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살아가는 게 다 돈인 것 같아요.
저희는 외벌이고, 꽤 괜찮게 월급을 받는 편이라고 생각해요.
양가 부모님 모두 연금 받으시고 사는 데는 지장없으셔서 살아계신 동안은 너희에게 생활비 받지 않겠다, 라고 하시는 분들이시고
아이도 하나이니,
이렇게 보면 상당히, 좋은 조건이겠죠?
그런데 너희에게 생활비 받지 않는다, 용돈 받지 않는다, 라고 하는 것이 한푼도 드리지 않는다, 라는 건
아니니까, 가끔 만나고 인사드리고 하는 데 지출이 반드시 들어가요.
제 친구들은 시댁과 친정에 각 30만원 이상씩 드리니까 저를 부러워하기도 하지만
생각해보면.... 저도 그 정도는 들어가는 것 같아요.
2주에 한번정도 뵐 때, 같이 식사하고 드라이브하면서 바람쐬고, 계절 바뀔 때 옷 한가지씩 사드리는 거
써놓고 보니까 간단하지만............. 근데 이것도 제법 돈이 들어가요.
한번씩은 부모님이 식사비 내시지만, 거기에 맞춰서 비슷한 수준의 식당에서 밥 먹을 때
저희도 사야 하니까 부모님, 저희부부, 아이, 이렇게 밥값 내면 어지간한 곳은 십만원 훌쩍 넘구요.
가끔 시누이나 아주버님이 살 때도 있지만 그러면 다음 차례는 저희가 내니 그때는 그 가족까지 돈이 더 나옵니다.
가족 다 모이면 이십만원 이상의 밥값, 집에서 차려도 물가가 비싸니 재료비가 그 정도는 나와요.
그리고 가끔 옷이나 신발 사 드려요. 아주 좋아하시는데 고르고 골라서 절약해서 사 드려도
네분이니까, 제법 되구요. 평소 입는 브랜드를 맞춰드려야하니까요..... 요즘은 등산복도 비싸고.
계산해보니 지난 한해동안 한달에 밥먹고 찾아뵙고 쓰는 돈 각 이십만원 이상은 시댁에 친정에 쓴 것 같아요.
합이 평균 사십만원 이상.
용돈 안드린다고 부러움받을게 아니고... 일단 기본으로 들어가는 돈은 항상 있어요.
그밖에 별도로 명절, 여행, 제사, 이럴 때 소소히 이십만원 삼십만원 장보시라고 드리지요. 영양제도 가끔 사드리고요.
몸 아프시거나 수술하시면 백 이상씩 걷어서 드립니다.....
자식노릇 한다는 것도 결국 돈이 하는 일이지요.
용돈 드린다는 친구는 더할 것 같아요. 일단 용돈만 나가는 게 아니잖아요.
가끔 시댁 가면서 음식재료 사서 가서 준비해서 먹고, 가끔 옷이며 내복, 신발 사 드리고
이러면 용돈도 용돈이고 들어가는 돈도 더 들어가구요.
그러니....
딱 맞추어서 시댁 친정에 한달에 얼마 이렇게 딱 떨어지지가 않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부모님들은 부모님대로, 나는 용돈 안 받으니 자식을 배려하는 좋은 부모구나....
그러니 가끔 식사대접, 옷 정도는 받아도 된다고 생각하시고, 물론 부모님이 사주시는 밥도 있지만
어른들이 생각하시는 것처럼, 너희는 돈 하나도 안써도 된다, 이런 건 아니라는 것이죠.....
양가 어른들 모두 자식들에게 용돈 받지 않는다는 걸 굉장히 자랑스럽게 생각하시는데
실상은, 자식노릇 하려면 돈이 들어가는 거라......................
그리고, 기본적으로 우리 가족 생활비, 관리비, 아이에게 들어가는 학원비
초등이니 피아노랑 태권도, 아주 적게 시키는데도 대략 40만원 정도 들구요,
비싼 옷 아니고 노튼 정도에서 누워있는 옷 사고 해도, 한달에 피복비가 15만원 정도 드는 것 같네요. 일년평균.
가방도 사야 하고 겨울외투 내복 속옷 양말 이런 것 다 합해서 12로 나눈 금액이예요....
거기에 책값, 소소한 취미생활, 캠프활동, 체험, 아이보험, 기타 이런 것 다 따지면
아이에게 한달 들어가는 돈도 70~80 이상.
중고생 되면 더 들겠지요............... 하나인데도 이러니....
남편은 직급이 올라가고 대외적으로 사람들 많이 만나게 되니 의복에 더 신경써야 하고
남편 와이셔츠, 양복, 코트, 구두, 그리고 금요일에 입는 캐주얼 이런 것...
남편에게도 소소히 돈이 들어갑니다. 고르고 골라서 사 주는 데두요.
남자가 나이가 들 수록 돈이 더 들어가요.....
거기다 차 유지비 들어가구요. 월급이 많이 들어올수록 회사에서는 그 사람에 대한 기대치가 올라가고 더 번듯하게 하고다니길 바라고
그래서 만나는 사람 수준에 맞춰 차를 살 수 밖에 없어요. 한국사회가 아직은 그러네요.
더 승진을 하면 회사에서 차량이 지급되겠지만
그러면 그 사람들은 회사차 이외 자기차는 고급 외제차로 구입하니 그것에도 보이지 않는 경쟁이 있다는....
그런 단계가 기다리고 있네요..... 거기에는 동참하고 싶지 않지만, 그것도 또 모르는 일이고........
남자들은 또 그런 세계가 있으니까, 닥쳐보지 않으면 뭐라 말 못하는 거구요........
골프라는 것도 있고....
벌써 주변에서 슬슬 골프의 압박이 들어오기 시작하고 있어요. 남편이 싫어하니 아직 안하고 있지만...
월급을 많이 받으면 그만큼 쓴다고... 결국 살아가는 게 다 돈이예요.
명품으로 두르는 것도 아니고 얼굴에 바르는 것도 아니고 양가 용돈 안드리고 남편은 술담배 골프 안해도
한해결산 해 보면 버는 건 많은데 모이는 건 별로 없고 의외로 많은 지출에 놀라게 되네요.
알차게 돈 모으시는 분들이 부러워요.
내년엔 어디를 줄여서 더 모야야 할까.... 생각중입니다.
이러니, 대출이자 내고 부모님께 오십만원 이상씩 용돈 드리고 장 봐서 가고 아이는 셋 넷, 가끔씩 가족 중 누가 사고쳐주고 그러면
정말 남는 게 없겠다 싶어요.
제 친구 중 하나는 맞벌이해서 둘이합쳐 실수령액이 한달 천만원인데 모으는 돈이 100만원도 안된다고 해요.
액수로 들어보면 그것밖에 못 모으나 싶은데
하나하나 따져보니 그 돈 모으는 것도 대단하다 싶은 지출이었어요.
양가 부모님 생활비, 용돈, 아이들 보육비, 대출이자, 차 유지비, 보험, 생활비...... 그 친구 지출내역 듣고 놀랐어요.
어머님 화장품까지 다 사 드려야 한다니..... 거기다 부모님 병원비.... 너무 부담이 크더라구요.
노후대비 안된 부모님께 들어가는 돈.... 정말 무섭더군요.....
사는게 기본적으로 다 돈입니다. 에휴휴휴~
1. 50중반아짐
'10.12.30 11:32 AM (211.217.xxx.183)크게 공감합니다~
2. 정말
'10.12.30 11:33 AM (121.175.xxx.48)에휴휴휴~
태어나서 열심히 공부해서 직장 가져서 힘들게 일해
돈 벌어서 하루하루 쓰면서 겨우 겨우 살다가는 게 인생같아요.
요즘 저는 이런 생각을 합니다.
'나는 돈을 번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3. 사랑이여
'10.12.30 11:33 AM (58.230.xxx.219)그래서 정부가 입에 침도 안 바르고 하는 말이 서민정책 운운하는데요 사실 살림살이나 월급 그리고 체면치레 등을 살펴보면 물가가 가장 중심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가정책이라고 해서 정권초기에 명박물가라고 하면서 정권이 관리한 품목들이 있었는데 지금 그걸 기억하거나 문제삼는 사람들이 없죠.
문제는 바로 물가정책이 곧 서민정책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거기에다 내년에는 공공요금인상이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
아무리 같이 벌어도 돈을 모으지 못하는 것은 그만큼 물가가 높고 월급인상도 현재 2년째 동결이잖아요. 내년에는 5%인상해준다고 하지만 글쎄요..세금도 그만큼 걷어가더군요.
그러니 죽어나는 것은 일반시민들의 팍팍한 삶입니다.
현재 차유지비라든가 유가도 그렇고 ...
부자감세는 하늘높은 줄 모르고....
경제성장이 뭐 5%라고 하지만 서민들에게 돌아오는 것은 여전히 박하고....
이 모든 것이 쥐20회의로 경제효과가 올림픽 몇번치르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익이라고 떠든 그 허무개그에 그만 넌더리를 느낀 이유입니다.4. 살아가는 것
'10.12.30 11:40 AM (183.100.xxx.68)맞아요.
쥐20이런거........ 다 허무합니다.
일반 사람들이 살아가는 건 다 생활하는 돈이거든요. 많이 벌면... 세금도 많이 떼요. 더 떼요.
월급이 쬐끔 오를때 물가는 더 오르고.5. 읽으니.
'10.12.30 11:46 AM (211.246.xxx.200)정말 이네요.. 사는게 돈이네요 ㅎㅎ
그 와중에 아껴서 모아야 하니 이건 모 원..6. 돈
'10.12.30 12:01 PM (112.154.xxx.104)돈 버느라 죽도록 일하고,
또 그 돈에 맞게 쓰느라 죽도록 머리 싸매고,
또 그돈 써서 산것들 죽도록 써대고, 버리느라 애쓰고..
다시 그 돈 메꾸느라 죽도록 일하고...
정말 나는 돈을 번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나는 돈이 있다. 그러므로 존재가치가 있다.
이걸로 결론지어지는듯해요.
나이가 들수록 내 딸들은 나도 물려주고, 물려받을수있는 곳으로 보내야지 두 주먹을 불끈 쥐고 결심하게 됩니다.7. ..........
'10.12.30 12:40 PM (59.4.xxx.55)맞습니다. 다 돈이에요.애들 데리고 나가면 당장 몇만원 쓰는것 우습죠.
외벌이에 간당간당 월급받는데요.없으면 없는대로 써지긴해요.맞벌이해보니 오히려
돈이 더 나갔거든요.남는게 없더라구요.
그런데 목표가있으면 절약도 힘들지 않지만 한번씩 속에서 불이나요.내가 이까짓것 만원짜리
하나 못사서 몇번씩 벌벌 떨어야하는지........심난해요.8. 30대중반아짐
'10.12.30 12:55 PM (14.52.xxx.228)크게 공감합니다~ 222222222222
9. 정말
'10.12.30 2:02 PM (125.177.xxx.10)격하게 공감합니다.
30중반에 남편이 벌어오는 돈이 많지는 않지만 적지도 않은 돈이라고 생각하고
특별히 잘먹고 잘입고 살지 않지만 애들 둘 원비에 대출이자, 보험, 기본적인 식비,
기타 등등 나가는 돈에 양가 부모님 생신이나 기타 무슨 날들 챙기다보면
정말 머리에 쥐날거 같아요.
정말 한달에 백만원이라도 받는 일자리라도 구해서 나가야 하나 그런 생각도 들지만
그러면 또 어디에도 도움 받을수 없는 상황에서 애들이 걸리고...
연말되니 일년동안 그래도 식구들 건강하고 잘 지냈다 생각하지만
또 한편으론 모은돈도 별로 없고 그러니 엄청 심난하네요.10. 공감100%
'10.12.30 4:29 PM (119.149.xxx.135)사람 도리라는게 다 돈입니다.
아이들 고등학교때는 학원비,과외비로 대학들어가니 엄청난 등록금에 외국배낭여행이라도 보내야되고 어학연수에.. 결혼에..
갈수록 태산입니다. 그려~~~11. ^^
'10.12.30 7:05 PM (112.172.xxx.99)문화생활체면유지비
가족화합 유지비
자기여가 개발비
정말 돈이 없음 안되는데요
자식한테도 돈이 엄청 들어가니
부담이 되는군요
고딩 졸업하고 대학으로 가니
돈 단위도 크고
돈걱정 없이 살고 파요
산골로 가면 되나요 ?
이렇담 죽기전에 섬으로 가야 되는 것은 아닌지
섬에 계신분들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