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펌]한겨레 - 문근영의 돈은 누가쓸까(누구에게? 던가..?)

.. 조회수 : 695
작성일 : 2009-01-07 08:39:10
배우 문근영씨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8억5천만원을 내놓아, 역대 개인 기부액수로 1위를 한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연말이면 사회 명사들이 ‘사랑의 열매’라는 빨간 배지를 다는데, 이는 공동모금회 나눔 캠페인의 상징물이다. 그래서 공동모금회 이름은 낯설어도 사랑의 열매엔 익숙한 이들이 많다.
최근 국회가 연일 시끄럽다. 거대 여당이 재벌의 방송 진출 등 85개 중점처리 법안을 국회의장 직권상정으로 밀어붙이겠다고 하자, 소수 야당은 몸싸움도 마다 않고 있다.

직권상정이 뭔가. 국회 상임위 심사를 거쳐 본회의에 상정하는 입법 절차를 건너뛰고, 바로 본회의 표결에 부치겠다는 것이다. 현재 의석수 분포로 볼 때, 여당이 소통과 합의 생략을 작심한다면 야당이 표결로 법안 통과를 막을 방법은 없다.

실은 사랑의 열매도 여기에 휘말려 있다. 여당은 ‘경제 살리기 법안’이라는 항목으로 43개 법안을 제시했는데, 엉뚱하게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전부 개정안도 여기에 들어가 있다.

이 법안이 뭐기에 그럴까. 현행법은 공동모금회 운영과 재원 배분에 정부 입김을 차단하고 있다. 하지만 개정안은 복지부 차관이 위원장이 되는 심사위원회가 전문모금기관을 여럿 지정하고, 평가와 재지정 권한도 갖도록 했다. 정부 영향력을 대폭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튼 셈이다.

쉽게 말하면 ‘문근영의 돈을 누가 쓸 것이냐’가 핵심 쟁점이다. 연간 2700억원에 가까운 기부금 배분 주도권을 둘러싼 논란이다.

정부 영향력 강화를 둘러싸고 야당과 시민사회가 제기하는 의혹은 두 가지다. 뉴라이트나 일부 기독교계 등 친정부 단체에 재원을 편파적으로 나눠줄 가능성이다. 또 하나는 ‘능동적 복지’를 내세운 현 정부가 국고를 써야 할 곳에 민간 재원을 활용하려 들 가능성이다. 실제 10여년 전 공동모금회법이 만들어진 배경에는 이런 부작용이 비일비재했던 전사가 있다. 현행 복지부는 “그럴 생각이 없다”고 펄쩍 뛰지만, 새해 업무보고엔 ‘민간 복지자원 활용을 위해 모금회법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실적 자랑을 해놓았다.

‘같은 돈으로 더 나은 복지를 하라’는 청와대 주문서를 받아든 복지부로서는 한 푼이 아쉽다. 재원은 옹색하기만 한데 돈 달라는 데는 많고. 그러니 민간 재원을 흘낏거리게 된다. 이런 ‘권한’을 아쉬워한 것은 실은 현 정부에만 국한되진 않는다. 최영희 민주당 의원은 지난 정부도 모금회에 관여하고 싶어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공동모금회는 ‘관치’ 족쇄를 벗은 뒤 기부 실적을 열서너배로 끌어올렸다. 독점적 지위가 낳은 비효율이나 관료주의 폐해 또는 코드 배분 논란에서 완전히 자유로웠을 리는 없다. 그렇다 해도 사회적 합의와 소통을 통해 해결책을 찾을 일이지, 사회 원로와 학계가 앞다퉈 반대하고 ‘오해’의 소지가 큰 법안을 공청회 한번 없이 밀어붙일 일은 아니다.

지난 상임위에서 여당인 윤석용 한나라당 의원은 안팎의 의구심에 공감을 표했다. “공동모금회가 상당히 권력기관으로 되어 있고 … 사실 코드에 맞는 사회복지단체에 배분하는 그런 면도 없지 않아 있었던 것도 사실입니다마는, 또 새로 만들어도 그렇지 않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이렇게 복수 단체를 계속 만들면 어쩌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하나씩 만들어야 되고, 아니면 실세마다 하나씩 만들어야 되는 걱정이 없겠습니까?”

아름다운 배우 문근영씨의 돈, 노숙인의 작은 정성은 기부자의 뜻에 따라 가장 필요한 곳에 가야 한다. 정부와 정부에 줄댄 자들의 쌈짓돈이란 멍에를 뒤집어써서는 안 된다.


정세라 사회정책팀 기자 seraj@hani.co.kr
IP : 221.160.xxx.7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프리댄서
    '09.1.7 8:44 AM (219.241.xxx.222)

    그러니까 근영이 돈이 잘 하면 가스통 단체에 갈 수도 있다는 거군요!
    허, 미치고 환장하겠습니다, 정말.

  • 2. 아꼬
    '09.1.7 9:07 AM (125.177.xxx.202)

    프리댄서님이 확실히 짚어 주셨네요. 작년까지만 해도 은행 갈때마다 사랑의 열매통에 기부했는데 작년 그애기 나온 순간 섬찟해서 올해는 전혀 하지 않앗습니다. 모르고 하는 사소한 선행조차 매국질에 군자금이 될수있다는 사실 참 무서워요.

  • 3. cho~~
    '09.1.7 10:18 AM (211.253.xxx.49)

    헉~! 저는 세상 일을 너무 단순하게 생각하고 살고 있었나봐요. 어찌 그럴수가~!
    정말 여러가지로 골때리는 세상 입니다.

  • 4. 손숙미의원
    '09.1.7 12:41 PM (59.5.xxx.203)

    저 법 발의한 의원이 손숙미의원입니다. "정부의 모금기관 지정, 민간모금 정부 맘대로 주물러보자" 인것 같아서 정말 싫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5933 시댁에서 남편 기분나빴을거 같아요. 4 ㅋㅋㅋ 2009/01/07 1,240
265932 웬수 같은 미국소고기.. 6 허브 2009/01/07 502
265931 판타지 소설에 빠진 아들땜에 10 고민하는 엄.. 2009/01/07 925
265930 사립초등학교 교복 구입이요~ 2 ** 2009/01/07 560
265929 각 학교마다 영재교육을 실시한다는 뉴스를 보고 4 범재맘 2009/01/07 608
265928 청바지 골반부분은 늘릴수 없는건가요? 2 청바지 2009/01/07 883
265927 무안 빨간 양파 싸게 구입할때 있을까요? 1 궁금 2009/01/07 339
265926 지문검사 하는거 해보신 분 3 질문있어요 2009/01/07 314
265925 아크릴70%,모30% 니트의 세탁방법? 3 세탁녀 2009/01/07 1,407
265924 십년전 가계부를 꺼내보니 2 가계부 2009/01/07 747
265923 지나친 하체 비만..어떻게 해야 살이 좀 빠질까요? 3 하비족 2009/01/07 1,021
265922 초등학교 입학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12 고모 2009/01/07 891
265921 식권 색이 다른게 차별이라고요? 조금만 더 생각해 봅시다. 5 거참 2009/01/07 1,020
265920 초등입학하는데 뭘시키면 좋을까요?-부산 1 초등맘 2009/01/07 213
265919 뇌출혈*뇌경색증과 뇌졸증은 어떻게 다른가요? 6 보험관련질문.. 2009/01/07 861
265918 [펌]한겨레 - 문근영의 돈은 누가쓸까(누구에게? 던가..?) 4 .. 2009/01/07 695
265917 가사도우미 아주머니 일당문의 5 고민 2009/01/07 1,094
265916 화장실 청소를 매일매일 하세요...?? 노하우좀 알려주세요.. 9 궁금 2009/01/07 2,338
265915 된장,젓갈 같은거 담는 플라스틱통.. 궁금 2009/01/07 357
265914 미소 속에 비친 그 대표 2 끝내막을내렸.. 2009/01/07 681
265913 2008년 8월 1일 -> 2009년 1월 5일 5 5개월 2009/01/07 294
265912 중앙일보 사과문 조차 또 왜곡 3 조작 2009/01/07 400
265911 문근영의 돈을 누가 쓸까? 3 어떤 영향?.. 2009/01/07 656
265910 방송법 개정, 관계자들 '말 바꾸기' 2 MBC 2009/01/07 206
265909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읽기 어떤가요 9 2009/01/07 1,180
265908 미국에서 사올만한거 뭐가 있을까요? 6 남편출장이내.. 2009/01/07 665
265907 분당얘기 나온김에... 10 또 분당 2009/01/07 2,027
265906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열려라국회' 새단장 2 참여 2009/01/07 167
265905 의정감시쎈터 1 참여 2009/01/07 147
265904 전.. 혼전순결을 지켰던 20대가 후회스럽습니다. 55 . 2009/01/07 46,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