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때문에
은행이랑 통화를 했어요
스프레드 때문에
이율이 높아진다나 어쩐다나 하던데요
검색해 봐도
F/X역외..어쩌고 나오네요
쉽게 설명좀 해 주시겟어요?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은행에서 말하는"스프레드"가 뭔가요
무식녀 조회수 : 775
작성일 : 2009-01-14 11:46:23
IP : 59.24.xxx.7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꽁알이
'09.1.14 11:57 AM (124.53.xxx.101)기준금리와 적용금리의 차이.. 예요.
예를 들면.. 대부분의 주택대출의 경우 CD금리에 일정 스프레드를 붙여 대출이율이 결정되거든요.
그러니까 대출금리 인하는 CD금리(기준금리)가 낮아지는 것도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스프레드(각종 비용을 감안한 은행마진율?)을 낮아지는 것도 한 요인이 될 수 있는거죠.
<대출금리= CD금리+스프레드> 이렇게 생각하시면 될 거예요.
... 해당 은행이 스프레드를 높였나봐요..?2. 훗..-_-
'09.1.14 12:16 PM (125.184.xxx.193)은행들이 원래 가산금리가 있습니다. 대출때문에 전화하셔서 스프레드라는 말을 들으셨다면..아마 가산금리를 이야기 한거네요.
위에 말씀하신대로. 대출금리는 cd금리+가산금리 입니다.
문제는 저 가산금리라는것이 은행 맘대로인데.. 그러다보니 cd금리(한은에서 금리를 낮춘다고 하죠? 그러면 cd금리가 내려가요) 가 너무 낮아지면..자기들 맘대로..가산금리를 올립니다.
즉..예전에..cd금리가 5% 고..가산금리가 1.1% 면 대출 금리는 6.1%겟지요.
그런데..요즘 금리를 너무 낮추니...대출금리 이자가 너무 떨어지거든요..
그러다보니..cd금리가 4%로 낮췄다 해도, 가산금리를 2.3% 로 올린겁니다. 그러면 대출 금리는 6.3% 로 오히려 올라가게 되지요.
그런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