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농약과 유기농의 차이가 뭐지, 저농약과 무농약은 어떻게 다른거야?”
백화점 식품 매장을 찾은 주부 박안전씨(가명)는 다른 품목보다 가격이 비싼 ‘친환경 식품 코너’를 보고 의문점이 생겼다.
제각기 유기, 무농약, 저농약 등으로 구분된 이들 농산품의 품질 인증의 차이가 뭔지 궁금해진 것.
무농약이면 몰라도 저농약이라면 농약을 사용했다는 의미일텐데 왜 품질 인증을 줬는지 이해가 되지 않고 여기에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제도까지 등장하면서 비슷비슷해 보이는 이들 품질 인중 가운데 과연 가장 안전한 먹거리는 무엇인지 좀 체 알 수가 없는 박씨다.
▲친환경농산물인증제도=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위해 정부가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로 농산물의 경우 유기, 무농약,저농약 농산물로 구분되고 축산물은 유기, 무항생제 축산물이 있다. 우리기 흔히 말하는 친환경농산물은 유기, 무농약, 저농약 농산물을 말한다.
이들 품질 인증은 생산 농가가 희망하는 경우 생산 여건과 품질 관리 상태에 따라 심사, 인증 여부를 통보해주고 생산, 출하 과정 조사를 거쳐 적격품에 한해 인증 표시를 거친 뒤 출하하게 된다.
‘유기재배’ 농산물은 3년 이상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이다.
토양환경보전법상 오염기준 이하인 토양에서 상수원 2급수 이내 지역에서 재배됐고 유기물이 3% 이상 함유된 농산물을 말한다. 인증 표시는 녹색이다.
통상 유기농 채소는 일반 야채보다 맛이 우수하다는 평이다. 화학비료로 생산된 것은 맛이 싱겁고 쓰지만 유기농으로 생산된 농산물은 맛이 더 달고 감칠맛이 난다는 것.
‘무농약재배’품목은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을 뜻한다. 인증 표시는 파란색을 띠고 있다.
‘저농약재배’ 표시 농산물은 농약을 사용하되 농산물 검사소의 권고량 이내로 재배한 상품이다.
잎이나 농산물에서 채취한 잔류농약 검출량이 농약잔류허용기준치의 50% 를 넘으면 표시를 받지 못한다.
단 제초제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인증표시는 주황색이다.
이들 3가지 품질 인증에서 가장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는 것은 단연 유기농산물이다.
유기 농산물은 일정 기준을 통과해 농림부 산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나 민간인증기관 5곳에서 ‘인증’을 받아야한다. 이중 유기농산물 인증마크는 농약과 화학비료와 유기합성 농약을 3년 이상(다년생 작물은 3년, 그 외 작물은 2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농산물을 키워야 하는, 가장 엄격한 기준을 통과할 때 붙일 수 있다. 따라서 무농약·저농약 농산물은 유기농 농산물과 같은 뜻이 아니다.
그밖에 우수농산물 관리제도(GAP·Good Agricultural Practice)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데 GAP는 생산과정부터 수확, 포장, 운송, 도매, 소매, 소비자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농산물에 들어가는 농약, 중금속등을 관리하고, 생산 및 포장 운송과정의 청결도까지 점검하는 제도다.
지난 2006년 농협 중앙회가 농림부에서 권리를 이양받아 관리 지도를 맡고 있으며 전국 7820개 농가에서 GAP 마크를 단 농산물을 시민들의 식탁에 제공하고 있다.
대전·충남지역은 부여 굿뜨래 멜론과 토마토, 당진 쌀, 천안 성환배, 논산 양촌딸기 등의 품목에서 421개 농가가 GAP인증을 획득했다.
▲주의할 점 = ‘100% 유기농’이 모두 ‘국산’은 아니다. 일부 소비자들은 ‘유기농’이란 용어가 붙은 가공식품이 100% ‘국산’ 원료를 사용한 것으로 오인하고 있지만 현재 대다수 가공식품군에는 수입 원료가 포함돼 있으므로 ‘100% 국산원료 유기농’인 제품은 매우 드물다.
특히 국산 유기농산물은 반드시 국내 인증을 받아야 유기 표시 및 판매가 가능하나 가공용 유기농산물은 국내 인증을 받지 않고 외국의 인증만으로도 유효하디.
또 이를 원료로 가공된 식품은 유기가공식품으로 표시 및 판매가 가능한 상태라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 포장 뒷면에 ‘100% 유기농’이란 용어와 함께 원산지가 어디인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백운희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 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쌀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배우진 않았지만 대학교를 졸업하고 즉석정미 회사에 다니면서 쌀에 대해서 배운것과
유통에 대해서 배운것을 기억하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쌀은 대부분 농협Rpc(도정하는곳)에서 수매를 모두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을 각 회사들이 농협RPC와
계약을 하고 쌀을 현미, 백미로 구매하여 자체 회사에서 배합이나 특수처리를 하여 소비자에게 유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좋은 쌀을 구해하고 싶으시다면 한국유기농업협회 http://www.organic.or.kr/ 사이트에 들어가 판매처와
생산농가 연락처를 찾을 수 있으니 이왕이면 생산자에게 직접 사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한국유기농협회 > 친환경농산물현황 >친환경농산물 인증농가
친환경농산물관리 정보시스템
http://www.enviagro.go.kr/main.jsp
그럼 행복하세요!
http://www.cyworld.com/bada9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