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요리의 기본-나물 데치고 콩나물국, LA갈비맛있게 굽는 팁

| 조회수 : 17,465 | 추천수 : 64
작성일 : 2011-01-06 14:57:45



오늘은 소한..
그래서인지 무척 춥네요.

대한이 소한이네 집 가서 얼어죽는다는 속담도 있고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없다는 속담도 있을 만큼 대개 소한이 대한보다 더 춥다고들 하지요.

그런데 그건 체감추위탓도 크다고 해요.
11월 첫 추위가 겨울보다 더 춥게 느껴지는 건 그만큼 몸이 아직 추위에 덜 단련이 되어서 그런 것처럼 말이죠.
작년, 올해는 기상 이변이 심해서 그런지 정말 눈도 많고 춥고 그런  겨울이 계속되고 있으니 우리 마음이라도 따뜻하게 잘 보온해서 가지고 다녀야 되겠어요.


이번에 포항, 동해안 지역에 폭설이 내려서 시금치 농사를 마쳤다고 그러더군요.
농사 짓는 사람들이나 사 먹는 사람 모두 살기 힘든 요즘인 것 같아요. 이젠 치솟는 물가에 놀랍지도 않잖아요. 기름값도 많이 올랐고 말이죠.

아침에 연말에 사 둔 포항초를 살짝 데쳐서 무쳤습니다.

시금치같은 푸른 잎 체소들은 팔팔 끓여서 삶아 내면 금방 색이 죽기 때문에....
만약 파릇하게 삶아낼려면 통 어떻게 하면 좋은지 감이 안 오시는 분들이라면...물을 팔팔 끓을 때 불을 끄고 시금치나 근대, 쑥갓 같은 것을 넣고 젓가락으로 뒤적뒤적... 잔열에 익힌 다음에 찬물에 헹궈내시는 방법을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근데 이 방법은 집에서 한끼 무쳐 먹을만큼의 양을 삶을 때 유용한 팁이지 많은 양을 데칠 때엔 적당하지 않답니다.


또 나물을 파랗게 삶아 낼 때는 물이 팔팔 끓을 때 소금을 약간 넣은 것도 좋아요. 때론 식소다를 넣기도 하고 말이죠. 그런데 식소다를 넣을 때는 조심하셔야 해요.

왜냐면 나물 삶을 때 조리하는 물이 산성이 되는데 이 때 알칼리성인 식소다를 넣어주면 푸른 색이 살아나지만 너무 많은 양의 식소다를 넣거나 오래 삶아내면 나물이 물러지는 현상이 생기거든요. 그래서 고사리, 취나물 같은 묵은 나물을 부드럽게 삶아낼 때 식소다를 넣으면 잘 삶아내 지는 거거든요. 또 식소다를 넣으면 아무래도 비타민 C가 파괴되는 경향이 있다고도 하니 식소다는 주의해서 쓰셔야 한다는 그런 이야기죠^^

전 아주 작은 양의 시금치인지라 팔팔 끓는 물을 불 끄고 시금치 넣은 다음에  뒤적뒤적 익혀서 재빨리 찬물에 담궈 식힌 다음에 다진 파, 마늘, 깨소금, 맛간장, 참기름을 넣고 무쳤습니다.  소금도 넣지 않고 데친 거에요. 왜냐면 소금을 넣으면 아무래도 나물에 간기가 더 밸 테니까요.

이렇게 작은 나물을 하나를 무치더라도 가족의 건강과 영양을 고려한다면 주의해야 할 것들이 아주 많은 것 같습니다. ㅎㅎ

또 시금치는 나물 외에도 시금치된장국으로 끓여 먹어도 요즘 맛이 좋은데요..아무래도 된장국은 시금치를 오래 끓이기 때문에 비타민이나 엽산같은 것이 파괴되어서 좋지않다고 합니다. 나물로 먹는 것이 영양면에서 더 좋다는 이야기지요





오늘은 얼마 전에 재워둔 LA갈비를 메인으로 구워서 상에 올렸어요.
이 날 고기 재운 이야기며 레시피는 이 날 밥상 이야기 참고하시면 될 듯 합니다.

http://blog.naver.com/hwa1875/120121106538 :: 2010년을 열심히 산 그대에게 바치는 밥상



원래 LA갈비 요리하기가 쉽질 않아요.
왜냐면...그냥 찜처럼 하자니 기름기가 없애기가 어렵고, 양념에 재워 숯불로든 오븐으로든 구워먹자니 너무 뻐쩍 마른 느낌이라 또 그렇거든요.
그런데 이 방법으로 하면 기름기도 없애면서 촉촉하게 맛이 배인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어 참 좋습니다. 일단 여러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서 방법 자체도 편리하고 말이죠.

고기핏물 제거-> 넉넉하고 짜지 않은 고기간장물 양념에 1~2일 재워 숙성시키기-> 예열한 오븐에 촉촉하게 굽기-> 맛있게 먹기.... 참 쉽고 간단하죠?

이 방법.... 자신있게 추천해드립니다.... 맘껏 따라해보셔도 될 듯 합니다.







요즘 한동안 공부하고 책 읽는데 게을렀더니 몸과 머리가 금방 굳어버렸어요.
좋은 습관 들이기는 어려운데...한번 그 습관을 놓치고 다시 새롭게 길들이기란 얼마나 어려운지 실감하는 요즘입니다.
그래서 어제는 작심하고 책을 오래 붙잡고 있었더니 저녁 나절엔 머리에서 포화상태 쉬어달라 아우성을 치더군요.

그래서 침대에 누워 졸다 잠이 들었나 본데...오늘 아침에 주방에 나가보니 저녁 먹고 설거지를 다 마쳤건만 밥을 대충 먹은 흔적이......
남편에게 물어보았어요...당신 어제 집에 와서 저녁 드셨어요? 응~~~
아니 왜...... 저녁 안 먹었으면 나보고 차려달라고 하지 왜....... 그냥 대충 끼니를 때워 먹은 것이 영 마음에 걸려서 그랬더니만
피곤해서 자는 사람 뭐하러..... 그냥 내가 알아서 먹으면 되는 거지... 이럽니다.
남편도 나이들어가나봐요.... 콧등이 찡해옵니다. 괜히 미안하고 고맙고... 그랬어요.

아침을 준비합니다.
요 며칠 기운 없을까봐 사골곰국을 주었는데.... 오늘은 시원하게 콩나물국을 끓일까 싶어 준비하고..... 현미를 충분히 불려 현미밥을 안칩니다.

참 조심해서 몸관리도 하고 먹는 것도 신경써서 먹는 편이지만 혈압에 당뇨까지 가족력이 있는지라 남편 건강이 무척 신경쓰이는 요즘입니다.




되도록이면 현미나 잡곡를 섞은 밥을 하려 하고...
콩이나 나물, 야채, 생선류를 자주 많이 먹으려고 하고....
되도록이면 굽고 부치고 튀기는 방법보다는 생식을 하거나 살짝 데쳐서 먹는 등 조리방법에도 세심하게 신경을 쓰는데도....여전히 왠지 부족한 느낌이 드는 건 왜 그럴까요?
자꾸 수명은 연장된다고 하는데..... 그것보다는 사는 동안...자신에게도..가족들에게도 짐이나 걱정거리가 되지 않도록 건강을 잘 유지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오늘도 생두부를 그냥 따뜻하게 데쳐서 상에 놓았습니다.

두부에는 콩 자체에도 간이 들어 있는데다 두부를 만들 때 이미 소금을 넣기 때문에 따로 양념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 우리는 자꾸 습관적으로 짜게 먹는 건 아닐지 모르겠어요.
그래서 되도록이면 그냥 날로 먹거나... 좀 아쉽다 싶으면 김치와 함께 곁들여 먹도록 합니다.






알배기 배추도 한통 사서 연말에 물김치 한통을 담았어요.
얼마전 82쿡 보라돌이맘님이 깍두기에 유산균 음료를 넣어 양념하시길래...저도 한번 실험 삼아 물김치에 이~ 라고 이름붙여진 유산균 음료를 한통 넣어 보았어요.
김치가 발효되면서 유산균이 생긴다지만 왠지 이렇게 하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말이죠.




찹쌀풀은 연하게 끓여 부은 김치국물에 유산균 음료를 넣었던 것인데 익지 않았을 때는... 야쿠르르 맛이 강해서 괜한 짓 한 것 아닐지 걱정이 되더니... 익으니 괜찮아지네요.
맛이 특별히 더 좋아진다 싶은 건 잘 모르겠네요. 익으니 나쁘진 않은데.. 유산균 음료를 넣어서 더 맛이 좋아진다는 그런 건 없는 것 같아요.
물김치라는 것이 적절한 양념 배합으로 잘 숙성시키면 시원하고 톡 쏘는 그 맛은 나니깐 말이죠.
하지만 이런 실험정신을 가지고 있는 건 삶에서 중요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ㅎㅎㅎ


시금치를 무칠 때에는 약간의 간장이 들어가는 것이 소금으로 무칠 때보다는 맛이 좋아지지요.

오늘은 어느 절 공양간 보살님이 담그셨다는 맛간장으로 무쳤더니 그 분의 정성이 들어가서 그런지 맛이 좋았어요.
15가지의 한약재와 천연 재료를 넣어 만드셨다는 맛간장이었거든요.
15가지가 중요한 것은 아니나 그 속에 담긴 정성과 애정이 느껴져서 쓸 때마다 소중하게 아끼며 쓰고 있어요.






콩나물 무침과 무말랭이진미채무침도 상에 올렸어요.









모듬 전입니다.
물파래를 그냥 무쳐만 먹는 건 심심해서 반죽해서 부쳐본 파래전이고요..위에는 바지락 조갯살을 고명처럼 올렸어요.
그리고 아이들이 좋아라 하는 고구마전, 그리고 대구전과 연근전입니다.





아무리 부치고 튀기고 하는 방법을 자제하려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이런 것들이 땡기는 날도 있고... 기름기도 조금은 먹어줘야..... 추운 겨울 견디기가 낫지 않을까 싶어서요.






김장김치와 무 깍두기, 그리고 연근과 생오징어 오븐구이, 그리고 소고기 장조림과 골뱅이 무침입니다.












한상 가득 차려 놓고.......
구운 김을 좋아하는 가족들을 위해서 김도 올려 놓았습니다.







현미밥과 따끈한 콩나물국...
콩나물국..... 가장 기본적인 국물요리지만 맛나게 끓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콩나물국 맛있고 시원하게 끓이는 저만의 팁을 나누자면..

1. 일단 콩나물의 양을 많이 넣도록 한다. 국물은 적게 잡고 건더기를 많이 넣어야... 국물이 진하고 구수해집니다.
2. 오래 끓이지 않는다... 그래야 아삭한 콩나물의 질감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3. 간은 천일염, 홈메이드 맛소금, 또는 새우젓, 멸치액젓으로 간을 해야 맛이 좋고 쓴 맛이 나질 않는다. 꽃소금이나 일반 맛소금은 좋지 않아요.
4. 양파, 대파, 홍고추를 넣어야 더욱 감칠맛이 난다.






전 오늘.... 콩나물을 듬뿍 넣어서 건더기를 리필해가면서 먹었습니다.
콩나물국으로 싱겁게 해서 먹는 콩나물 넉넉히 먹으면 섬유질이 많아 겨울철 비만이나 변비에도 좋으니까요.





뭐니뭐니 해도 집밥을 든든하게 잘 먹는 것이 가장 큰 보약이 아닐까 싶습니다.
주어진 삶을 사는 동안은 건강이 제일 중요한 것이니까요.





겨울에는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를 잘 챙겨먹는 것도 중요하기에  아침밥상에 늘 과일도 잊지 않고 챙겨 놓습니다.
오늘은 단감, 배, 그리고 한라봉으로 준비했어요.



요즘 막내가 관심을 가지고 배우려하는 요리도 그렇고....
어쩜 많은 분들이 학원이나 쿠킹 클라스에 가도 배울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요리방법을 궁금해하는 것은 아닐까 싶어서...2011년에는 그런 점에 포인트를 맞춰서 글을 써 볼까 싶기도 합니다.

이 참에 막내 요리도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안을 작성해 볼까 싶기도 하거든요.....
관심있으신 분들은 어떤 것들이 알고 싶은지....배우고 싶은 것들이 무엇인지..알려주시면 연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즐겁고 따뜻하게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오늘 무척 춥더군요.... 나가실 때 따뜻하게 잘 여미고 나가시고요^^

프리 (free0)

음식 만들기를 참 좋아해요.. 좋은 요리 친구들이 많이 생겼으면 합니다.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빈틈씨
    '11.1.6 3:06 PM

    꼼꼼하게 잘 읽었어요 프리님. 항상 좋은 글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
    제가 원래 이렇게 인사성 덧글을 남기지 않는 인간인데 -_-;; 프리님 글은 내용이 알차서
    안 남길 수가 없어요. ㅎㅎ
    참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2. 올리브
    '11.1.6 3:19 PM

    대학생인 큰딸이 요리를 하나도 못해서 가르치고 싶어도, 가르친다는 것도 어렵다는 생각에 주저하게 되네요~ (사실은 제가 가르치는 방법을 잘 모르겠어요 ㅎㅎ)
    항상 느끼지만 물김치 사진을 보면서 프리님 요리를 배우게 해야 겠다는 생각이 더 듭니다.^^

  • 3. Xena
    '11.1.6 3:37 PM

    프리님 밥상은 언제나 정갈 그 자체~
    오모 막내양이 요리를 배우고 싶어하나 봐요?
    프리님 따님이니 배우면 당근 얌전히 잘 하겠죠?
    프리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4. 옥수수콩
    '11.1.6 3:56 PM

    오늘도 정독했습니다.
    배워도배워도 끝이없네요...
    키톡에 늘 올려주시는 이런 글들을 보면서 밥상의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콩나물국 팁....갈비재우기 팁....
    감사드려요...
    근데요...지난번 버섯덮밥 레시피좀....좌송하와요...--;

  • 5. 마리
    '11.1.6 4:51 PM

    앗, 프리님.. 감사해요.
    이런 소소한 요리의 기본.. 정말 필요했거든요.
    책에서는 알 수 없는 프리님만의 요리의 지혜..
    집만 가깝다면 요리비법 전수받으러 프리님댁으로 가고 싶은 마음이에요..ㅋㅋ
    뭐든지 기본이 중요하잖아요.
    궁금한 것 정리해서 프리님께 질문드려도 되겠죠?ㅎㅎ

  • 6. 진병숙
    '11.1.6 4:58 PM

    콩나물국 팁 잘 배워갑니다. 고맙습니다.

  • 7. 오렌지피코
    '11.1.6 5:29 PM

    작은따님 얘기를 듣자니 저도 생각나느게 있어요.
    제가 처음으로 부엌에 들어서서 요리 배우기 시작한 때가 딱 작은따님 때였어요.
    저는 학력고사 세대인데, 대학 입학 시험 치르고 합격자 발표나던 날.. 그날이 제가 처음으로 밥 한 날이지요.ㅎㅎ
    저는 뭐 제가 배우고 싶어서는 아니고 엄마가 강제로 가르치셨습니다. 합격자 발표 났다고, 신이나서 집에 돌아왔는데 엄마는 제일먼저 설겆이부터 하라고 시키시더라구요. 그때부터 일주일에 한개씩 메뉴 정해서 차차 배워 나갔어요.

    한참 대학다닐때라 놀기 바빠 배우기 싫고 귀찮아 하기도 했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제일 한가한 그때 잘 배워놓은거 같아요. 지금도 여전히 잘 써먹고 살고 있고요. 신혼때 다들 김치찌개 하나에도 헤매고 그럴때 저는 그런 시기가 없었거든요.
    무엇 보다 제일 좋은것은 가끔 생각나는 다른덴 없고 우리집만의 음식, 엄마 손맛이 있어요. 그럴때면 얼추 비슷하게 제손으로 만들어 먹을수 있다는게 좋아요. 딱 그맛은 아니라도 비슷하게 흉내라도 내니 어디예요? 요리학원에 가도 안가르쳐 주는거니까요. ^^

  • 8. 금순이사과
    '11.1.6 5:44 PM

    식단이 너무 정갈하고 맛깔나게 보입니다.^^
    정성과 사랑이 뜸뿍입니다.^^

    저두 한수 배웠습니다.
    행복하세요~^^

  • 9. 가브리엘라
    '11.1.6 10:43 PM

    저도 진미채 무말랭이랑같이 무쳐봤더니 그동안 진미채도 그닥 안좋아하고 무말랭이는 더더구나
    안좋아하는 가족들이 금방 비워내네요.
    무말랭이를 물기만빼고 꼭 짜질 않아서 물기가 약간 나왔지만 그래도 맛있었어요.
    프리님 말씀대로 약간의 실패를 통해 다음엔 무말랭이물기를 좀짜줘야겠단걸 터득.
    그럼 저도 앞으로 궁금했던거 마구마구 올려도 되는거죠?

  • 10. 파란하늘
    '11.1.7 2:16 AM

    단아하고 정갈한 밥상이 오늘따라 더욱 건강식으로 보이네요.
    막상 누군가에게 요리를 설명하자면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함을
    느끼곤 했는데, 늘 자상한 설명을 잊지 않으시는 프리님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네요.
    따님덕분에 새롭게 요리를 배우게 됐군요.^^

  • 11. annabell
    '11.1.7 7:51 AM

    언제나 한상가득 차려진 프리님네 밥상을 보면 늘 부러움이 앞섭니다.
    그리고 저 밥상을 위해 고생하셨을 프리님의 노고를 생각하게 되구요.
    가족을 위한 맘이 아니면 안되겠죠.

    친구가 한국요리책을 두권이나 보내줘서 열심히 읽으며
    연구중입니다.
    만들어서 꼭 올리라는 부탁과 함께.
    덕분에 제가 2011년엔 더 부지런해질거 같아요.

    따님덕분에 저희가 요리의 기본을 배울수 있게 되어서 너무 감사해요.
    무말랭이와 진미채의 조합.
    따라해봐야겠어요.

  • 12. smileann
    '11.1.7 11:03 AM

    프리님, 저도 덕분에 많이 배우게 되겠어요. ^^
    결혼 18년차인데도 못하는 요리가...엄청 나거든요. ^^;;
    감사하게 생가합니다.
    매일 기다릴께요~^^

  • 13. 레인보우
    '11.1.7 12:22 PM

    프리님
    반찬을 담은 사각 접시들이 심하게 맘에 드는데요 ^^;
    괜찮으시면 어디그릇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 14. 가브리엘라
    '11.1.7 12:47 PM

    레인보우님~
    프리님이 아직 출석안하신관계로 제가 대신 ^^::::
    사각그릇은 이마트 자연주의제품인데 지금은 단종됐다네요.
    저도 볼때마다 이뻐서 사고싶었는데.. 아마 그릇보다 그안에 담긴 음식이나 프리님정성땜에 저그릇들이 더 돋보이는게 아닐런지요.
    저는 꿩대신 닭이라고 뉴**에서 모던하우스껄 몇개샀는데 사각이긴한데 얕아서 쫌 아쉽..

  • 15. 레인보우
    '11.1.7 3:05 PM

    가브리엘라님 감사합니다 ^^
    이마트몰에서 검색해보니, 네오사각찬기/네오심플사각접시랑 비슷해보이는데,
    직접가서 한번봐야겠네요 ^^

  • 16. 인왕산
    '11.1.7 3:14 PM

    정성담긴 음식땜에 저 그릇들이 돋보인다는 말씀에 저도 공감백배!

  • 17. uzziel
    '11.1.9 4:56 PM

    어쩜 이렇게 그릇들과 담긴 음식들이 단정한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저희 남편에게 언제나 저런 밥상을 한번 차려줄지...--;;

  • 18. 유한 마담
    '11.1.11 10:28 AM

    앗 LA 갈비 얼마전에 했다 실패했는데~ 너무 짠 간장물에 재워서요 ㅋㅋ
    프리님 레시피 참고해서 담엔 꼭 성공해야 겠네요~
    하여간 프리님 밥상은 정말 언제 꼭 한번 받고 싶은 밥상이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3319 건강간식-흑미 누룽지?? 6 잠오나공주 2011.01.06 5,113 51
33318 요리의 기본-나물 데치고 콩나물국, LA갈비맛있게 굽는 팁 18 프리 2011.01.06 17,465 64
33317 적자나서 문 닫았던 김밥집 기억하시는분 ^^:;; 49 마리s 2011.01.06 23,179 109
33316 나머지.. 그동안 먹은것 올려봅니다..^^ 8 브라운아이즈 2011.01.06 5,763 54
33315 아이들 간식으로 만들어본 핫케익^^ 4 키위쥬스 2011.01.05 7,121 71
33314 그동안 해먹은 것 올려봅니다..^^ 12 브라운아이즈 2011.01.05 9,604 56
33313 교촌치킨 이전에 마스터하면 좋은 후라이드 치킨이에요^^ 12 아라리 2011.01.05 15,039 2
33312 막내에게 요리를 가르치다 :: 된장찌개, 양파마늘치킨. 그리고 .. 23 프리 2011.01.04 14,566 60
33311 순덕이 엄마의 연말, 연초 이것저것..^^ 49 순덕이엄마 2011.01.03 37,349 0
33310 매일저녁밥상 2 7 마뜨료쉬까 2011.01.03 10,334 60
33309 햇볕에 바삭바삭 말렸으면 한다는... 10 오후에 2011.01.03 10,728 64
33308 보라돌이맘님, 덕분에 돈 아꼈어요^^ 6 꽃편지 2011.01.03 16,846 59
33307 새해 첫날 떡국과 뉴욕 타임스퀘어 신년맞이 13 에스더 2011.01.02 14,096 57
33306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chatenay에게 생긴일...^^).. 60 chatenay 2011.01.02 12,690 94
33305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13 매력덩어리 2011.01.01 7,385 61
33304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양파치킨후기+ 연말 메밀국수 4 꼬꼬댁 2011.01.01 13,028 74
33303 족발배달이 안되서 집에서 만들어먹음...ㅋ (레시피) - &g.. 48 부관훼리 2011.01.01 15,796 104
33302 새해 아침에 차 한잔 올립니다.^^ 4 금순이사과 2011.01.01 5,098 84
33301 2010년 한해정리 및 먹은것들... 49 나비언니 2010.12.31 12,567 76
33300 저 만의 교촌치킨입니다. 17 snowman 2010.12.31 16,817 112
33299 양파통닭후기, 약간의 응용편 & 아이의 동화책 23 LittleStar 2010.12.31 23,226 54
33298 2010년 아듀..많이 애쓰셨습니다. 그대들에게 바치는 밥상입니.. 20 프리 2010.12.31 9,267 52
33297 세상에서 젤 간단한 요리~~(드라큘라킬러) 6 바이제이 2010.12.31 10,132 63
33296 이것저것 먹고 산 이야기 15 베티 2010.12.30 9,736 50
33295 송년-환영 만찬 상차림 18 에스더 2010.12.30 17,839 79
33294 Dips 2탄 이요 ....TZATZIKI DIPS (ra.. 4 동초 2010.12.30 4,994 49
33293 보라돌이맘님 통닭구이 강추!! 15 행복이늘그림자처럼 2010.12.30 18,810 68
33292 얼큰한 동태찌게 2 유빈엄마 2010.12.28 8,283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