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바이올린 연주와 더불어 보는 그림들

| 조회수 : 1,188 | 추천수 : 15
작성일 : 2006-04-14 00:49:22


목요일 아침은 늘 서양사수업이 있는 날입니다.

그 날 그 날 읽는 주제가 달라서 매번 새롭기도 하고

수업만이 아니라 서로 갖고 있는 음반도 돌려서 듣고

책도 바꾸어가면서 읽는 날이기도 하고 수업후에 점심을 함께 먹으면서

수다가 꽃피는 날이기도 해서

오전이 꽉 차고 유행어를 빌려서 말하자면 꽉 찬 다음 2% 더 만족하는 날이기도 하지요.

마침 안네 소피 무터가 연주하는 차이코프스키의 곡과 이름을 처음 들어보는

현대 작곡가의 곡을 한 음반에 담은 것이 있어서 빌려왔지요.

늦은 밤에는 바이올린 곡을 잘 듣지 않는 나름의 불문율을 깨고

호기심에 틀어놓고 그림을 보고 있는 중입니다.



화가는 지난 화요일의 과천 현대 미술관에서 본 게르하르트 리히터인데요

원화를 보고 와서일까요?

그림을 보는 중에 읽는 설명이 눈에 확 들어오는 것이 신기합니다.


Gerhard Richter's paintings have been referred to as models of perception. Indeed, his work is as much about the act of looking as any other subject. In his photo-based works, Richter (b. 1932, Dresden) combines various tropes of painting and photography to create a kind of representational problem: how and when does the eye sense the difference between a painted surface and the photographically recorded? In Richter's seemingly conventional yet large-scale Seestück (Seascape, 1998), the pigment is thinly applied, resulting in a surface that emulates the flatness of a photograph. And, like a snapshot might be, it is blurred. Here, the visual becomes conceptual, as Richter literally obscur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hotographic and the painted. Seascape, which also recalls the moody, atmospheric landscapes of German Romantic painter Caspar David Friedrich, is the first work by Richter to enter Bilbao's collection.

—Meghan Dailey  








60년대의 리히터의 사진기법을 이용한 그림을 보고 있으면 그가 80년대 이후에 그린 추상화를

연상하기가 어렵네요.

아주 다양하고 빈번하게 작품 경향이 바뀌었다는 것을 그림을 보면서 파악하고 있습니다.













종이에 수채화와 크레용,연필을 이용한 이 그림들이 마음에 들어서 한참을 바라봅니다.

나도,이런 생각을 슬며시 하게 되는 시간이기도 하네요.













위의 세 작품은 1980년대의 작업이고 아래의 세 작품은 1999년도 작품이군요.

종이위에 흑연을 사용한 것이라고 하네요.

graphite라고 씌여있으니 그런가보다 하지만 실제로는 어떻게 생긴 것인지

잘 몰라서 궁금해하고 있는 중입니다.

기회가 되면 화가의 작업실에서 그 혹은 그녀가 실제로 작업하는 광경을 볼 수 있으면

특히 판화작업의 경우 다양한 기법을 볼 수 있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위의 두 시기사이에 낀 시기에 그려진 추상화입니다.

현대미술관에서도 이런 그림을 여러 점 보았지요.









GERHARDT RICHTER           (German, born 1932)
Untitled (No. 552-1), 1984
oil on canvas, 102 3/8 x 78 3/4"
Collection Albright-Knox Art Gallery.
Sarah Norton Goodyear Fund, 2000.

Born in Dresden, Germany in 1932, Gerhardt Richter is one of the preeminent European painters working today. He began making art at the age of sixteen in the social realist style of communist-dominated East Germany. After moving to Dusseldorf in 1960 where he was introduced to the ideas of the European avant-garde, his life as an artist was transformed. Since that time he has pursued his ideas by working in many styles from abstract to representational.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Richter’s art, one must look at more than a single painting because he freely moves from making gestural abstractions such as this one, to painting landscapes and still lifes in a super realist style, to creating abstract works that are painted in a realistic style*. (*Such works are known as the "smooth abstract paintings," an example is in the Gallery’s collection, Untitled (no. 418), 1977).

This work, from the mid-1980s, is one of Richter’s abstract paintings dominated by spontaneous gesture and rich color. It is one of Richter’s so-called “free abstract paintings”. In this series, the artist begins with a background color and then adds to it. While the painting appears unplanned, it is in fact the result of the artist’s careful deliberation. As Richter describes it, “I control the spontaneous.”

— Jennifer Bayles



그의 그림경향이 자주 바뀐다는 설명을 실감하는 것은 그림을 찾아보면서 입니다.

이 그림은 1997년작품이네요. 폭포라는 제목이 붙어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서 음악을 듣고 있는 중에 익숙한 가락이 끝나고 새로운 작곡가의 곡으로 넘어가고 있네요.

처음 듣는 작곡가에 대한 예의로 음악에 집중해야 하니

오늘 보는 그림은 이것으로 만족해야 될 것 같습니다.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늬바람
    '06.4.15 8:05 AM

    자세한 설명과 함께 올려주시는 그림들을 보고 있으면
    그냥 기분이 좋아집니다.

  • 2. toto
    '06.4.15 11:46 AM

    사진 같아요.
    그림 참 좋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5157 울 조카들 3 빵떡 2006.04.14 1,185 7
5156 울딸생일날에.. 5 빵떡 2006.04.14 1,312 15
5155 바이올린 연주와 더불어 보는 그림들 2 intotheself 2006.04.14 1,188 15
5154 고추농사와 고구마 모종 6 따뜻한 뿌리 2006.04.13 2,873 12
5153 에궁 2 아수라백작 2006.04.13 1,387 10
5152 멍멍이바위?? 2 그사소함 2006.04.13 1,075 16
5151 새봄맞이 우리집 초록이들 기념촬영~ 12 그사소함 2006.04.13 1,660 20
5150 헤어스탈 하나 바꿨을뿐인데.. 11 mianz 2006.04.13 2,364 36
5149 봄` 봄` 봄` 봄` 봄이 왔어요~~~~~~~~~~ 2 도도/道導 2006.04.13 1,249 39
5148 창공을 향해 꽃샷을 날리며~~~ 6 안나돌리 2006.04.12 1,061 20
5147 꽃나들이 1 maYa 2006.04.12 1,181 32
5146 외갓집^^ 3 매드포디쉬 2006.04.12 1,359 10
5145 시댁에서 보낸 주말 5 민무늬 2006.04.12 1,690 10
5144 16개월에 젓가락질 하기^^ 5 크리스 2006.04.12 1,540 24
5143 걸음에 따라 변하는 산세^^ 2 밤과꿈 2006.04.12 954 17
5142 디카 메모리 비우기 2 SilverFoot 2006.04.12 1,148 35
5141 황사 없는 세상에 살고 싶다~~~~~~~~~~` 1 도도/道導 2006.04.12 1,273 90
5140 벚꽃 1 joint 2006.04.12 928 12
5139 명자야~~~안녕? 3 안나돌리 2006.04.12 1,268 28
5138 우중산책 7 gloo 2006.04.11 1,314 18
5137 심심풀이 5 꾸러기 2006.04.11 2,595 38
5136 나의 첫 라떼아트 5 라떼조아 2006.04.11 1,357 13
5135 저도 꽃구경갔다가~ ^^ (전 딸사진 ㅋㅋ) 8 선물상자 2006.04.11 1,404 10
5134 내 사랑 주이 4 강두선 2006.04.11 1,373 29
5133 봄이 가기전에~~~~~~~~~~~~~~~~` 1 도도/道導 2006.04.11 910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