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펌]농심, 가공식품에서 이물질 검출 국내 1위
농심이 이물질 검출 가공식품 1위 랍니다.
1. 역시!!
'08.6.24 4:55 PM (59.13.xxx.246)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210...
2. 초록
'08.6.24 4:57 PM (61.109.xxx.108)우웩!! 농심인지 똥심인지...
3. 보야
'08.6.24 5:01 PM (143.248.xxx.9)링크 따라가 보니 의미있는 자료이긴 한데, 출처가 없어 아쉽네요. 제발 이런 글에는 출처를 달아주는 센스들이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4. 역시!!
'08.6.24 5:12 PM (59.13.xxx.246)보야님 잘 읽어 보시면 본분중에 조사한 기관 나옵니다.
5. 촛불
'08.6.24 5:18 PM (118.45.xxx.153)그런거 같습니다...삼양 이번에 너트사건으로 모든 라면을 다 리콜 조치했는데..
농심은 오만것이 다나와도..아직 조치조차..없고...ㅡㅡ;;맘에 안듭니다....조선이 1위 언론이니 나발이니 쉽게 망하지 않는다는 글이나 올리고..잘들 해보라지~~어디까지 가나..6. 보야
'08.6.24 5:26 PM (143.248.xxx.9)역시!! 님, 요즘 아고라 글들이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비판을 많이 받고 있더라구요. 그래서 걱정하는 마음에 댓글 썼던 것입니다. 저런 착한 글은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읽고 확신할 수 있게, 완벽한 출처를 표기하면 더욱 좋을 것 같아요. 본문 중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라고 써져 있기는 하지만, 정말로 저곳에서 발표한 자료들인지 아고라 인들은 확인할 길이 없거든요. 예를 들면 ,한국소비자단체협회.의 주소라든가, 저 그래프가 나타나 있는 공신력 있는 싸이트의 주소 같은 것들이 링크되면 더욱 큰 힘을 발휘할 것 같습니다.
7. 역시!!
'08.6.24 5:48 PM (59.13.xxx.246)- 본문 내용중 발췌 -
지난 6개월간 벌레 검출만 38건
물론 식품업체 특성상 제아무리 만전을 기해도 이물질 사고를 원천 방지하기는 어렵다.
식약청 용역 연구사업으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수행한 <소비자 식품안전과 의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6개월간 각 소비자 단체에 접수된 가공식품 안전위생 고발상담은 1980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이물질이 1071건(54.09%)으로 가장 많았다.
이 조사 자료에 따르면, 가공식품에서 이물질이 가장 많이 검출된 회사가 농심이었다(표 참조).
농심에서 제조한 가공식품에서 총 58건의 이물질이 신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과 식음료 업계를 통틀어 가장 많은 수치였다.
제품 판매량이 많은 1위 업체인 탓도 있지만 이번 사고가 우연만은 아니었음을 뒷받침하는 자료다.
그런데도 농심은 식약청이 조사 결과를 발표한 뒤에야 사과문을 내고 제품을 리콜해 ‘늑장 대응’을 했다는 비난을 면치 못했다.
문제의 새우깡이 국산인 줄 알았는데, 실제로는 중국에서 반제품을 수입해와 국내에서 완제품으로 가공한 것이라는 사실도 소비자의 배신감을 더욱 키웠다.
- 본문 내용중 발췌 -
식양청 용역 '한국소비자단체 협의회' 에서 조사한 자료 라고 하니까 한국 소비자 단체 협의회에 문의해보세요
http://www.consumer.or.kr/main/ <==한국소비자 단체 협의회
한국소비자 단체 협의회가 뭐하는 곳인지 검색해보니....
한국소비자 단체 협의회(네비버 백과사전 발췌)
요약 : 소비자운동을 하는 모든 단체의 협의기구
설명을 더보시려면 링크 따라 가세요. http://100.naver.com/100.nhn?docid=7019668. 아마도
'08.6.24 10:14 PM (211.212.xxx.2)농심의 컨셉은 이런걸 먹을수 있나 없나 실험중인가봅니다..이물질 최고에 동감...
9. 뭐
'08.6.24 10:15 PM (211.212.xxx.2)딴건 몰라도 최근에 이물질 나왔다는건 거의 농심이었던 기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