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출근하고 퇴근하고 먹고 치우며

| 조회수 : 12,693 | 추천수 : 2
작성일 : 2017-03-31 15:00:41

#1. 주말

- 아침


요즘 자주 먹는 토마토 샐러드와 명이와 샐러리 어린 잎 .

토요일 느지막한 아점이다 .

명이와 샐러리는 아파트 베란다 화분에서 일찌감치 싹을 틔웠다 .


 

- 점심

텃밭에 감자를 심고 돌아와 밥 한 솥을 앉혔다 . 보통 일주일치 밥이다 .

다 말았다 . 김에 단무지 계란 당근 시금치 등을 넣고 말았다 . 잘 ~


그리고 요만큼 남겼다 .

부른 배를 움켜잡고 늘어지게 낮잠 아니 잘 수 없었던 토요일 .  

- 저녁



토요일 저녁과 일요일 아침을 건너 뛴 일요일 이른 저녁이다 .

전날 감자 심으며 냉이를 캤다 . 냉이 한주먹과 매운 고추 올려 부침개를 했다 .

내친김에 도토리전도 했다 .

#2

- 퇴근이 빨랐던 날

현관을 들어서며 맞아주는 H 씨에게 “ 저녁은 ?” 하고 물었다 .

“00 씨 좋아하는 재료 다 준비해 놨어 ” 라며 씻어 놓은 채소와 물에 담가 놓은 미역줄기를 보여준다 .



사실 딱히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아닌 재료들이지만 손 댈 것 없기에

미역줄기는 볶았고 채소는 그냥 내 놓으며 달래만 따로 무쳤다 .

간장과 참기름 , 들깨가루 살짝 넣고 젓가락으로 뒤적뒤적 .

전날 끓여 먹고 남아 푹 퍼진 어묵 탕엔 파만 송송 썰어 얹고 김치는 통째 냈다 .




밥 먹으며 “ 어때 ?” 라고 묻자 , H 씨 “ 맛있어 ” 라고 영혼 없이 답한다 .

“ 뭐가 어떻게 맛있냐고 ? 구체적으로 ?” 라고 재차 물었더니 ,

H 씨 “ 미역줄기에선 내가 원했던 바다 맛이 나고요 . 달래에선 산 냄새가 나네요 .” 라더라 .

그러나 달래도 미역줄기도 어묵도 채소도 모두 남겼다 . ㅠ . ㅠ

역시 밥상은 그저 ‘ 맛있다 ’ 한 마디에 꾸역꾸역 남김없이 먹어주는 게 최고 칭찬인 것 같다 .

- 몹시 힘들었던 날

이래저래 몸은 지치고 미세먼지 농도만큼이나 마음이 흐렸던 날 . 늦은 퇴근 .

먼저 저녁 먹었다는 H 씨 ‘ 뭐 해줄까 ?’ 묻기에 ‘ 삼겹살 같은 기름진 것 ’ 이라 대답했다 .


참으로 오랜만에 집에서 고기 구웠다 . 팬에 고기 올리고 뚜껑까지 닫아 돼지기름에 튀기듯 구웠다 .

다 익은 고기를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정육점에서 얻어온 파 채를 넣고 여열에 뒤적이고 후추를 뿌려 접시에 담았다 .

돼지고기와 아주 잘 어울리는 음료 ? 가 몹시 그리웠으나 참았다 . 지친 심신 탓에 .

 

- 애매하게 퇴근한 날

9 시 넘어 집에 갔더니 “ 애매한 시간에 왔네 , 술도 안마시고 저녁 전이면 …… .” 라고 한다 .

먹다 남은 김치 넣고 부침개에 맥주 한 캔 , 이것도 애매한 저녁으로 괜찮은 듯하다 .

H 씨 준비한 부침개인데 , 살짝 기대하지 않은 버터 맛이 나더니 반죽에 버터를 넣었다더라 .


 

참 심심하게 산다 . 세상사 복잡하고 어지럽다는데 ,

H 씨와 나는 있는 듯 없는 듯 엇갈리고 마주치며 이렇게 지낸다 . 출근하고 퇴근하고 먹고 치우며 .

 

#3

K 에게

요즘 널 보면 놀라곤 한다 . 오랜만에 봐서 이기도 하겠지만 , 네가 쓰는 말들이 바뀌고 이를 뒷받침하는 사고체계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 더 이상 어린아이도 학생도 아닌 어른이 되었다는 생각이 들더구나 . 그만큼 너의 마음 씀과 행동이 성장한다는 것이겠지 .

‘ 네 삶은 온전히 네가 결정해야 한다 .’ 는 걸 잊지 말거라 . 아울러 너의 생각과 행위가 누군가에게 영향을 줄 수 있기에 , 그만큼 신중하고 배려 깊어야 하며 , 그들의 발언과 결정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도 잊지 마라 . 외따로 , 혼자 사는 것이 아니기에 크든 작든 집단에 속하고 사람들과 부대끼며 우린 살아간다 . 이속에서 ‘ 자기 결정 ’ 과 상호 영향으로 인한 ‘ 통제 ’ 문제가 불거질 수밖에 없다 . 요즘 시국에 비추어 ‘ 자유와 민주 ’ 라고 정리할 수 있을 거다 .

네 삶을 온전히 결정하는 결정권이 ‘ 자유 ’ 라면 그 결정에 직 , 간접 영향을 받는 이들의 자유를 인정하는 것이 ‘ 민주 ’ 라고 할 수 있다 . ‘ 민주 ’ 는 나 이외의 사람들의 발언권과 결정을 존중하는 거다 . 사회적으로는 법과 도덕 같은 ‘ 통제 ’ 형태로 나타난다 .

오늘 구속된 어떤 이의 경우가 , 자기 결정이라는 자유는 배타적으로 키운 반면 다른 사람들의 발언권과 요구는 무시한 삶이다 . 물론 삶에서 자기 결정이라는 자유는 정치상황에 빗대 간단히 정리할 건 아니다 . 민주 또한 사적인 영역과 공적 영역이 다르기에 마찬가지다 .

  자기결정이라는 자유는 마주하는 삶의 문제들에 답을 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 질문을 만들 수 있을 때 진정한 빛이 난다 . K 야 ,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 내가 어떻게 살지 ? 스스로 묻고 답할 수 있을 때 ’ 더 많은 통제력이 확보된다면 지나친 생각일까 ?

오늘은 여기까지 . 좀 더 고민하고 얘기해보자꾸나 . 삶에서 자기 결정과 개인의 영역을 넘어서는 문제 , 단순한 가치중립이나 균형으로 답할 수도 없고 쉽지 않다 . 자신의 삶에 질문을 던져보는 걸로 시작해보았으면 한다 .

K 야 오늘도 행복하렴 !  

 

#4

아침 뉴스를 보다가 ‘ 버럭 ’ 했다 . ‘ 박근혜가 수번으로만 불린다 .’ 는 대목에서 ‘ 사람이 구속됐다고 번호로 불린다는 게 옳은 일이야 ?’ ‘ 수인번호로 불리는 근거가 뭔데 ? 그런 법이 있을 리 없고 기껏 지들 내부세칙에나 있으려나 .’ 라며 H 씨에게 짜증을 내고 말았다 . 똑같이 수번으로 불린다는 게 뉴스거리가 아니고 누구든 이름 놔두고 수번으로만 불릴 까닭 없다는 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 ?

수감자 얘기가 나온 김에 생각나는 것 하나 더

춘천교도소에 가면 이런 게 서 있다 .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화내야 할지 모를 저 거대한 돌덩어리는 대체 뭔가 ?

서울구치소엔 없으려나 ? 또 다른 곳엔 . 설치근거는 뭘까 ? 저기가 국유지일 텐데 직원일동이라 …… .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바그다드
    '17.4.1 6:32 AM

    다른 수감자 다 수번으로 불리는데 박근혜라서 달라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 ㅇㅇ
    '17.4.1 12:17 PM

    원글님은 박근혜 포함해서 말씀하신듯요.
    구속되면 번호로만 불리는 구치소상황을 박근혜뉴스가 리마인드시킨것 뿐.

  • 오후에
    '17.4.3 5:05 PM

    달라야 할 이유야 없겠지요. 왜 모두 수번으로만 불려야(실제 박근혜는 그렇게 불리지 않을겁니다) 이유와 근거가 없다는 거지요. 그걸 뉴스라고 전하는 기사에 화가났던 겁니다.

  • 2. ᆞᆞᆞᆞᆞ
    '17.4.1 10:50 AM

    무심한듯 써내려간 명품글 잘 읽고갑니다 글쓰는거로 밥 드셔도 될듯

  • 오후에
    '17.4.3 5:07 PM

    감사합니다.
    글쓰는 거로 밥먹는 건.... ㅎㅎ. 부족함에 대한 격려로 듣겠습니다.

  • 3. 소년공원
    '17.4.3 4:54 AM

    김치 부침개가 먹고 싶어졌어요.

    마지막에 노란 꽃은 유채꽃인가요?

  • 오후에
    '17.4.3 5:10 PM

    노란꽃은 아마 갓 꽃일겁니다.
    고구마 퍼지고 가지가 제법 자라 ㄴ걸로 봐서 6월쯤 같은데....
    전 년도 심어먹고 남긴 갓 몇 놈이 씨를 뿌리고 봄에 다시 싹이나고 저리 꽃을 피우곤 합니다.

  • 4. 와플떡볶이
    '17.4.3 8:29 AM

    이런 편지를 받는 따님 K가 참 부럽게 느껴집니다.
    앞으로 긴 인생을 살면서 얼마나 든든한 자산시 될까요...

  • 오후에
    '17.4.3 5:12 PM

    태반은 별 소용없는 잔소리인걸요.

  • 5. 찬미
    '17.4.3 10:26 AM

    늘 건강식으로 드시고
    건강한 사상? 생각? 으로 사시는듯..^^

  • 오후에
    '17.4.3 5:14 PM

    ㅎㅎ 일단 감사합니다.
    건강하다. 음식이든 생각이든 이것도 어떤 기준과 편견이 작용된 것 아닐까요?
    물론 살며 판단의 잣대가 없을수는 없지만요.

    건강하시길....

  • 6. 엄브렐라
    '17.4.5 9:01 PM

    잘 모르겠지만.. 유명인들이야 어차피 이름이 알려져 있으니 싫을 수도 있겠지만
    일반 제소자들은
    이름대신 번호로 불리우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지 않을까요.. 사회에 나와서의 삶도 생각해야 하니까요..

  • 7. artmania
    '17.4.5 11:13 PM

    버터들어간 김치전은 어떨지 궁금해요.
    오늘 비도 오고해서 김치전을 해 먹었거든요.
    남은 반죽에 저도 버터 넣어볼까 싶어요.

  • 8. 셀라
    '17.4.17 11:58 AM

    토마토샐러드가 넘 맛있게 보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9504 꽃소식이 늦었어요 16 백만순이 2017.04.17 9,154 3
39503 두릅 드립 13 쑥과마눌 2017.04.17 9,150 2
39502 서방님 밥상 6 도야지똥 2017.04.15 13,191 4
39501 밥꽃 마중 5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피는 꽃은 무엇일까요? 10 차오르는 달 2017.04.14 8,333 2
39500 명랑 자급자족 생활-어묵편 (보너스 언냐들 근황) 9 꼰누나 2017.04.13 14,191 6
39499 4월, 가족을 위한 밥상과 우리를 위한 밥상 & 아직 부.. 25 솔이엄마 2017.04.09 20,530 5
39498 [키토식] 투움바 파스타 굴림만두 만들어봤어요. 7 방구석요정 2017.04.08 12,675 1
39497 2017년 3월장담그기 늦은 장담그기 - 추가 6 프리스카 2017.04.08 4,620 2
39496 정월장 장가르기 맛있는 된장담그기 15 프리스카 2017.04.07 13,183 0
39495 밥꽃 마중 4 대파꽃이냐 대파구이냐? 16 차오르는 달 2017.04.07 7,709 2
39494 [86차 봉사후기] 석화찜 잘 까서 먹었어요^^ 14 행복나눔미소 2017.04.07 5,506 3
39493 감자 크로켓 16 소년공원 2017.04.03 13,339 6
39492 엄마, 통영 그리고 기억 19 고고 2017.04.02 13,345 6
39491 출근하고 퇴근하고 먹고 치우며 14 오후에 2017.03.31 12,693 2
39490 밥꽃 마중 3 머위꽃 쌈장 12 차오르는 달 2017.03.28 8,451 3
39489 함께 한 기억 16 쑥과마눌 2017.03.25 12,178 9
39488 밥꽃 마중 2 노란꽃 세 자매 -팥꽃, 녹두꽃, 땅콩꽃 9 차오르는 달 2017.03.24 6,282 2
39487 강릉으로 이사 왔어요 ^^ 56 헝글강냉 2017.03.23 21,035 6
39486 봄인사-앙금플라워케이크 도전하며 18 artmania 2017.03.18 10,994 2
39485 서방 밥상 10 도야지똥 2017.03.16 18,268 3
39484 봄이다 15 오후에 2017.03.16 9,666 4
39483 밥꽃 마중 1 콩(대두)꽃 8 차오르는 달 2017.03.16 5,127 1
39482 봄나물 쑥부쟁이 22 소금빛 2017.03.15 9,473 1
39481 ‘밥꽃’을 알면 밥상이 달라져요 17 차오르는 달 2017.03.14 11,963 3
39480 정정합니다~ 냄새 안나는 청국장 띄우는 법 23 프리스카 2017.03.14 13,382 3
39479 오랜만에 19 hangbok 2017.03.14 6,258 3
39478 잔 ! 치 ! 국 ! 수 ! 29 백만순이 2017.03.13 17,206 11
39477 자진방아를 돌~~려~라~~~ 51 소년공원 2017.03.12 12,01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