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말고 차례/제사를 지내는 나라가 있나요?
추석/설날때 온 가족이 나가서 외식하고.. 페스티벌 구경하고
문케
1. ...
'10.9.24 7:32 AM (121.136.xxx.58)일본은 몰라도 중국은 하지 않을까요?
우리네 종교는 기독교도 불교도 아닌
유교인 게 분명합니다. ㅠㅠ2. 라오스요..
'10.9.24 8:27 AM (116.41.xxx.232)예전에 여행할때 설때였나..라오스도 집집마다 차례 비슷하게 돌아가신 분 사진 앞에 놓고 음식들을 접시에 담아놓고 절하는 모습을 봤었어요..
같이 다니던 벨기에아이들이 그 모습을 보고 신기해하더라구요..3. 제사 문화는
'10.9.24 8:44 AM (220.75.xxx.180)유일하게 한국밖에 없어요
중국은 문화혁명 일어나서 다 없어지구요
일본은 명절날 절에가서 그야 말로 차한잔 올려서 행사치르고
라오스나 다른 나라들은 일종의 종교의식이예요
울 나라도 집에 불상 모시거나 하는 집 보면 음식놓고 절하고 하쟎아요4. ..
'10.9.24 9:12 AM (180.66.xxx.18)유교가 종교가 아닌건 다 아실터이고...
유교가 불교라고 생각하는 이도 많더라구요.(절한다=불교=유교 식으로요,동시대에 성행하다보니..)
크고작은 차이는 있어도 중국이나 일본..동남아는 대충 있다고 봐요.
날마다 지낸다는 일본도 있고
축제문화로 변경된 중국도 있고..
암튼..논농사시절이나 가능한 제사문화가 설로 직장간 큰아들,미국서 공부하는 둘째아들..다들 불러들이게 만드는게 바로 명절,혹은 제사인것같고
그게 아니면 어른들은 젊은 사람 얼굴 구경도 못하니,
어찌보면 꽤 괜찮은 것같기도 한데..그속에 여자들만 죽어나고 경제적으로 먹지도 않는 입맛에도 안맞는 음식장만하느랴 헛돈(경제) 많이 쓴다는 생각들고...
장단이 있네요.5. 그냥
'10.9.24 9:50 AM (203.130.xxx.204)우리네 문화 같아요
세월이 가면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는 문화요
아마 좀 지나면 없어질 겁니다
우리는 문화에 지배당하고 사는 거지요
우리 할머니 세대가 딸 만 낳으면 칠거지악으로 소박 받던 문화가 있엇던 것처럼
우리 아이들 세대는 없어질 것 같아요6. 예전에는
'10.9.24 10:27 AM (110.9.xxx.43)먹을게 없어서 그날을 핑계로 빚을 내서라도 차리곤 하지 않았을까요 다들 가난한 이웃들에게 돌리는 풍습도 만들어서 그럭저럭 굶거나 영양실조 걸리는 것도 막고 이제는 괜한 음식낭비를 막는 입장에서라도 조금 실용적으로 바뀌었으면 합니다.
가령 송편과 차를 한잔 올린다던지 하는, 기독교적으로 하는건 반대이구요.
가정의례준칙 이런 방향제시가 있다면 좋겠습니다만 이번 정권이 물러간 다음이라야죠.
괜히 기도나 하라는둥 그딴말은 듣기 싫습니다.7. 베트남
'10.9.24 10:30 AM (219.250.xxx.109)제사 지내요
그런데 제사 음식도 준비하는데도 별로 스트레스 안받는 것 같았어요
사람들 모이니 베트남식 떡도 하고.. 주부는 할게 많아보이던데요
요즘은 많이 사서 하는 듯하구요
베트남 여자들이 억척(?)스러워서 그런지 잘 준비하고 제사도 지내고..
설이랑 기제사는 아직 지내는 사람이 많은 듯해요
귀향이.. 이틀씩 걸리다보니 설 연휴가 거의 일주일이에요
추석은 우리의 어린이날로 여기더군요
우리의 추석이 음식을 하는걸로 스트레스를 받기 보다는
남녀차별에서 오는 피해의식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더 커서 그런지...
여자는 죽도록 일하고 남자들은 놀고 쉬는 분위기가 싫은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