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논술이 정말,정말 그렇게 중요한가요? (입시치르신분들,중고생어머님들)
초4아이 엄마에요.
입시치르신 분들 그리고 중고생 아이 두신 엄마들께 여쭙니다.
진짜 그렇게 논술이 중요한가요?
저희아이 글쓰기 대다수의 남자아이들이 그렇듯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쓰라고 하면 쓰기는 하지만 수준은 그저 그렇습니다.
주위 엄마가 같이 논술보내자고 이야기하는데
정말 그렇게 필요한가요? 다들 중요하다고 하는데 제가 입시를 겪지 않아서 아직 모르겠어요.
그리고 어떻게 지도하시는지 조언부탁드릴게요.
진짜,,,논술 중요한가요? 사실,,저도 학교다닐때 논술이 어렵기만했는데...
이야기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1. 1111
'11.1.27 10:11 AM (118.34.xxx.195)올해 입시치른 고3맘입니다.
우리아이 논술전형으로 수시로 대학 갔습니다.
수능성적으로는 못갈 학교를 논술로 합격했습니다.
근데 이과였어요.
수학과 과학 논술이예요.
따로 논술 수업 안 받았어요.
수능 준비하느라 열심히 공부하고
내신 챙기느라 열심히 한 걸로
논술 시험 봐서 합격한겁니다.
몇몇 학교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에서 이과는
글쓰기는 필요없었습니다.2. 저도 고삼맘
'11.1.27 10:26 AM (59.10.xxx.187)간혹 논술을 문학적 글쓰기와 혼동하는 분들이 계셔서 노파심에 한마디 거듭니다
저희 세대가 학창시절 경험했던 백일장 식의 글쓰기는 절대 논술이 아닙니다
현재 대학 논술시험은 글쓴이의 지적 수준을 보고자 고안된 시험이지요
즉 중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과목들을 완전히 소화시켜 자신의 지식으로 체득해야
훌륭한 논술답안이 나올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이과라면 당연히 정답이 있는 수학 과학 문제가 논술문제로 나오지요
올해 서울대 정시, 고대 수시에서는 과학 관련 논제가 일부 출제되기도 했습니다
즉 문과에서는 아카데믹한 정보가 담긴 글을 읽고
논제를 파악하고 요약하는 능력을 묻기도 합니다
이는 중고등학교 사회 과학관련 과목들을 시험공부할 때
일정 범위를 숙독한 후 핵심을 파악하고 주요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과
일맥상통하지요
즉 논술능력은 초등학교때 논술학원에 다닌다고 해서 길러지는 게
결코!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물론 논술과 별개로 꾸준한 독서 자체를 위해 논술학원 보내신다면 약간의 효과를
기대하셔도 좋지만
초등 4학년 남학생에게 버거운 내용의 책을 반강제로 읽히고
(일부 학원에서 배포하는 전시용 목록을 보고 제가 기함한 기억이 납니다.. 요새도 그런지 모르겠지만)
그 결과물을 글로 쓰게 하는 교육은 역효과가 더 크리라 우려되네요
지금은 그냥 아이가 읽고싶어하는 책을 마음껏 읽게만 하셔도 됩니다
굳이 결과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글이 아닌 말을 통해서 하심이 어떨지...
훌륭한 글이라는 아웃풋은 수년에 걸쳐서 일단 인풋을 넘치도록 한 후에
기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부모의 조언입니다...3. 우와
'11.1.27 10:34 AM (115.137.xxx.13)위에 고삼맘님들 댓글 정말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글이네요.
저도 고민 많았는데 원글님 덕에 귀한 정보 알았네요.
원글님, 댓글님들 모두 감사합니다 ^^4. 제 말이요,,
'11.1.27 10:48 AM (58.148.xxx.15)영어든 논술이든 콘텐츠 없으면 아무런 소용없어요,,
논술이 뭡니까? 논리를 풀어쓴 글,,
초등학생 4학년은 그래도 이해되지만,,
유치원생들 대상으로 한 논술 수업도 많던데,,이해불가입니다.
초등생때는 무조건 책읽고,, 다양한 경험을 쌓아주는게 진리라고 생각합니다.
논술을 쓰는 형식은 배울 필요 있습니다,,
허나 고등학교 가서 배워도 별 무리없다고 생각합니다.5. 동감
'11.1.27 12:08 PM (110.15.xxx.251)위에< 저도 고삼맘>님 제가 하고 싶은 말 너무 잘쓰셨네요. 동감 백배입니다.
6. 맞아요
'11.1.27 12:29 PM (121.165.xxx.99)요즘 대입논술은 교과통합형 논술이라 주어진 다양한 짧은 지문들(5-6개)을 읽고 요약 비교 비판하는 건데 지문 안에서 모든걸 해결해야지 자신의 배경지식이 들어가면 오히려 감점입니다.그리고 제일 중요한게 정확한 논지파악 이게 안되면 다 엉뚱한 답을 쓰게 되지요.
7. 엄마
'11.1.27 12:59 PM (114.206.xxx.156)댓글주신분들 감사드려요. 도움이 되었습니다. ^^
8. 보스포러스
'11.1.29 8:59 PM (114.207.xxx.160)논술 채점 하던 친구들에게 들은 이야기 하자면요,
논지에서 벗어나지 않은 게 중요하지요,
그런데 지나치게 단정한 천편일률적인 답안보다 참신한 글은 눈에 뜨인 답니다.
논술 세부 평가항목이 여러 개 있지만
참신하고 창의적인 느낌의 글에는 일단 먼저 좋은 총점을 주게되고
일관성, 통일성, 표현력 등 세부 평가항목은 거꾸로 대충 때려 맞추게 되더랍니다.
첫인상과 흐름, 참신성 이게 중요해요.
참신성은 깊이있는 독서와 체험에서 나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결성,
체험과 책을 연결하고, 책 분야와 분야를 연결해 주고.
배우는 악기와 책을,
미술과 책을 이렇게 연결해 주는 게 중요해요.
그러니 북아트 같은 수업이 선진국에서 인기지요.
평소에 그냥 독서가 아니라, 의문이나 호기심을 갖고 능동적인 독서를 하도록
체험과 자기결정, 지역사회에 관심 이런 면에서 도움과
자극을 주어야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