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박노자]국내에서 계급 정당을 하기 어려운 이유들

리치코바 조회수 : 385
작성일 : 2008-09-21 10:31:58
국내에서 계급 정당을 하기 어려운 이유들  
만감: 일기장 2008/09/19 06:55   http://blog.hani.co.kr/gategateparagate/15788  ..




어제 라이덴 (네덜란드)에서 오슬로로 돌아왔습니다. 라이덴에서 "한국 군사주의"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는데 (http://www.mearc.eu/tikhonov_poster.pdf), 그 쪽 대학에서 한국학을 하는 동료들을 오래간만에 만나서 여간 반갑지 않았습니다. 유럽이라는 데에서 한국학을 하는 이들이 하도 드물어서 그런지 서로서로에 대해 거의 한국적인 (?) "정"을 느낄 때도 있습니다. 지적인 게토란 일장일단이 있는 것입니다. 만나서 나온 이야기 중의 하나는 한국에서의 진보 정당들의 앞으로의 전망의 문제인데, 이 부분에 대한 제 생각을 약간 도식적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이 될 것입니다:



1. 국내에서 계급 정당을 하기가 어려운 이유들:

a) 이제 다 끝나가지만, 적어도 1997년 이전까지의 한국은 세계 자본주의의 "총아"이었습니다. 냉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한 미국 등 핵심부로부터의 엄청난 차관과 비교적으로 효율이 높은 '강성 국가'의 개발주의적 전략의 결합은 거의 40년 가까이 매년 성장률 8-10%를 올리는 나라를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는? 물론 전두환이나 이명박, 내지 노무현으로 성장해 지배자의 반열에 오른 가난뱅이들이 극소수이었지만 어느 정도로 살림을 개선시키거나 아이를 도시 중산계층으로 출세시켜준 부모 정도는 상당수고, 또 이명박이나 노무현 식의 "자수성가"를 현실적인 "꿈"으로 삼아 그걸 맹신하는 이들이 부지기수입니다. 사실, "부자는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사람"이라는 - 성경과 상반되는 - 내용을 설교하는 교회들의 수로 봐서는 자본주의야말로 이 나라의 유일무이한 종교라는 생각도 들고요... 이제는 세계적 위기 속에서 그 단 꿈은 많이 날라가겠지만, 지금까지는 계급 의식을 공유하기에 상층계급으로의 이동을 꿈꾸는 피지배자들이 너무 많았습니다. 한국 경제 인구의 60% 이상은 피고용자지만, 그 들 중에서는 "정신상 자본가"는 다수에 가까울 것입니다. 계급 정당하기에는 좀 척박한 토양이지요.

  

b) 물론 일본과는 비교가 안되는 수준이지만, "복지"라는 부문을 한국 자본과 국가가 선점한 부분도 좀 없지 않아 있습니다. 예컨대 일부 대기업들이 근로자들에게 자녀 학자금을 대주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부터입니다. 일본과 달리 사택을 주는 데가 많지 않지만 자녀 학자금과 의료 혜택 정도는 - 정규직에 한해서 - 주는 대기업은 지금 다수일 것입니다. 또 부실하고 모자라지만, 1980년대말 이후의 한국 국가는 - 1987년의 대투쟁 이후에 민심을 달래는 차원이기도 하지만 - 국민연금과 의료보험, 기초생활보호제도 등을 운용해 적어도 영세민들이 굶어죽고 아파서 그저 죽는 일 정도는 어느 정도 막아줍니다 (인도나 차베스 집권 이전의 베네수엘라와 달리). 한국의 복지 지출이란 유럽의 남쪽 내지 동쪽 변두리만도 못하지만, 기업 복지와 합하면 남미보다는 약간 나은 수준이 되지요. 그러한 면에서, 계급의식보다 "강력한 국가 권력"의 출현을 바라는 "민생주의적" 의식이 더 쉽게 형성됩니다.



c) 필자에게 송두율 교수가 프라하의 한 학회에서 1995년에 이야기한 대로, 대한민국이란 "시민사회"라기보다는 각종 유사 가족적 연고집단의 결합체입니다. 그 중에서는 제일 큰 것은 "단군의 후손들'이라는 "민족적 대가족"이지만, 또 그 안에서는 동문 집단마다, 지역마다, 하다 못해 대기업의 중년 남성 정규직 노동자의 집단마다 다 그 강력한 집단적 정체성과 이해관계 의식이 형성돼 있지요. 그리고 그 연고적 소집단의 단결이 어느 정도인가를 보시자면 "이명박 동문"을 찍어주는 "진보적" 고대 출신들의 행태 정도를 관찰해주시기 바랍니다. 마을 공동체는 이 땅에서 수천년 존재해왔지만 "계급'이라는 일본식 번역어가 수입된 지 100년 정도 된 것입니다. 그것도 학교 교과서에서 아직까지도 - "민족"과 달리 - 많이 안나오는 단어인지라 뭇 인간들의 머리 속에서 뿌리 내리기 힘들죠.



위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진보 정당의 집권 계획" 이야기를 우리가 당분간 안하는 게 현실적일 듯합니다. 집권은 언젠가 될 수도 있지만 그 "과정"은 수십년 걸릴 수도 있죠.



2. 그럼에도 국내에서 진보 정당이 꼭 지금 이상으로 커져야 할 이유:

a) 성장 시대는 이제 끝났습니다. "구조적 빈곤" 시대의 막이 올랐습니다. 오늘날 많은 비정규직의 자녀들은 아무리 (무명 지방) 대학을 나왔다 해도 앞으로는 정규직은 물론 비정규직도 못구할 확률이 큽니다. 그들의 좌절과 분노가 엄청난 수준일 수도 있는데 ("쇠고기 민란"은 서막일 뿐이었습니다!) 이는 계급적 의식의 성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소지가 있을 듯합니다.



b) 전세계가 지금 새로운 대공황과 (언제 일어날지 모를) 주요 열강 사이의 - 무력 충돌로 이어질 확률이 큰 - 갈등의 시대로 접어들 것입니다. 동아시아도 "국익주의"와 국가주의, 민족주의들의 충돌의 무대가 될 확률이 적지 않습니다. 그러한 면에서는 민족주의적 광기를 어느 정도 식혀줄 줄 아는 비민족주의적 사회 세력은 절실히 필요합니다.



하여간 한국에서의 대중적 진보 정당 한다는 것은 가시밭길이지만 꼭 가야 할 가시밭길입니다. 성패 여부와 무관하게, "의미 있는 소수"로 존재해도 좋습니다. 그 소수가 없다면 대한민국은 오늘날보다 더 야만적인 "중간급 소제국"이 될 것입니다.

출처: 한겨레신문
IP : 123.215.xxx.8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8.9.21 10:35 AM (203.229.xxx.213)

    박노자, 참 대단한 사람입니다.
    나이도 젊은데...도대체 어떤 어린 시절을 보내면 저렇게 넓고도 해박한 시각을 갖게될까하고 생각하곤 합니다.

  • 2. 홍이
    '08.9.21 10:55 AM (219.255.xxx.59)

    한겨레를 구독은 하지만 신문을 잘안보는데 여기서 좋은글을 접하게 되는군요 ^^
    감사합니다
    명박이 참 대단합니다..
    전 정말 정치에 ㅈ도 관심없던 사람인데..
    저 같은 사람때문에 이 지경까지 왔다고 반성하고 있습니다

  • 3. 뜨끔
    '08.9.21 11:13 AM (125.184.xxx.8)

    그들의 좌절과 분노가 엄청난 수준일 수도 있는데

    ---------------------------------------------

    경찰서에서 비행 청소년 검사면담하고 있는 저로선.........대략 난감.....속상....ㅠㅠ

  • 4. ...
    '08.9.21 11:25 AM (118.217.xxx.48)

    2. 그럼에도 국내에서 진보 정당이 꼭 지금 이상으로 커져야 할 이유:
    이 부분이 아주 뼈에 와 닿네요...

    성장시대는 끝이 났고, 구조적 빈곤의 시대가 도래했는데...
    그리고 그 구조적 빈곤을 고착화하려는 이명박의 작태가 곳곳에서 감지되는데도...

    그 구조를 바꾸기 위해 부모들이 연대하기 보다는...
    내 아이들만은 그 구조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부모들의 사교육은 더더욱 가열차지고...

    진정한 계급의식이 절실한 때입니다...

  • 5. 그래서
    '08.9.21 11:52 AM (121.188.xxx.77)

    그렇구나..소고기든 대운하든 의료,교육 민영화인지 영리화인지 선진화 인지를 국민들이 겪으면서 자기 계급의 정체성을 깨우치리라 생각했는데 .....하긴 신자유주의가 쬬었다 풀었다를 반복하며 국민들이 현혹시키면서 자기 계급을 잊어버리게 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물이 컵에 안 차서.. 차서 넘치기를 기다리는 수 밖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4000 주부님들 어떤직업. 기술이 있나요 11 답답해.. 2008/09/21 1,914
233999 어제 무한도전, 웃다 쓰러지는 줄 알았다. 27 ᒉ.. 2008/09/21 6,144
233998 수시로 외박하는 남편 5 ..... 2008/09/21 1,122
233997 살기 좋은 동네 추천 좀 해주세요 18 이사가고파 2008/09/21 3,270
233996 [박노자]국내에서 계급 정당을 하기 어려운 이유들 5 리치코바 2008/09/21 385
233995 유치 흔들릴때 사진 찍어보고 빼줘야 할까요 6 흔들릴때마다.. 2008/09/21 615
233994 허본좌, 박모와 18년 친분 사실?-"그입닥쳐라"검사 8 허허실실 2008/09/21 853
233993 초등권장도서를 학교바자회에서 못샀는데 저렴하게 사려면요?? 8 ^^ 2008/09/21 359
233992 [가을독서] 진보의식 고취를 위한 필독서 리치코바 2008/09/21 227
233991 동탄 살기 좋고 조용한 동네는 어딘가요? 9 전세 2008/09/21 1,097
233990 하루하루가 넘 좋아요.. 10 빅뱅.. 2008/09/21 1,573
233989 전여옥 “여당, 몸뚱이만 큰 초식공룡” 쓴소리 6 리치코바 2008/09/21 338
233988 제가 변했어요. 23 미치겠어요... 2008/09/21 5,397
233987 장터에서 쪽지보낼때 2 긴급 질문... 2008/09/21 285
233986 경찰, 당신들은 누가 수사하나 2 리치코바 2008/09/21 278
233985 미국의 미래에 대한 공포 4 구름이 2008/09/21 1,060
233984 이마트나 홈플러스는 계산착오 보상제가 있는데, 백화점은 없나요? 7 백화점은? 2008/09/21 944
233983 아이 치아 교정은 크게 할수 밖에 없나요? 7 교정 2008/09/21 553
233982 요리하고 그러는 것이 어렵구나, 가사가 참 힘든 거구나 2 [마켓&트렌.. 2008/09/21 551
233981 아웃백에서 주는 빵 빠리바게뜨 가면 파나요?? 15 ss 2008/09/21 2,169
233980 한집 두살림 11 ..... 2008/09/21 2,598
233979 흔들거리는데 이러다 빠지는 건 아닌지 걱정이예요. 2 이빨이 2008/09/21 447
233978 피부과치료해보신분 꼭 좀 조언부탁드려요.. 3 궁금한엄마 2008/09/21 607
233977 [펌] 중국산 초콜릿 관련 대박 댓글..;; 6 .... 2008/09/21 1,234
233976 초등아이 단기연수에 대한 궁금증 3 모기많아 2008/09/21 463
233975 재계약을 해야하나요? 2 전세 만기 2008/09/21 421
233974 간단한 부부관계 테스트 해볼까요? 39 저스트릴렉스.. 2008/09/21 5,844
233973 내 고향 북녘 땅을 보다!! 1 500만실향.. 2008/09/21 133
233972 82쿡 회원분들께 감사인사 드립니다 4 칼라TV 2008/09/21 697
233971 정산을 마치고 몇자 적습니다.[관련글 관심없으시면 패스해주세요] 19 우리가촛불은.. 2008/09/21 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