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책읽는 여자는 위험하다?

| 조회수 : 2,143 | 추천수 : 36
작성일 : 2007-06-11 08:42:04



  책읽는 여자는 위험하다는 약간 도발적인 제목의 책이 있습니다.

종로도서관 마크가 부착된 이 책이 제게 온 것은

오인순씨 덕분인데요

빌린 책이라 조심스럽게 읽고 있던 중에

인용된 사진작가 앙드레 케르테츠의 사진이 눈길을 끌어서

(그는 독서에 관하여란 제목의 사진집을 낸 사진작가인데요

책을 읽는 사람들이 찍힌 65장의 흑백사진으로 된 책이라고

하네요. 지금 읽고 있는 책에 들어있는 1929년에 찍은

한 장의 사진,독일의 한 병원에 입원한 할머니가 병실의

침대에서 몰입하여 책을 읽고 있는 장면을 찍은 것입니다.)

혹시 찾을 수 있을까 싶어서 인터넷을 뒤지고 있는 중인데요

그 사진을 아직 찾진 못했으나 역시 눈길을 끄는

사진이 있어서 올려 놓습니다.



마침 pbs에서 그를 특집으로 다룬 모양이네요.


Known for his extended study of Washington Square Park and his distorted nudes of the 1930s, Andre Kertesz was a quiet but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ming of age of photojournalism and the art of photography. For more than seventy years, his subtle and penetrating vision helped to define a medium in its infancy. Though he spent most of his life in the United States, his European modernist sensibility is what made him great, and that is what he is remembered for today.

Born in Budapest in July of 1894, Kertesz was one of three brothers from a middle-class family. Soon after getting his bachelor’s degree from the Hungarian Academy of Commerce in 1912, he found a job as a clerk at the Budapest Stock Exchange. Though the work seemed far from his deeper aspirations, it did provide him with the resources to purchase his first camera. When, in 1914, he was drafted into the Austro-Hungarian army, he brought along his camera. The photographs he made during the war represent the beginnings of his formation as a serious artist. Unlike other war photographs, Kertesz’s concerned themselves with the lives of soldiers away from the fighting. Part of Kertesz’s genius was his ability to cast attention on images seemingly "unimportant." These subtle images of the moments of joy and contemplation away from the front were a revolutionary use of the newly invented hand-held camera.

Though he sold a handful of pictures to magazines and had a number of others made into postcards, Kertesz was not yet able to support himself with his newfound talent, so in 1918 he returned to the stock exchange. He remained there for seven years, supporting his recently widowed mother. Then, in 1925 he made the fateful decision to move to Paris. Excited about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bohemian artist’s life, he worked as a freelance photographer. Working for dozens of different European magazines, Kertesz found Paris a welcoming and artistically inspiring place. Within a short time he met and made portraits of some of the great artists living in Paris, including Piet Mondrian, Marc Chagall, Alexander Calder, Constantin Brancusi, Sergei Eisenstein, and Tristan Tzara.

간단한 바이오그라피를 읽는 것만으로도

한 사람의 예술가에게 다가가는 일에 실마리가 생긴 것같아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사실 방송에서 다루는 영어는 단정하고 알기 쉬운 문체라서

조금만 신경을 쓰면 읽기에 큰 부담이 없다고 할 수 있지요.
  
부다페스트 출신의 그가 파리에 가서 만난 예술가들의

이름을 읽고 있자니 생생한 그림이 머릿속에 그려집니다.


By 1927 Kertesz’s scenes of the streets of Paris were beginning to attract a great deal of attention, and he had his first show at an avant-garde gallery. His humor and subtle humanity seemed to personify even the stone walls of Paris. Throughout the 1930s he remained in Paris studying the people and their inhabitation of the streets, and the play of light and shadow that so dramatically filled the urban landscape. In 1936, after the death of his mother and his marriage to Elizabeth Saly, he moved to New York, where he had been engaged by the Keyston Agency. Though he canceled the contract only a year later, the progress of the war made his return to Paris impossible. Unable to leave and treated like an enemy by the government (which prevented him from publishing for several years), Kertesz was caught in tragic uncompromising circumstances. When the war ended Kertesz had lost the momentum of a supportive artistic community, but continued to live in the States due to health and familial considerations.

For nearly twenty years his gifts remained relatively unrecognized in New York. It was not until 1964, when John Sarkowski, curator at the Museum of Modern Art, organized a one man show that Kertesz's career was reawakened. Over the preceding years, art photography in the United States made serious leaps and began to recognize the advances of earlier European artists. It was this renewed interest that eventually brought an otherwise forgotten genius back into the public eye. Throughout the 1970s and 1980s, Kertesz was shown regularly at the major international museums -- having one-man shows in Paris, Tokyo, London, Stockholm, Budapest and Helsinki. In 1983 the French government awarded him the Legion of Honor, and the following year he passed away in his New York home. Very few artists are able to witness the formation of their own artistic medium. Kertesz was not only able to witness much of the beginnings of hand-held photography, but had a profound effect on it. With subtle and whimsical artistry, he took full advantage of a medium not yet sure of its own potential, and for that, contemporary photography remains in his debt.






사실 이 책에서 앙드레 케르테츠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주로 중세에는 성경만이 유일한 책이었으나

14세기가 지나면서 여성이 성경이외의 책에 관심을 갖게 되는

일례로 데카메론을 들면서 서서히 독서가 사적인 영역을

구축하게 되고

책을 읽는 그 순간 그 사람은 다른 사람과 함께라 해도

혼자만의 시간을 향유하게 되는 것,그래서 여성의 경우

위험하다고 간주되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여기서 위험하다고 느끼는 것은 남성의 시각이었겠지요?

그런 이야기보다 더 재미있는 것은 각각의 그림을 보는

일이었습니다.



책의 도판에는 재미있는 그림들이 많이 있으나

다 찾아서 올릴 수는 없고 그 중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는

그리고 다시 보고 싶은 인상적인 그림들만 추려서

올려놓습니다.



루이 15세의 정부였던 마담 퐁파두르

그녀는 당시 지성과 미모를 겸비하여 루이 15세의 마음을

뒤흔들어놓았던 여인이라고 하더군요.




그녀의 모습을 유난히 많이 그린 화가가 부쉐인데

책이나 악보등을 바라보거나 손에 들고 있는 그녀의

모습을 많이 그려놓았네요.



프라고나르의 작품입니다.

사실 월요일 오전의 이 시간,평소라면 다른 일을 하고

있을 시간이지만

새벽에 잠깐 혼동을 일으켜서 일요일인줄 알고

울리는 시계소리,휴대폰소리,왜 꺼놓지 않고 잤나

이러면서 그냥 무시하고 자다보니

어라,갑자기 이상한 생각이 들어서 정신을 차리고

보니 월요일이라니,하면서 혼비백산하는 시간을 보내고

간신히 승태가 택시탄 것을 확인하고 나니

이제야 진정이 된 시간입니다.

일년에 꼭 몇 차례는 이런 소동을 벌이게 되네요.

담임선생님께 죄송하다는 사정이야기 전화로 드리고

음악을 틀어놓고 그림을 찾아서 보고 있는 중인데

오늘 보람이 기말고사 첫 날인데

시험을 놓치는 상황이 아니라 그나마 다행이라고

공연히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는 중이기도 합니다.



이 그림을 그린 화가는 제네바 출신인데 터키에서

5년간 체류한 경험을 살려서 주로 모델에게도

그리고 자신의 초상화에도 이렇게 터번을 두른 모습을

보여준다고 하네요.

신기해서 찾아본 화가의 자화상입니다.







영국으로 귀화해서 너무나 사랑을 많이 받은 화가

그래서 결국은 sir라는 칭호까지 받았던 화가

알마 타데마입니다.

그의 그림은 너무 많아서 이것 저것 보다보니

원래 책읽는 여자를 다룬 그림을 찾아보려던 계획이

밀려나고 말았습니다.




파르테논의 부조를 친구에게 보여주고 있는 피디아스

그림의 제목입니다.

물론 그리스 시대의 피디아스 생몰연대도 모르는 건축가의

자화상이 남아있을리 없으니 이 그림은 화가의 상상이겠지만

그는 이집트,그리스,로마를 배경으로 한 그림을

유난히 많이 그렸더군요.

마침 지난 금요일 그리스에 관한 글을 함께 읽어서인지

이 그림의 제목이 제 눈길을 끌었습니다.

당대에 파르테논신전은 조각가나 건축가들에게

필수로 가보아야 할 장소였겠지요?












원래는 바로 이 그림을 찾으러 들어왔던 것인데

다른 그림들이 하도 많이 정리되어 있어서

찾아보다 보니 시간이 너무 많이 흘러버렸습니다.

제목이 this is our corner라 ,한참을 들여다보게 되는

그림입니다.

월요일 아침의 그림보기,이것으로 충분하다,

그런 마음으로 자리에서 일어납니다.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소박한 밥상
    '07.6.11 8:55 AM

    명화속 여인들의 모습이 知的인 intotheself님과 오버랩되어 보인답니다
    님의 이미지에 중독됐나봐요 !!! ^ ^

  • 2. 미란다
    '07.6.11 10:02 AM

    그림에 대해 아는건 별로 없지만 보는것만으로도 눈이 호사하는것 같아요

  • 3. 지베르니
    '07.6.11 11:04 AM

    눈과 마음이 충만하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7551 풍란 꽃이 피었어요..~~ 3 pure 2007.06.13 1,213 10
7550 제주여행 - 3 13 2007.06.13 2,025 8
7549 6월의 짧은 나들이- 남한산성 탑공원 까망이 2007.06.13 1,951 14
7548 추억의 뽑기.. 2 망구 2007.06.13 1,136 10
7547 Good bye~~~Miss Rose!!! 5 안나돌리 2007.06.13 1,350 37
7546 제주여행 - 2 2 2007.06.12 1,684 8
7545 풍차와 주택가 6 오드리헵번 2007.06.12 1,472 50
7544 화요일의 또다른 유혹 intotheself 2007.06.12 1,652 110
7543 내가 찍고 내가 뻑~~간 푼수 돌리의 사진입니당..ㅎㅎ 8 안나돌리 2007.06.12 1,888 23
7542 오다이바에서 본 레인보우 브릿지 7 엉클티티 2007.06.12 1,599 68
7541 물때새 삼형제 4 샤이닝 2007.06.12 1,282 49
7540 지오토와 새롭게 만나다 intotheself 2007.06.12 1,348 44
7539 더운 여름날 보시면서 시원해지세요~~ 4 선물상자 2007.06.11 1,469 17
7538 제주 여행 3 2007.06.11 1,571 8
7537 이 한 권의 책-공부의 달인,호모 쿵푸스 5 intotheself 2007.06.11 1,374 48
7536 범인은 어디에.. ^^ 2 싱싱이 2007.06.11 999 14
7535 책읽는 여자는 위험하다? 3 intotheself 2007.06.11 2,143 36
7534 같이 아파 다행이다~싶다 7 경빈마마 2007.06.11 1,691 44
7533 매실 따왔어요^^ 1 heartist 2007.06.10 1,395 43
7532 어제 토요일의 쾌청하던 날씨를 만끽하셨는지요? 1 안나돌리 2007.06.10 1,209 32
7531 유월의 현충원 4 강두선 2007.06.10 1,095 21
7530 양귀비 축제 다녀왔습니다. 5 저우리 2007.06.10 1,637 19
7529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1 Christine 2007.06.10 1,206 27
7528 순한 눈망울 3 오후 2007.06.10 995 25
7527 지는 장미 노니 2007.06.10 1,018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