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돋보기
알짜배기 살림정보가 가득!
전자렌지 전자파땜에 심장이 벌렁벌렁..
찾아낸 기사인데 혹시 82쿡 회원님들 보셨어요?
전자렌지 관련 기사인데 그동안 전자파에 대해서는
전자파가 나온다 그런건 알았지만 자세히는 몰랐거든요.
아무튼 넘 놀라운 사실들이에요. 한번들 보세요.
이 기사를 보니 우리가 그동안 너무나 편하게 쓰고있는
전기기계들이 얼마나 그 속에 숨겨진 비밀이 있을지 막 의심이 드네요...
전자레인지는 음식을 화나게 한다 [2008.11.21 제736호]
[안병수의 바르게 먹자]
영양분 파괴, 성분 변화, 발암물질, 전자파… 지식인들이 폭로하는 전자레인지의 치부
‘문명의 이기’ 하면 뭐가 떠오르시는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어떤 이는 자동차를 생각할 것이고,
어떤 이는 TV나 휴대전화를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식품 전문가에게 묻는다면 한 가지로
수렴할 가능성이 크다. ‘전자레인지’라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문명의 이기가 있기에.
전자레인지의 고향은 당연히 패스트푸드의 나라 미국이다. 가정용으로 정식 출생신고를 한 것이
1960년대 후반께. 태어나자마자 ‘편리함’이라는 찬사를 자양분으로 무럭무럭 자랐다.
미국 가정 내 보급률이 1970년대 초에 1%였던 것이 1980년대 중반 들어 25%로 크게 는다.
오늘날엔 몇%나 될까. 거의 100%? 예상과는 달리 90%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그렇다면…, 10% 가까운 가정엔 전자레인지가 없다는 이야기다.
얼마나 궁핍하기에 그 흔한 것 하나 들여놓지 못할까.
» 전자레인지는 음식을 화나게 한다. <한겨레21> 윤운식 기자
그러나 그렇게 쉽게 생각할 일이 아니다. 미국에서 전자레인지를 쓰지 않는 가정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 빈곤 때문이 아닐 터여서다. 그들은 오히려 고소득층일 가능성이 크다.
지식인들일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자레인지가 숨기고 싶은 치부가 들어 있다.
일설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의 원래 고향은 미국이 아니라고 한다. 처음 아이디어가
태동한 곳은 나치 치하의 독일이었다는 것이다. 나치가 전쟁에 패함에 따라 이 아이디어는
옛 소련 쪽으로 넘어가게 된다. 하지만 소련은 전자레인지를 만들지 않았다.
이유는 소련의 과학자들이 극구 반대했기 때문이라는 것.
그들이 전자레인지 제작을 반대한 까닭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훗날 미국의 과학자인 윌리엄 코프가 해준다.
“음식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하면 우선 발암물질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각종 성분들이 비정상적으로 변하기 때문이죠. 또 여러 유용한 영양분들이 파괴되고
음식으로서 생명력을 잃게 됩니다. 이런 음식을 자주 먹게 되면 병약한 체질로 변하게 되죠.
굳이 음식 문제가 아니더라도 이와 같은 기계를 부엌에 놓고 돌리는 건 재고해야 합니다.
새어나오는 전자파에 의해 인체 세포가 직접 손상될 수도 있으니까요.”
이처럼 전자레인지의 유해성에 경종을 울리는 학자들은 그 밖에도 많다.
스위스의 한스 허텔 박사는 “전자레인지로 가열한 음식을 먹으면 혈액의 헤모글로빈이
감소하고 나쁜 콜레스테롤이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또 미국 스탠퍼드대학 연구팀은
“전자레인지에 의해 인체 면역력이 약화되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주장은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나오고 있어 흥미를 끈다.
물 연구가로 유명한 김현원 연세대 교수는 자신이 만든 알칼리수를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지 말도록 주문한다. 전자파에 의해 물의 치유 효능이 손상된다는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그야말로 생필품 중의 생필품이다. 그런 기계에 웬 황당한 잡음인가?
가열 방식을 알면 납득이 간다. 전자레인지는 열을 이용해 음식을 조리하는 일반 가열 방식과 전혀 다르다.
1초에 수십억 회 운동 방향을 바꾸는 강력한 전자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음식의 구성분자들을 마구 뒤흔든다. 이때 순간적으로 열이 발생하고 온도가 빠르게 오르는 것이다.
음식이 만일 생명체라면 난데없이 몰매를 맞고 화병에 걸려 있는 꼴이라고 할까.
전체 기사 보기 : http://h21.hani.co.kr/arti/COLUMN/87/23806.html

- [육아&교육] 벼재배화분을 무료로 준.. 2009-06-12
- [키친토크] 초간단 막피자~ 4 2008-01-09
- [키친토크] 안녕하쎼.. 1 2008-01-08
- [키친토크] 아빠 생신 축하드려요^.. 5 2008-01-03
1. 썬♡
'08.11.28 3:17 PM전자렌지 안 좋다는 말은 많이 들었는데.. 정말 생각보다 놀랍네요.ㅠㅠ
2. 냐모냐모
'08.11.28 3:17 PM헉.. 이거 너무 충격적이예요...ㅠㅠ
전자파뿐만 아니라 발암물질이라니...
그러면 과도한 전자레인지 사용으로 음식이 아닌 사람이 전자파를 받으면
또 암이 생기고 그러는건가요?3. 오렌지
'08.11.28 3:20 PM전자렌지.. 문제가 많군요.
잘쓰는 가전제품중에 하나인데.. 발암물질이라..4. 하늘연
'08.11.28 3:23 PM전자 렌지에 플라스틱그릇에 기름들어간 음식 데워 먹으면 독약 되는거죠 ㅡㅡ
홈쇼핑에서 막 팔던데 ..
환경호르몬 발암물질 작렬..5. 단호박걸
'08.11.28 3:24 PM저두 이 기사봤어요!! 그냥 시시했던 전자파인데 이렇게 충격적일줄이야..
6. 아아젠
'08.11.28 3:25 PM허걱 -ㅁ- ...
전자렌지에서 전자파가 많이 나와서 안좋다는건 알았지만..
무섭네요..ㅠ7. 현랑켄챠
'08.11.28 3:26 PM특히....코*그릇하고 상극이라고 거기 회사 다니시는 분이 절대 전자렌지에 넣지 말라고 그러던데요. 그거 안깨지게 단단하게 만드는 성분이 전자렌지 안에서 나쁜 성분으로 변한다고 그래요.
8. 냐모냐모
'08.11.28 3:29 PM그릇성분도 변하는거예요?
9. patriot
'08.11.28 3:36 PM저두 전자렌지에 음식을 가열하면 음식의 유전형질을 변이시킨다는 소리 들었습니다.
유전자조작 식품와 별반 다를바 없어진다는 얘기겠지요.
전기오븐 구입하려고 알아보니 거의가 전자렌지와 복합이고해서 맘에는 안들지만 약간 구형으로 마련해서 사용중인데 아주 가끔 전자렌지의 편리성이 아쉽기도 합니다.10. 러블리민
'08.11.28 3:50 PM헉 ..그럼 광파오븐은요?
11. 쪼아~
'08.11.28 3:56 PM코*과의 조합이 그리 나쁘다는 이야기... 더 우울해요..
플라스틱이 무서워 코*에만 뎁혔는데... 이를 어쩌나...12. toosweet
'08.11.28 4:21 PM저희 직딩이라서 맨날 얼밥 해서 먹는데,어떡해야 하나요..ㅠㅠ
얼밥을 전자렌지 말고 해동해서 먹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아 정말 갑갑하네요13. Victoria
'08.11.28 4:39 PM제가 알기로는 코* 종류들은 유리에 강화수지를 섞어 만듭니다.
수지가 머냐...... 플라스틱, 멜라민과 유사한 거지요.
전자렌지에 돌리면 당근 녹아나오겠지요.
전자렌지 사용은 정말 자제해야겠네요.
예전에 브로콜리 데치는 법 검색하다가 전자렌지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영양소가 파괴된다는 실험결과를 찾은 적 있어요.
물에 데치는 게 가장 좋고요.14. 과자장수
'08.11.28 4:51 PM저 전자렌지 없이 10년째 생활하는 주부인데요,,,
이거 없어도 그리 불편하지 않습니다.
앞으로도 없이 살려고요,,,15. mypolly
'08.11.28 4:55 PMㅜㅡㅜ 맨날 밥얼려서 해동해먹는 직딩1인
그동안이야 몰라서 그랬다치고
이젠 어떡한다죠??
윗분말씀처럼 광파오븐은 괜찬나요??16. 냐모냐모
'08.11.28 5:04 PM검색해보니깐 적외선 오븐 이런건 괜찮대요.
기사에도 원적외선 근적외선 이런건 괜찮다고 하드라고요.
전에 얼핏보니깐 적외선 오븐 이런거도 본거같은데... 그것도 괜찮겠죠?17. 스마일어게인
'08.11.28 5:09 PM그럼 데우기를 어떻게 해야하나요?
샌드위치를 데운다거나 하는 딱딱한것을 데울때요
액체류,한약등은 끓이거나 끓는물에 데우거나 하면 되지만..
우리 아들 어릴때 많이 데워먹였는데 그래서 지금 몸이 약한가싶기도 하고.정말 싫으네요18. 박현희
'08.11.28 5:21 PM전자렌지를 집어던지고 싶은 심정...ㅠㅠ
밥 데우기 말고는 쓰는데가 없긴 하지만, 참..나쁜 전자렌지네요.
울 시어머니는 전자렌지에 데워드시는걸 너무 즐겨 하시는데...
스마엘어게인님, 딱딱한 것을 데울때 전자렌지에 넣으면 더 딱딱해지지않나요?
샌드위치나, 햄버거 같이 차가웠던걸 데우기는 오븐이 아주 좋아요.
작은 전기오븐 같은걸 애용하심 좋을것 같구요...
찜기에 쪄서 먹는게 뭐든 촉촉하니 더 좋긴 한것 같네요. ^^19. 신상
'08.11.28 5:23 PM직장다닌다는 핑계로 아이 간식같은거 챙겨줄때 전자렌지를 많이 이용했었는데...아이한테 미안해지네요...
이제 전자렌지사용을 좀 자제해야겠어요...
아이 간식좀 제대로 챙겨주려고 마련했던 오븐을 몇번쓰지도않고 그냥 방치해뒀었는데...이제 오븐을 열심히 써봐야겠어요~^^20. 아라
'08.11.28 5:24 PM저도 베란다로 전자렌지 내보내고, 사용 안한지 1년이 넘어가네요..
반찬은 끼니마다 해먹는 편이라서 반찬 데우는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가끔 먹는 인스턴트 음식 데울때 사용했었거든요..
요즈은 즉석 음식도 끊고 나니까 전자렌지 사용할 일이 없어지더군요...
음식 프라스틱 용기에 얼려두었다가 전자렌지에 돌려 먹는게 제일 안좋은것 같아요..
특히나 그 음식이 기름진 음식이면 심하게 과장해서 독극물 덩어리 아닐까요...21. 해피마임
'08.11.28 5:41 PM전자랜지안을 울아이들은 자꾸자꾸 보구싶어하죠...
음식이 되는것으 보고있노라면 행복해 하기도하죠.... ㅠㅠ
하지만 그렇게 못하게하죠 전자파때문에 ... 많은분들이 그러실꺼에요... 그런데 전자랜지 밖에서 의
상황도 조심조심하는데 전자랜지 안에서는 더큰일이 일어나고 있으리라고는 ....정말 몰랐는데!!
그냥 편리한것이 좋았을 뿐인데 말이죠...
이제는 오븐으로 ... 내손으로...아이들의 건강을 만들어가야할것 같습니다.22. 나 그네
'08.11.28 5:46 PM음식이 ..어떻게변화해서..섭취시..인체에 미치는영향은..오ㅐ안좋은건지...자세한정보가 없을까요?
전자렌지사용을 하지말아야겠네요..23. 따라쟁이
'08.11.28 6:07 PM결혼전+결혼생활 4년동안 전자렌지 없이는 못사는줄 알았다가 이사하면서 전자렌지 치운 사람입니다.
없이 산지 1년가량 됐어요. 부엌에 자리가 없었거든요.
주로 용도가.. 밥 덥히는것인데 밥을 아침,저녁으로 압력밥솥으로 하고(15분이면 됨) 점심은 아침에 조금 넉넉히 해서 밥통에 넣었어요. 전자렌지 대신 전기밥통을 꺼낸것이긴 한데 내내 쓰지는 않지요.
이것저것 녹이고 물 데우고 하는데 너무 불편할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아요.
고기같은것 해동판(해동판 없어서 스텐레스 냄비위나 뚜껑등.. 스텐제품 위에 올려놓으면 빨리 녹아요.)에 올려놓으면 빨리 녹구요, 물같은것도 가스불이 시간이 그리 많이 걸리는건 아니구요.
없이 살아도 불편한지 모르겠어요.24. 또하나의풍경
'08.11.28 6:20 PM저희집엔 꼭 코렐+전자렌지라는 궁합이 ...흑흑...
충격충격..ㅠㅠ
전자렌지 사용 엄청 잘하고 있는 사람이기에 엄청 충격..ㅠㅠ25. nayona
'08.11.28 7:07 PM아악~~~모든 음식을 다 전자렌지에 데워 먹는데...ㅡㅡ
미치겠군요.없음 젤 불편한게 저건데.....
힝...설겆이 그릇 더 나오게 생겼네요...26. 히트
'08.11.28 7:13 PM냉동된밥을 데워먹으려면 뚝배기에 물 약간붓고
뚜껑덮고 끓이면 될것 같아요27. 도넛
'08.11.28 10:47 PM그래서 저희 시댁이랑 저희집은 전자렌지 안써요. 아예 쓸 생각을 안 했거든요..해롭다고;;
밥은 지어서 바로 코드 빼버리고 차게 뒀다가 데워야 할때는 재가열 기능 사용해요.28. 엘라린다
'08.11.29 12:43 AM전부터 궁금하긴 했어요. 전자렌지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서 음식이 데워지는지...그런데 이렇게 무서운 방식으로 음식이 덥혀지는 것이었군요. 전자렌지 당장 치워야겠어요. ㅠ.ㅠ
29. 크리스
'08.11.29 2:16 AM전기오븐은 괜찮은건가요? 전자렌지 베란다에 내놔야겠어요. 두면 자꾸 써서...ㅜㅜ.
애 은행은 어쩔까나 싶네요...잘 까져서 좋았는뎅~30. 똥똥구리
'08.11.29 2:40 AM전 압력밥솥에 밥해서 항상 데워먹었는데, 그럼 밥을 데워먹을 땐 뭘 써야 하나요? ㅠㅠ
전기압력밥솥으로 한 밥은 별로인데다가 보온을 하면 밥이 말라버려서 안 쓰거든요.
보온보냉이 되는 찬합이라도 사야 하는겐지.. ㅠㅠ
다른 분들은 밥이나 생선 데워먹을 때 어떻게 하세요?31. 샴발라
'08.11.29 2:48 AM전 전기렌지로 데우면 뭐든 맛이 없어지는 것 같아서
아예 혼수로 전기렌지 장만하지 않고 11년째 잘 사는데 별 불편 못 느낍니다.
전기압력밥솥도 보온기능 쓰지 않고 데우기 기능쓰면 그럭저럭 먹을만해요.32. 크리스
'08.11.29 2:52 AM윗님~어떤분이...스뎅...밥그릇에 뚜껑닫고...작은 보온통에 넣어놨다 먹는다고 하데요~ 해보세요~
33. 보날리
'08.11.29 9:33 AM전자렌지 요번 겨울엔 꼭 사야지 했는데
안사야 되겠군요.
조그마한 국산압력밥솥하나 사야겠네요.
특히 밥때문에 사려고 했거든요.
정보 감사드립니다.34. 나빌레라
'08.11.29 9:38 AM전자렌지 없으면 밥을 어케 데우냐고요? 우리 어릴적에 전자렌지, 전기 밥솥없었잖아요.
그냥 작은 찜기에 밥 넣고 쪄서 드세요. 금방 됩니다.
결혼 하고 이 삼년 있다가 전자렌지가 고장났는데 고쳐야지 하다보니 6개월 훌쩍~
맨날 깜빡하네 하다보니1년 훌쩍~ 그러다 아하! 이거 없어도 아무 불편이 없구나
미련없이 그냥 버렸어요. 밥은 쪄서 데워 먹구요, 스텐 그릇에 담아 데울 때도 있고
그냥 찜기에 데울때도 있죠. 물에다 식초 한 방울 떨어뜨리면 괜찮아요.35. 쿠키
'08.11.29 11:28 AM친정에선 옛날부터 압력밥솥으로 밥해서 스텐엉덩이찬통 큰데다 넣어서 뚜껑덮어 큰 전기밥솥에 넣어 뒀어요. 밥솥안에 물을 조금 부어두고 보온기능 눌러두고 써요.
때마다 전기밥솥 뚜껑열어 또 스텐뚜껑 열어 밥푸는게 귀찮았고 도대체 왜 저렇게 두는지 촌스럽게만 봤는데...지금 생각해보니 좋은 방법이다 싶네요.
지금 유행하는 스텐냄비랑 엉덩이찬통을 그 옛날부터 쓰셨으니..울엄마 현명하셨네^^36. happyMOM
'08.11.29 2:26 PM그런데 한겨레21원문기사 밑의 댓글 읽어보니
그렇게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을 것 같던데요.
기사 자체가 신뢰할 만한 근거를 제시안하고 있고,
오히려 댓글의 논리가 더 신뢰 가던걸요.37. 서현맘
'08.11.29 4:09 PM저도 전자레인지 쓰면서도 항상 영양이 파괴되고 전자파가 많이 나오는데... 하면서 걱정을 했어요. 많이는 안썼지만.. 어쨌든 이 기사 접하고 전자렌지코드 딱 뽑아서 안씁니다. 생각보다 귀찮지않아요. 압력밥솥에다 해먹고있는데 데울때는 슬로우쿠커가 생각나서 밥 준비할때 '강'으로 눌러놓고 그릇에 넣어놓고 뎁힙니다. 보온기능도 있어서 생각보다 편하더라구요. 우유도 물 끓여서 중탕해서 주거나 미리 꺼내놓으면 찬기는 가시니까 그때 먹이기도 하구요. 전자렌지 돌리고 나서 문 열면 전자파를 정면으로 받으니 살짝 비껴서 꺼내야 한다는 말도 들어서리... 편리한 만큼 그런 반대급부가 왜 없겠나 생각했거든요.
38. 달팽이
'08.11.29 6:31 PM결혼생활 18년차인데 그흔한 전자렌지가 없어요.결혼초에 친정에서 얻어온것 잠시 쓰기는 했어요,젓병 에 우유 데우는 용도로요..그후로는 해로울거 같다는 생각에 안썼어요 가끔 지르고 싶은 충동은 느꼇지만..아쉬울 때가 있긴 하던데.. 오븐으로 대체하고 찜기나 압력 보온솥을 즐겨 썻어요 ...얼마전 지인이 전자렌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젊은 엄마가 버리는 전자렌지 얻어다 놨다고 좋아 하던데..새거라고.. 마치 횡재한것처럼..미안하다고 돈도 얼마주었던데..걱정 되네요.
39. 베리베리뮤뮤
'08.11.29 8:37 PM저도 전자렌지 없이 13년차입니다. 우선 베란다에 내놓으니까 잘 안쓰게 되고 그렇게 몇 년 보내니
없어도 먹고 사는데 지장 없어요. 햇*은 물에 끓여서 데우고, 우유도 냄비에. 밥은 작은 찜통에
넣어서 가스로 데우고. 또 제가 없앤 것중에 하나가 전기 물포트에요. 금방 끓이는 것 말고
1리터 되는 걸로 항상 끓여진 물로 보관하는 것 있죠? 전 주로 그걸 많이 사용했는데 그게
생각보다 전기를 많이 잡아먹더라구요. 지금은 가스에 조금씩 끓여 먹습니다.40. 놀러와
'08.11.29 10:32 PM다른 카페에서 원글 봤느데..전자렌지..없앨라구요..
41. 해피심퀸
'08.11.30 12:41 AM저도 전자렌지 산지 1년 만에 없앴어요~
한 2년 정도 됐나봐요.. 우유 데워 먹을때, 떡 데워먹을때만 살짝 불편하지
없으니 없는 데로 살아지네요~ㅎㅎ42. marge
'08.11.30 2:06 AM흠.. 놀라운데요.. 하긴 전자렌지 막 보급되던 80년대에도 이런 저런 얘기들이 많았던 것 같아요.
그런데 저런 기사를 쓰려면 관련 연구 레퍼런스를 정확하게 달던지 국내 전문가의 자문을 얻으면 좋겠어요.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는 걱정인지 정말 궁금하네요.43. 산에 들에
'08.11.30 11:08 PM저도 안쓴지 몇년 됐어요. 버리기도 그렇고 그냥 부엌에 있어요.
밥 데울때만 썼었는데, 밥 데울일 있으면 찜냄비에 쪄서 먹어요. 요즘은 한번 먹을 분량만 해서 거의 데울 일도 없어요.
작은 소형 오븐 토스터기 가끔 쓰는 것 외엔, 거의 냄비나 후라이팬으로 모든 음식을 조리해요.
쿠쿠를 아직 쓰고 있는데.. 직장다니면서 아침밥 해먹을려니.. 쿠쿠는 아직 못 없애겠어요.44. 바다임금
'08.12.1 11:27 AM전자렌지로 하면 유전자변형이 일어난다네요...
그래서 울남편은 전자렌지 사용한 음식은 절대 안먹어요...
밥데우는것도 싫어서해서 찬밥그냥먹어요...
남편 이해안될때도 있엇는데 이제는 저도 웬만하면 안쓰고 있어요...45. key784
'08.12.1 1:41 PM렌지 않좋다는 말은 십몇년전에도 들었던것 같아요.
암에대한 다큐할때 보면 식습관바꾸면서 전자렌지 사용도 안하는 그림 자주 봤던것 같구..
어릴때 전자렌지 돌리면 앞에 서있지 말라고 해서 스위치 눌르고 얼른 도망가곤 했던 기억있구요.
저두 전자렌지 없이 몇년째 살고있는데 일년에 한두번 생각나나?
생각보다 그리 불편하지 않아요.
평소에 사용하는 주방도구로 얼마든지 대신할수있어요.46. 보라향
'08.12.1 8:15 PM전자렌지 만드는 사람들이 더 웃기는거 아닌가요?
왜?
헤롭다는거는 자꾸만들어 좋다고 과장하는지 ,,,
물론 시간 단축해주고 유용하게 쓰이긴 하나...
몸에 해로운 물질이 많이 나온다는데 이건 정말 아니네요..
믿고 사서 잘데워먹으면서 전자렌지 저놈 아주 좋은물건이야...~
하고 당하고 사는 우리 들이 너무 불쌍해요..
어느 정도 안좋을 수도 있으니 잘 판단해라는 그런 댓글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전자렌지 당장 버릴렵니다47. 보리피리
'08.12.1 8:35 PM전자렌지에 들어갔다가 나오면 위험한것은
특히, 지방이 많은것입니다.
예) 생선, 소돼지닭고기, 튀김 등을 데울때 또는 해동할때
지방변한거하고 쥐약하고 동량 실험하면 지방변한것이 치사율이 높았습니다.
서서히 누적되어 우리 몸을 못살게 군답니다.
굳이 쓰신다면 물데워 먹을때만 ...
음식녹는거 들여다보면
두뇌속(레시틴 같은 지방-인지질이 많지요)이 난리나겠지요?48. 도레미
'08.12.1 9:24 PM정말 어디 구석에다 치워버려야겠어요^^
부엌에 있으니 자꾸 쓰게되네요^^
아예 문을 꽁꽁 테이프로 발라버려야지~~49. 아이둘
'08.12.2 11:05 AM얼마전 이런 글 보고 밥 데워 먹던 건 어쩌나 하면서 뚝배기에다 데우기도 하고 전기밥솥 그냥 재가열 한번 하기도 하고 아주 가끔은 그냥 살짝 데우기도 해요..
아무래도 전자렌지는 없애던지 행주삶기만 해야겠죠?50. 쿠키맘
'08.12.2 11:56 AM딴건 그냥저냥 없어도 살만한데 밥 데우기엔 전자렌지가 딱인데 이 얘기 듣곤 찜찜하네요.
찜솥에다 데우라시니 한번 실시 해볼랍니다.51. 끼안띠
'08.12.5 11:13 PM습관이란 무서워서 저도 처음엔 전자렌지 베란다에 놔두고 안쓸려니 저도 모르게 자꾸만
바쁜시간에도 베란다로 밥들고 고기들고 정신없이 들랑날랑 거렸는데요 어느날 렌지속에
곰팡이가 난걸보고는 ~~청소하기 싫어서 그냥저냥 냄비에 물끓여서
밥데우고 계란찜도 냄비에 중탕하고 하면서 에고 게으름도 병이라는데 에고.. 하며 청소
하려고 별르고 별르고 몇달간적있었어요 어느날 오잉? 전자렌지 없어도 살겠네 몸에도 안
좋은 렌지 ㅠ 사실 전 뭔 증후군처럼 렌지나 식기세척기 돌리면 머리뒷쪽이 흔들거려서
얼른 스위치 누르고 도망가있다가 끝나는 소리나면 주방오고그랬었죠 늘 그래서 전기와는 안친한
사람이구요 그뒤로 버텨보니 없이도 얼마든 가능하더라구요 급할때가 있긴하지만 참고 다른
대안을 찾았죠 지금 전자렌지 안쓴지 2년도 넘었는데 이젠 생각도 안나고 전자렌지 돌아가는
소리안나서 쾌적한 주방 된것같아요 냉장고 의 윙 돌아가는 소리만 없다면 정말좋을듯요
전기제품 절대로 좋아할것 못됩니다 지름신이 자꾸시켜서 이것저것 장만 하고싶다가도
전기제품 이로울것 없다고 생각하면 정말 자제 하게 되더라구요
참고로 저는 머리흔들리고 부터 전자파 예민해져서 전자파에 대해서 많은 검색 해본결과
모든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더라구요 그중 전자렌지 가 강하고
오븐도 매우 강해서 전기오븐 신경쓰이구요 먹고 건강할려다가 더병얻는건 아닌가 생각도들고
휴대폰이 가장 큰 골칫거리예요 ㅠ 문명의 이기를 현명하게 사용해야겠어요^^52. 라이박
'08.12.23 4:26 PM전기레인지 사용 하지 말아야 겠네요~
그럼 오븐을 하나 장만해야 하는데,,
광파 오븐은 괜찮을까요??
꼭좀 알려주세요ㅜㅜ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추천 |
---|---|---|---|---|---|
12443 | 코스트코에서 하기스매직팬티 5단계 싸게 파네요. 9 | 저녁바람 | 2008.11.30 | 3,299 | 12 |
12442 | [가습기] 작아도 쏠쏠한 놈. 10 | 쵸코코 | 2008.11.30 | 8,354 | 48 |
12441 | 코스트코 대구점 포트메리온 그릇입고~ 11 | 새댁 | 2008.11.29 | 8,380 | 66 |
12440 | pc용 가계부- 따꿈이 가계부 v302. 50 | 네오 | 2008.11.29 | 12,668 | 64 |
12439 | 주방 한켠엔..남의 집 주방도구 구경^^ 12 | 나오미 | 2008.11.29 | 13,296 | 73 |
12438 | 칼갈이 봉으로 칼 가는 방법. (제이미제이크님 요청) 15 | 현랑켄챠 | 2008.11.28 | 15,663 | 19 |
12437 | 팜므파탈님의 스텐도시락소식 궁금해 하셨던 분들 보세요 37 | 왕년에 | 2008.11.28 | 13,567 | 64 |
12436 | 전자렌지 전자파땜에 심장이 벌렁벌렁.. 52 | 두리네 | 2008.11.28 | 22,453 | 78 |
12435 | <행복이 가득한 집>에서 문의드립니다. 6 | 서지희 | 2008.11.28 | 6,557 | 43 |
12434 | 구멍난 양말로... 9 | 해송 | 2008.11.28 | 7,042 | 17 |
12433 | 호떡누름기..없으신 분들은 이것으로..대용품 36 | 복슝~ | 2008.11.27 | 14,309 | 79 |
12432 | 하나 .님이 추천해주신 스타픽스 선반 구입했어요. 23 | 정우마미 | 2008.11.27 | 12,609 | 67 |
12431 | 식용유닦아내기 12 | 해송 | 2008.11.27 | 7,701 | 15 |
12430 | 정말이쁜그릇바자회 11 | 돈까밀로와뻬뽀네 | 2008.11.26 | 11,061 | 74 |
12429 | 정수기 만들었어요! 13 | monnani | 2008.11.26 | 7,248 | 19 |
12428 | 칼가는 법과 한쪽날 갈기의 이점 16 | 현랑켄챠 | 2008.11.26 | 7,406 | 36 |
12427 | 또 소소한 이야기지요~~^^;; 16 | 하늘아래 | 2008.11.26 | 7,537 | 24 |
12426 | 양배추 채칼 이거 좋네요~ 17 | 린 | 2008.11.26 | 15,760 | 32 |
12425 | 벤리너 채칼에서 벗어나다 ^^ 8 | 재은맘 | 2008.11.25 | 10,492 | 83 |
12424 | 디자인스킨소파 구입했어요^^ 15 | 윈터메리쥐 | 2008.11.25 | 11,551 | 58 |
12423 | 그릇 카페라고 하네요. 12 | 아줌마 | 2008.11.25 | 11,302 | 113 |
12422 | 코렐만큼 편한것 뭐 없을까요? 5 | 달빛사랑 | 2008.11.24 | 6,128 | 20 |
12421 | 노벨라 비데 써보니 좋아요, 5 | 연성맘 | 2008.11.24 | 3,111 | 42 |
12420 | 일반 보일러 사용법 4 | 김명진 | 2008.11.24 | 5,726 | 95 |
12419 | GE냉장고 30 | 띵호맘 | 2008.11.23 | 13,134 | 27 |
12418 | 무슨 칼들 쓰고 계시나요? 14 | 현랑켄챠 | 2008.11.23 | 8,559 | 19 |
12417 | 룸바 560 전시품 판매 & 이마트 3만원 이상 무료배송 행사 .. 8 | 에밀리 | 2008.11.23 | 5,095 | 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