 5
7982 토스토 바를 과일 소스 문의 드려요!! 1 우당탕 2004.07.02 635 2
7981 지혜를 빌립니다 1 호호엄마 2004.07.02 715 3
7980 프레첼은 어떻게 만드나요? 2 빵순이 2004.07.02 536 3
7979 산들바람님 연락처 어케 되나요? 주문 하려고요.. 3 기자 2004.07.02 693 2
7978 [re] 화씨 와 섭씨 대조표 입니다.... 쮸미 2004.07.02 840 5
7977 부시맨 브레드.. 완죤 실패... 5 오래된 새댁 ^^a 2004.07.02 1,015 2
7976 [re] 실리콘 주걱 2 yoyoasm 2004.07.02 649 9
7975 실리콘 주걱 3 에이프런 2004.07.02 775 3
7974 배달받는 피자는 어떤 종류가 맛있나요? 8 승연맘 2004.07.02 1,664 1
7973 드롱기 그릴 가지고 계신분들 도와주세요 1 윽.. 2004.07.02 580 3
7972 키 커지는데 도움주는 음식이 뭐가 있을까요? 5 초보엄마 2004.07.01 61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