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이혼이 문제가 아니라 이혼과정과 태도가 문제

ㅁㄶㅇ 조회수 : 1,897
작성일 : 2025-10-26 16:40:57

이혼가정에서 자랐고, 지금 가정 이루고 잘살아요. 23년째. 
이혼 말고도 엄청 문제가 많았죠. 

부모 가출에 폭력에 재혼에 삼혼에 새어머니들에...

이혼 자체는 문제가 아니에요.

서로 헤어져 사는게 더 낫다고 결론나면 서로 예의지키고 헤어지면 되는데

우리나라는 정말 죽기 직전까지 가야 이혼하잖아요.
그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폭력이 언어적, 감정적, 신체적으로 오가는지

초등학생인 저는 그게 다 실시간으로 느껴졌고

극한의 공포를 느꼈어요.

어른들끼리 알아야 하는 온갖 더러운 것들을 다 알아버렸고요

부모가 그런 오염된 것들로부터 자식을 지키려고 얼마나 노력했는지 모르겠으나

그들도 이혼이 처음이라 너무 서툴렀고

너무 감정적으로 압도되었던 터라 우리 남매는 고스란히 노출되었죠. 
그리고, 너무 명백한 싸움이 있는데도

언어로 정리해주고 자녀를 안심시켜주지 않고 모호한채로 회피하고

아무일도 없는 척 하며, 아니면 상대 욕을 죽어라고 했죠.

그럼 자녀는 그 형편없는 부모로부터 내 반이 왔구나 싶어서

실존적인 무가치함을 느껴요. 

게다가 이혼 과정의 폭력적 상황 노출로 평생 트라우마에 시달렸고요.

이혼하고 나간 후 순식간의 단절이 좋은 줄 아세요?
버려진 느낌 지대로 받습니다. 
부모로부터 버려진 것은 정말 자기 존재의 위협이고요.
세트로 있던 친척들이 일거에 척결되는데

꿈을 꾼 것 같아요. 현실감이 없어지죠.
실생활은 그대로 삽니다. 

저도 아주 잘 살아서, 학교도 잘가고, 공부도 잘했어요. 
심지어 성적이 더 올랐는데요.
제 안은 썩어들어갔어요. 
그것이 성인이 된 후 인간관계로 나타나서

버림받을까 두렵고, 그래서 먼저 거절하고,

트라우마 상황이 재현되면 무의식적으로 얼어버리고, 

과잉반응하고

아이들도 과잉으로 보호하게 되고요. 
그래서 결혼생활 자체가 매우 피곤한 면이 있어요.

에너지를 많이 쏟아요.

겉으로 보기엔 상당히 괜찮습니다. 저도. 

남편도 저의 이런 속속들이 심정은 잘 몰라요.

말하기 너무 복잡하고, 괴롭고 수치스러우니깐요.

 

이제 50을 바라보며 저의 과거, 성장기와 지금까지의 관계를 돌아보니,
부모의 이혼, 헤어짐 그 자체에서 상처 받은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의 폭력과, 자신의 감정을 잘 정리하지 못하고 자녀에게 투사하는

미숙한 부모,

명확하게 설명해주지 않아 모호한 불안을 남기는 부모,
부모와 자녀의 분리된 삶을 존중해주지 않는 것,
자기들의 관계는 끝나도 부모로서의 애정과 책임은 끝까지 다해줘야 함을 모르는것, 
그것이 큰 상처입니다. 

그리고 이 상처는 분명히 자녀의 결혼과 이후의 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쳐요. 
저는 그걸 치유하느라 반평생 보냈어요.
저는 제 인생이 그래도 떳떳해요. 주어진 밭에서 열심히 살아냈으니.

내 자녀가 이혼가정의 사람과 결혼하려 한다면

다른것이 걱정 안되고,

그들의 이혼이 인격적이었나, 자녀를 존중했나..그걸 볼거에요. 

그리고 각각의 부모와 개별적으로 편한 관계를 맺고 있나...그거요.

돈은,,,자기가 벌면 됩니다.

물론, 그럼에도 자기 배우자는 자기가 선택하는거라 생각하지만요...

 

 

 

IP : 222.100.xxx.5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ㅡ
    '25.10.26 4:47 PM (125.187.xxx.40)

    예전에는 이혼으로 감수해야하는것들이 많아서 다들 죽기직전에야 했고 그러니 감정소모도 많고 아이들도 상처받고 대개 그랬던거같아요. 그러니 연령높은 사람들 사이에선 이혼이 갑론을박 대상이 될 수밖에 없고 여기도 연령이 꽤 높다보니 과거의 신념들이 더 많이 반영되는거 같아요. 요즘 이혼은 예전처럼 죽기직전에 하는 비율이 많이 줄었고 애들도 예전처럼 상처받지 않는거 같아요. 자녀들 입장은 더 드라마틱하게 변한거 같고요. 물론 집by집이지만. 이혼여부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 부모와 아이들이 어떻게 과정을 겪고 현재를 사는지가 중요하죠. 반대로 말하면 이혼하지 않은 가정도 그게 제일 중요하죠. 어떻게 살고 있는지.

  • 2. ..
    '25.10.26 4:48 PM (211.246.xxx.57)

    그논리면 님자식도 이혼가정에서 자란 사람 자식이랑 혼사 해야죠
    고르지말고요

  • 3. ...
    '25.10.26 4:50 PM (124.50.xxx.169)

    윗님말에 동감
    현재 아이들이 어떻게 지내고 있느냐가 중요
    부모와의 관계는 원만한가? 성실한가? 일탈하는가? 열심히 본인의 인생을 일궈가고 있는가? 이런것들로 부모이혼이 아이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고 어떻게 극복해 가고 있느냐 그게 중요하죠

  • 4. ...
    '25.10.26 4:53 PM (124.50.xxx.169) - 삭제된댓글

    어짜피 연애해서 이혼 자녀 데려와 나 얘랑 결혼할래 하면 어찌 말리실 꺼예요? 기분이 썩 좋지는 않지만 내 자식이 좋다니 그냥 시킬꺼잖아요
    이미 지들끼리 미래를 약속하고 부모에겐 통보만 하는 시절인데...

  • 5. 안말림요
    '25.10.26 4:55 PM (222.100.xxx.51)

    말리긴 뭘 말려요.
    내 아이 배우자감이니 관심있게 본다는 이야기일 뿐.
    저도 그렇게 결혼했고, 나의 이러한 점 때문에 배우자가 힘들겠구나 하고 살아요.

  • 6. ....
    '25.10.26 5:17 PM (223.38.xxx.82)

    토닥토닥.
    많이 힘드셨겠어요.
    원글님 말씀에 동의해요.
    부부가 이혼을 하더라도
    부모로서 자녀들은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부모역할은 내팽개 치고
    부부 관계만 끊으려고 자녀들한테 상처를 주는건
    큰 죄를 짓는거라 생각해요.

  • 7. 상처
    '25.10.26 5:21 PM (180.68.xxx.52) - 삭제된댓글

    원글님과 비슷한 경험을 했었고 원글님 생각에 동의해요.
    요즘애들은 부모 이혼에 상처를 덜 받는다구요?
    그냥 내색을 안할 뿐이에요. 그걸로 고민하는 아이들도 생각보다 많아요.

  • 8. ㅡㅡㅡ
    '25.10.26 5:28 PM (125.187.xxx.40)

    세상에 상처없이 사는 사람이 어디있어요. 친구관계 사회생활에도 따라오는게 상처인데. 부모이혼이 상처되는 부분이 없을수 없지만 이젠 그게 그렇게 크리티컬하지 않다는 의미예요. 이혼안한 부모가 서로 물고뜯는거보단 덜하죠.

  • 9. ㅇㅁㅁ
    '25.10.26 6:05 PM (222.100.xxx.51)

    교우관계, 사회생활 상처와 비교는 안돼요.
    뭐가 크리티컬하지 않아요. 핵심적이죠.
    이혼안한 부모가 물고뜯고보다 낫다? 이렇게 비교할건 아니고요.
    저도 부모가 이혼한다 했을때 안도하긴 했어요. 더 이상 싸우는거 안봐도 되는구나.
    그런데, 글 요지가 그게 아닙니다

  • 10. ㅡㅡㅡ
    '25.10.26 6:06 PM (125.187.xxx.40)

    님은 그랬을거같아요 님만해도 오래전이니까.

  • 11. ㅡㅡㅡ
    '25.10.26 6:09 PM (125.187.xxx.40)

    님 말에 동의한다는 의미예요. 이혼때문이 아니라 그 과정이 크리티컬한 상처를 남긴다는.

  • 12. ㅌㅂㅇ
    '25.10.26 7:01 PM (182.215.xxx.32)

    우리의 자녀들의 결혼을 고려해서 대화가 오고 가고 있으니
    당연히 우리 세대의 이혼에 대해서 이야기해야 하지 않나요
    정말 죽을 지경이 되었기 때문에 이혼한 그런 부모의 자녀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거고요

    그리고 참 원론은 그런데 쉽지가 않아요
    그 사람의 깊은 곳의 모습은 자기 스스로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리고 결혼 전에는 그런 걸 숨기려고 최선을 다 하기도 하죠

  • 13. ㅌㅂㅇ
    '25.10.26 7:02 PM (182.215.xxx.32)

    그리고 이혼이라는 것은 보통 둘 중에 한 명이 미숙하거나 아니면 둘 다 미숙하기 때문에 그런 결과에 이르게 되는 것이라 그 과정에서 불미스러운 일들이 많고 아이들에게 고통이 가지 않도록 잘 막아 주기가 어려울 것 같아요

    그 과정에서도 아이들을 보호하려면 양 부모가 다 성숙한 사람이어야 되는데 그런 경우에는 이혼까지 갈 일이 별로 없겠죠

  • 14. ....
    '25.10.26 10:23 PM (184.148.xxx.172)

    서양에서는 한쪽에서 이혼 선언하고 나가면 별거가 되고
    이혼의 절차를 밟게 됩니다
    성향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사람이 이유도 모르고
    상대방을 존중해서 이혼 절차에 따르고 이혼을 합니다
    이런 경우에도 아이들은 큰 혼란과 상처를 받고
    사춘기를 힘들게 겪더라구요
    이 경우는 주변의 시선 보다는 가족의 해체에 대한 상처를
    아이가 이해하기 힘든 경우 같아요
    고로 제 의견은 이혼은 과정 뿐 아니라
    그 자체에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7810 기성세대의 탐욕으로 Z세대가 깃발을 들고 있어나고 있음 ㅇㅇ 03:52:59 177
1767809 독일, 징병제 부활.. 전세계가 전쟁준비? 2 ㅠㅠ 02:00:43 1,013
1767808 십대 자녀 두신 어머님께 질문하고 싶어요. 6 Aa 01:56:13 516
1767807 엄마 돌아가신다는 글들이 많아서... 4 Vb 01:55:10 1,202
1767806 명언 - 평화 2 ♧♧♧ 01:30:02 291
1767805 마포구쪽에 침잘놓는 한의원 아세요? 침한의원 01:26:06 93
1767804 선물받은 기프티콘을 쓰려고 보니 이미 사용했네요 3 01:11:54 1,323
1767803 아질산염 위험하다는데 그래도 나는 햄을 먹겠다는 분들 보세요 4 ㅇㅇ 00:48:12 1,923
1767802 내일 출근 롱패딩? 1 겨울 00:43:16 903
1767801 50대 빈둥지증후군? 4 00:42:08 1,422
1767800 저는 자녀를 결혼시킬때 이혼 숨긴것 보다 7 결혼 00:35:11 2,049
1767799 한동훈 페북, 도로 위 무법자 전동킥보드문제의 단기해법 23 ㅇㅇ 00:20:41 1,379
1767798 한복이 잘 어울릴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10 ........ 00:20:26 660
1767797 특활비 15%를 현금으로 꿀꺽한 심우정 3 너무조용해 00:16:28 988
1767796 4세인데 왜 이러는걸까요?? 7 00:03:49 1,388
1767795 당근에서 상대방이 저 차단하면 2 ㅇㅇ 2025/10/26 848
1767794 주식이나 부동산등등으로 돈을 잃으면 -> 마음의병 이 .. 1 마음의병 2025/10/26 1,359
1767793 오븐이나 에프로 군밤 만드는 방법 알려주세요 2 --- 2025/10/26 306
1767792 캄보디아 인신매매, UN 직원도 피해자 5 .... 2025/10/26 1,841
1767791 신촌세브란스 치과병원에서 신경치료, 얼마나 걸릴까요? 5 ㅇㅇ 2025/10/26 727
1767790 중2 학생과 겨울괌여행 내년 여름 일본여행 9 ㅇㅇ 2025/10/26 697
1767789 전기차 완충주차면 주차 문제 어떻게할까요 4 전기차 2025/10/26 602
1767788 장기적으로 투자할 거면 지금 시작해도 되나요? 5 20살 2025/10/26 1,335
1767787 진안고원길 가 보신 분 계세요? 1 걷기 2025/10/26 542
1767786 친구랑 제주도 갑니다 1 궁금 2025/10/26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