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마가린이 몸에 안좋은가요???

| 조회수 : 4,406 | 추천수 : 0
작성일 : 2004-10-30 09:52:44
어머,전 몰랐어요....어느 님의 댓글에 첨가물이 많아서 안좋다고 적혀있길래...
머핀이나 쿠키 ...칼로리가 엄청나잖아요..애들은 자꾸 만들어달라고하고...
전 그래서 저지방 마가린 쓰거든요....것두 레시피의 반정도만.....가루분은 우리밀이나 찹쌀가루쓰구요....
마가린..몸에 안좋은거여요???ㅜ.ㅜ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름드리
    '04.10.30 11:06 AM

    당~연히 안 좋답니다.
    마가린이란 식물성 기름의 불포화지방산을 높은 온도에서 화학적으로 수소와 결합시켜 포하지방산으로 만든것이다. 식물성 기름은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데 가공과정을 거쳐 고체화된 식물성 기름을 만들어 낸 것이다.
    마가린은 버터가 동물성이라 그 대안으로 제시되기 시작했는데, 하지만 식물유에 수소만 첨가시킨다고 노란색의 가공버터가 나오는게 아니었기때문에 거기에 버터옐로라는 색소를 물들이고 버터향을 섞어 가공버터를 만들어내게 된다. 버터옐로는 최기형성 물질로 알려져 있고. 식용유 등 유가공식품에 첨가되는 합성 항산화제인 BTA, BHT도 FDA에서 최기형성물질로 판정되었다. 그런데도 우리가 먹는 많은 가공식품에 버젓이 첨가되고 있는게 현실이다
    마가린은 말로만 식물성이지 가공과정을 통해 지방이 동물성 식품에 들어있는 포화지방산으로 변해버린 상태이다. 그리고 가공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트랜스형 전이 지방산은 지방으로서의 생리작용도 할수 없게 된다. 그런데도 많은 주부들은 올바른 정보의 부재 상태에서 참기름. 들기름과 같이 원료가 식물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식물성 마가린도 좋은것으로 착각하게 된다..

    이상 "밥상을 다시 차리자"라는 책에서 잠깐 정리하여 썻습니다..마침 어제 읽었던 부분임다...

  • 2. 새싹
    '04.10.30 11:45 AM

    그럼 질문 한가지할께요.. 버터, 마아가린이, 식용유 셋 중에서 빵 만들때 어떤게 가장 건강에 좋은가요? 항상 레시피대로 식용유를 넣으면서 깨름찍했거든요. 그래서 마아가린을 쓰기도 하는데 마아가린도 안좋다면 어떤 재료를 쓰는 게 좋을지 조언을 부탁합니다...

  • 3. arsen
    '04.10.30 12:36 PM

    아름드리님 글 신랑 좀 보여줘야겠어요..
    이 사람 마아가린없이는 밥을 안먹으려 한답니다..
    '세상에 이런일이'에 출연신청 하고플 정도에요...
    늘 한다는 말이 '식물성이라고 되어있어서 괜찮아!!'
    퇴근하면 드리님 글 보여줘야지..^^

  • 4. 영어공부
    '04.10.30 2:01 PM

    제가 알고 있는바로는.. (저희아버지가 당뇨시라)
    마가린은 0, 버터는 x 라고 알고 있거든요
    당뇨 책자마다.. 아무래도 버터보단 마가린이 나은가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아름드리님 글 읽고나니.. 좀.. 그렇군요.. 역시 아는만큼 보이는건데^^
    그래도 버터보단 낫지 않을까요? -.-a
    책자 요약하자면, 버터는 삼가하고 쌀기름, 해바라기 오일로 만든 마가린 적당량 오케이
    거든요. ^^

  • 5. 마주보기
    '04.10.30 2:02 PM

    버터보다 마가린 류가 심장과 혈관에 더 나쁘다고 들었거든요.
    저희엄마도 당뇨신데요, 버터는 싫어하시는데 대신 튀김을 좋아하세요.
    트랜스지방은 식물성 기름을 가열할 때도 생긴다고해서
    튀긴 음식도 가능하면 안 드릴려고 하는데, 쉽지 않네요.

    http://www.samna.co.kr/ddt/wlqkd.htm
    http://www.bosa.co.kr/special/view.asp?board_pk=6258&page=4&what_board=1

  • 6. 베이글
    '04.10.30 3:35 PM

    그럼 새싹님 말처럼 빵만들때 뭘넣어야하나여? 그나마 버터가 젤 나은가여?..
    으~~윽,오늘 아침에 치즈머핀 만들면서 버터200G-->저지방마가린70G으로 대체하곤 칼로리 낮췄다고 뿌듯해했는데...우짠데여..집에 있는 머핀들.....갑자기 애들 못먹이겠어요...흑흑..

  • 7. 아름드리
    '04.11.1 5:17 PM

    액체 상태의 식물성 지방을 마가린.쇼트닝 등 고체.반(半)고체 상태로 만들고 산패(酸敗)를 억제하기 위해 수소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시스형이 트랜스형으로 바뀐다. 이 지방은 또 식물성 기름을 튀길 때도 상당량 발생한다. 튀김 식품이나 패스트푸드에 트랜스 지방이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트랜스 지방은 마치 동물성 지방(포화 지방)처럼 작용하며 세포막을 딱딱하게 만들 뿐 아니라 나쁜 콜레스테롤(LDL)을 증가시키고 좋은 콜레스테롤(HDL)을 감소시켜 심장병.동맥경화를 유발.악화시킨다. 특히 혈중 콜레스테롤에 대해서는 버터 등 동물성 지방보다 2배쯤 더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근거로 "마가린이 버터보다 건강에 더 해롭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트랜스 지방이 간암.유방암.위암.대장암 등 암.당뇨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특히 대장암.유방암은 동물성 지방 섭취량이 늘어날수록 발생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트랜스 지방도 마찬가지라는 것.
    가장 대표적인 트랜스 지방 식품은 마가린과 쇼트닝이다. 특히 딱딱한 스틱 마가린의 트랜스 지방 함량은 부드러운 마가린보다 월등 높다. 아이들이 즐겨 먹는 피자.팝콘.토스트.튀김류.패스트리.햄버거.도넛.케이크.파이.쿠키 등에도 많이 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9년 12월호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용 즉석 팝콘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았다. 다음은 냉동 피자, 버터와 마가린이 많이 든 패스트리나 토스트, 모카 케이크 등의 순서였다. 국내 식품에도 트랜스 지방 함량 표시가 의무화될 때까지 소비자들은 '사려깊은 회피'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올리브유 등 자연산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고, 패스트 푸드나 튀김 등 트랜스 지방과 포화지방의 함량이 높은 음식은 피하며, 조리시 마가린을 쓰는 경우 가능한 한 찻숟가락당 포화지방 함량이 2g 이하인 것을 써야 한다.
    또한 버터는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서 안좋은듯.. 기름은 되도록 재래식으로 짜낸 참기름과 들기름 .미강유를 사용하는것이 좋고 되도록이면 안 좋은 것은 차라리 안 먹는것이 좋을듯...
    식용유를 쓰려면 압착올리브유를 사용하는것이 좋다고 함...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0611 해감안된 바지락들을 어찌 활용해야 하나요? 2 wanine 2004.10.30 2,983 7
10610 발사믹 식초 대체할만한 것은? 3 walnut 2004.10.30 3,206 0
10609 맛있는 쥐포 사려면요?? 3 헤스티아 2004.10.30 1,049 5
10608 모과차 맛이 원래 어떤가요? 4 크리스 2004.10.30 5,437 0
10607 help me~ 쥐포를 샀는데 맛이없어요..어떤요리를 해먹어야할.. 10 뽀마드왕자 2004.10.30 1,049 1
10606 천사채가 뭔가요? 6 트리안 2004.10.30 2,807 0
10605 아 글쎄 호박이 ... 1 수수맘 2004.10.30 1,029 0
10604 마가린이 몸에 안좋은가요??? 7 베이글 2004.10.30 4,406 0
10603 고구마에 싹이 났어요.. 3 amelia 2004.10.30 1,185 0
10602 곰탕 국물 색깔... 7 김규리 2004.10.30 4,955 1
10601 표고버섯 장조림 알려주세요. 낙엽향 2004.10.30 589 4
10600 시어머니 생신상 메뉴 좀 봐주세요.. 49 정주연 2004.10.30 923 1
10599 요시다 데리야키 소스요..ㅣ. 6 로로빈 2004.10.30 4,191 0
10598 뱅어포 말이예요, 3 호수마을 2004.10.29 827 0
10597 간장라면 맛있게 해먹는 법 알려주세요! 2 에밀리 2004.10.29 804 3
10596 코스드코에서 산 이탈리안 스튜드 토마토 먹기 2 뮤즈 2004.10.29 1,184 0
10595 잔멸치가 많아요.. 3 하늬맘 2004.10.29 737 0
10594 우럭매운탕 끊이는법 알려주세요.. 조현주 2004.10.29 1,887 6
10593 양갱하다 남은 팥 처리 방법 좀 5 딸기 2004.10.29 698 0
10592 오이소박이 했는데요..좀 써요.ㅠㅠ 3 달. 2004.10.29 1,079 0
10591 구기자,수삼,대추로 만든 차,어떻게 하나요? 2 고니 2004.10.29 1,002 0
10590 표고 말리는법좀 갈켜 주세여.. 4 유경맘 2004.10.29 1,495 0
10589 생크림에 관한... 2 cook엔조이♬ 2004.10.29 717 1
10588 A1소스와 국내 돈까스 소스.. 머가 틀리죵..? 2 탱수니 2004.10.29 2,485 1
10587 [re]저는 여기서 추자도 멸치젓 낱개로 샀어요. 1 2004.10.29 2,69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