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보는 중에 많이 풀렸습니다.
새롭게 만난 화가 석철주의 생활일기들인데요
나의 생활일기는 무엇으로 쓰고 있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 날이기도 하지요.
도서관 홈페이지에 올린 글입니다.'
이 화가의 전시는 7월3일까지 학고재에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인사동인지 아니면 경복궁 길에서 만나는 학고재인지는 나와 있지 않네요.
02-739-4937
그림을 보고 있으려니 문득 아,인사동에 가고 싶다는 기분이 절로 드는 날인데요
내일 오전에 기운이 남으면 번개처럼 나갔다 오겠다고 지금은 마음을 그렇게 먹고 있는데
잘 될 지 모르겠네요.
그래도 생각만으로도 기운이 나는 시간입니다.
오늘 오전 렘브란트를 읽고 나서
반 룬의 책에 이름으로만 나온 화가들중 몇 명
호버마,그리고 파브리티우스,루이스달의 그림을
집에 와서 찾으면서 글을 쓰다가 갑자기
게시판이 꺼져 버리더군요.
그런데 이상하게 에어컨과 컴퓨터만 꺼지고
텔레비젼은 멀쩡한 현상이어서 이상하다고만 생각하고
다른 일을 했지요.
집에 온 승태에게 이야기하니 전원이 차단된 모양이라고
손을 대니 금방 전기가 이어집니다.
앗,또 나는 생각도 하지 않고 이렇게 사는구나
반성을 한 다음
오늘 아침 서로 좋지 않은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한 아들을
앉혀 놓고 이야기를 하려고 하니
나는 평범한 아이로 살고 싶다고
공부를 많이 하고 싶지 않다고
그러면서 엄마는 왜 자기가 하는 일을 싫어하고
못마땅하게 생각하느냐고
지금은 게임을 하고 싶다고 하네요.
차라리 잠을 자면서 쉬라고 하니
그냥 친구들이랑 운동을 하는 것이 낫겠다고
나가 버립니다.
마음이 너무 복잡하네요.
오래 가는 현상에 어떻게 손을 대야 할지도 모르겠고요.
아침에 못 본 신문을 읽다가 학고재에서 하는
전시회 소식이 눈에 띄어서
낯선 화가의 이름을 검색해보았습니다.
석철주라고..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03.jpg)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04.jpg)
생활일기란 같은 제목으로 그린 그림들이 많이 있네요.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10.jpg)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18.jpg)
갈수록 엄마 노릇하기가 어렵다고 느껴집니다.
물론 아들도 사느라고 힘이 들겠지만
그래도 이건 너무 심한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드는 날
감정이 마구 올라와서 무슨 일에 집중하기가 어렵네요.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20.jpg)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21.jpg)
아침에는 게시판을 열어놓고도 마음이 안정되지 않아서
글을 쓰는 일조차 힘이 들었는데
그래도 지금은 이렇게 그림을 보면서 주절대고 있으니
사람의 감정이 변하기 때문에 그나마 살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 때 그 심정대로라면 (어느 순간의 고통이 지속된다는 의미에서 )사는 일이 얼마나 힘이 들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31.jpg)
새로 만난 이 화가의 불루가 매력적이네요.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63.jpg)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62.jpg)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79.jpg)
서양사시간에 읽었던 반 룬이 오늘로
렘브란트까지 진도가 나갔습니다.
다음 몇 장은 루이 14세시대의 이야기라 우선 일단
여기서 쉬고 다시 서양문화의 역사에서 문학 파트 한 과를
읽은 다음 (그러면 그 책은 끝나게 됩니다.)
푸른 역사에서 번역되어 나온 서양사 깊이 읽기 1
호메로스에서 돈키호테까지를 읽기로 했습니다.
17장의 글로 이루어진 책인데요
서양사에서 이름만 듣고 넘기기 쉬운 주제에 대해
각각의 전공자가 쓴 글을 모은 글입니다.
저는 오래 전에 사서 정독을 한 다음
그 주제에 관한 글이 나오면 다시 찾아 읽어보던
아끼는 책이기도 해서
오늘 책을 고르는 중에 강력 추천한 책이기도 하지요.
이렇게 개설서를 넘어서 함께 책을 읽을 수 있는
장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
그것이 바라던 바의 책읽기여서 기운을 많이 북돋는 에너지가
되고 있습니다.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00/images/g0016.jpg)
일단 책을 열권 신청했는데
이 책이라면 함께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는
분은 2주후에 시작하는 교재이니 도서관에 신청하거나
개별적으로 사서 참여하면 되고요
방학중에 하는 수업으로는 아무래도 목요일 수업 시간이
제게 가장 여유 있는 날이라
서양사를 계속 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41.jpg)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45.jpg)
그림을 보고 있으려니까 문득 인사동에 가고 싶네요.
직접 보면 느낌이 훨씬 좋을 것 같은
정감이 가는 그림들입니다.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44.jpg)
![](http://www.kcaf.or.kr/art500/sukchuljoo/y90/images/g9005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