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귤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
1. 어..
'09.1.10 1:17 AM (116.37.xxx.71)전 그냥 풀 숲에 버리는데..사과 속대 같은 거. 혹시 싹이 틀지도 몰라, 기대하면서요. 귤 껍질에도 곰팡이도 피고, 썩어요
2. 헉
'09.1.10 1:23 AM (211.207.xxx.150)근데 음식물 쓰레기 기준이요 돼지가 못 먹으면 일반 쓰레기고
그 이외에는 다 음식물 쓰레기 아니에요?^^; 누가 쉽게 생각하라고 알려주더라구요.
달걀껍질 이런건 일반쓰레기고..먹을수 있겠다 싶은건 음식물..
그래서 귤이나 바나나 같은 거 다 음식물에 넣는데;3. ..
'09.1.10 1:37 AM (118.37.xxx.172)음식물 쓰레기가 아닌 것
육류-소,돼지,닭등의 털과 뼈
곡류-왕겨
어패류-생선 뼈,게,가재 등 갑각류의 껍데기,소라,전복,굴 등의 껍데기.
기타-계란 등의 알 껍데기
각종 차류 찌꺼기,한약재 찌꺼기
과일-복숭아,감 등 핵과류의 씨,호두,잣,밤,땅콩 등의 껍데기.
채소-쪽파,대파,미나리 등의 뿌리,고추씨,고추대,양파,마늘 생강 등의 껍질,옥수수대4. 예전 방송에서
'09.1.10 1:41 AM (221.138.xxx.119)북한산의 생태파괴에 관한 다큐에서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썩겠거니 하고 버리지 말라고 하더군요.
땅을 파서 묻는 것이 아니라면 자연을 훼손하는 쓰레기 이상도 이하도 아니랍니다.
그리고 가정에서는
1 생선뼈- 뼈에 생선살이 너무 많이 붙어 있을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해도 된다. 하지만 엄연히 생선뼈는 일반 쓰레기.
2 달걀 껍질 - 모든 알 껍질은 일반 쓰레기. 석회질이 포함되어 있어 양질의 사료·퇴비를 생산하는 데 적절치 않다.
3 상한 음식물 - 되도록 상하기 전에 버려야 하지만, 그래도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됨.
4 미역 - 예전에는 짠기가 남아 있는 미역이나 절인 무, 배추의 경우에도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면 안 된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요즘엔 퇴비화 시설에서 모든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된다.
5 꽃 등 식물 - 음식 조리 과정 중에 생겨난 것들만 음식물 쓰레기다. 그러므로 동물이 먹을 수 있을 것 같아도 일반 쓰레기인 것.
6 조개 껍질 - 조개, 홍합, 소라, 새우, 게, 가재 등 딱딱한 패류 껍질은 딱 봐도 일반 쓰레기.
7 호두, 밤, 땅콩 껍질 -호두·밤·땅콩·도토리·코코넛·파인애플 등의 딱딱한 껍데기는 분쇄 시설을 고장나게 하는 원인이다. 딱딱한 껍질은 어떤 것이든 일반 쓰레기.
8 과자 부스러기 - 아이들이 흘린 것을 청소하면서 나온 양일 경우엔 일반 쓰레기에 섞어도 무방.
9 복숭아, 감 등의 씨 - 딱딱한 과일 씨앗은 일반 쓰레기. 과일 껍질은 아주 잘 말랐어도 음식물 쓰레기. 감 꼭지는 딱딱하니까 일반쓰레기.
10 흙 묻은 대파 뿌리 - 쪽파, 미나리, 대파 등 흙이 묻어 있는 경우라면 일반 쓰레기로 분류된다. 흙을 씻어내면 음식물 쓰레기.
11 녹차 티백 - 그냥 찌꺼기는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해도 되지만 티백으로 포장된 제품은 일반 쓰레기.
12 소뼈 - 소, 돼지, 닭의 털이나 뼈다귀는 무조건 일반 쓰레기다.
13 고추씨 - 양이 많을 경우에는 일반 쓰레기다. 일반 가정에서 약간 나오는 정도는 음식물 쓰레기에 버려도 무방.
14 양파·마늘·생강 껍질 - 이러한 섬유질은 가축의 소화율을 떨어뜨린다고 한다. 사료화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일반 쓰레기. 딱딱한 옥수수대나 마늘대 등도 마찬가지.5. 어려워요.
'09.1.10 1:46 AM (59.7.xxx.245)원글이입니다. 리플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귤껍질은 음식물 쓰레기통에 넣어도 되나 산에는 함부로 버리면 안된다는 거군요.
6. 설령
'09.1.10 7:34 AM (96.246.xxx.89)음식물 쓰레기라고해도 산에 함부로 버리면 안되잖아요.
집에 가지고 와서 분리하면서 생각할 문제지 산에서 버릴까 말까 할 문제가 아니라고 보는데요.
(첫번째 댓글보고 씁니다.)7. 글쎄요...
'09.1.10 8:08 AM (211.209.xxx.35)딸아이 학교에서는 귤이 음식물 쓰레기가 아니라고 일반 쓰레기에 버리게 한다고 하더라구요.
8. 저두 글쎄요...
'09.1.10 9:07 AM (211.37.xxx.185)예전 신문에서 봤던거 같은데 귤은 음식물 쓰레기가 아니라고...
9. 시골 마당에서
'09.1.10 10:05 AM (218.232.xxx.69)개를 서너마리 키우거든요. 그래서 다른 음식 찌꺼기는 개들 주면 잘 먹는데..귤껍질이나, 바나나 껍질은 안먹어요. 그래서 저는 음식물 쓰레기 아니라고..일반쓰레기에 버리는데..
10. 일반쓰레기
'09.1.10 1:50 PM (218.153.xxx.169)내가 동물이라면
귤껍질 안먹을 거 같아서요.
하루 정도 방치해 두었다 마른 것 같으면
쓰레기통에 버립니다.11. 말려서
'09.1.10 2:17 PM (61.98.xxx.175)일반 쓰레기에 버리세요 , 그리고 산에서 귤껍질은 절대 버리지말라고 하던데요 만약 산불이 발생했을때 화력이 장난이 아니라고... 요즈음엔 껍질을 식탁위에만 올려놓아도 하루밤 자고나면 바삭바삭 잘말라있어요.
12. 음식물쓰레기
'09.1.10 2:37 PM (221.138.xxx.119)가 주택가 골목에 버려 있으면 그것은 쓰레기 인가요 아닌가요.
한명도 안닌 수백 수천이 오르내는 산입니다.
그 사람들이 썩겠거니 하고 한번씩만 버려도 우리는 늘 쓰레기를 보며
등산을 해야 하는거구요.
음식물이 땅에 떨어져 하루사이에 썩는것도 아니고....
본인이 발생시킨 쓰레기는 다시 가져오는 것이 문화인의 의식입니다.13. 바닐라문
'09.1.10 11:32 PM (121.166.xxx.5)케잌이나 빵 종류는 음식물 쓰레기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