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UN, UNEP 등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촉구하고 있고, UN Global Compact (UN 글로벌콤팩트) 등 관련 규약에 따른 행동을 권고하고 있으며, 전경련도 이에 따른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다.
글로벌콤팩트의 핵심은 global actor로써 점차 중요한 역할을 점하고 있는 기업이 그에 걸맞는 사회적책무를 준수하고 다하여, 악조건화의 글로벌화의 환경(자원고갈, 기후변화 등)에서 그 사명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코피아난 UN사무총장의 발의로 시작되어, 반기문 현UN사무총장의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네티즌 등을 중심으로 위와 같은 광고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는 것은, 아래의 UN Global Compact의 내용에 입각할 때, 해당기업으로 하여금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세부사항에 위반되는 행위나 기관에 연계되거나 가담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소비자로서, 이해관계자로서의 행동이며, 이는 정당하다.
민주주의와 인권에 위배되는 언론의 권력을 악용한 활동은 글로벌콤팩트의 정신에 정면으로 위배된다.
http://www.unglobalcompact.org/
<UN Global Compact의 내용>
글로벌컴팩트(Global Compact)는 1999년 1월 31일 유엔사무총장 코피아난이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연설을 통해 유엔이 주창한 환경, 사회 원칙의 구현을 위한 새로운 국제 이니셔티브에 선진기업들이 참여할 것을 독려하면서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다. 2000년 7월 26일 뉴욕의 유엔본부에 글로벌컴팩트 사무국이 처음 문을 연 이래로 오늘날까지 전 세계적으로 3200여개의 기업과 시민단체가 글로벌컴팩트에 가입하여 글로벌컴팩트는 오늘날 기업시민의식 구현을 위한 가장 국제적이고 영향력있는 이니셔티브로 부상하였다.
글로벌컴팩트에 가입한 기업과 시민사회단체들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와 관련한 10가지 원칙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인권
1. 기업은 국제적으로 선언된 인권의 보호를 지지하여야 한다.
2. 기업은 인권침해에 가담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해야 한다.
(언론은, 언론기업은)
노동
3. 기업은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의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4. 기업은 모든 형태의 강제노동을 배제하여야 한다.
5. 기업은 아동노동을 효과적으로 폐지하여야 한다.
6. 기업은 고용 및 업무에 있어서 차별을 근절하여야 한다.
환경
7. 기업은 환경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을 지지하여야 한다.
8. 기업은 환경에 대한 책임 강화에 솔선하여야 한다.
9. 기업은 환경친화적인 기술개발 및 보급을 지원하여야 한다.
반부패
10. 기업은 부당취득 및 뇌물 등의 모든 종류의 부패를 근절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글로벌컴팩트는 자발적인 이니셔티브로서 가입 기업들간의 상호 교류, 국가별 지역별 네트워크, 이해관계자들간의 심도깊은 대화의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글로벌 컴팩트의 10가지 원칙의 비즈니스원칙화, 유엔 고유의 목표 달성 촉진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아고라에서 seok님의 글>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조선일보, UN에 시비걸다." -아주 희안한 세계토픽감이다
느낀이 조회수 : 707
작성일 : 2008-06-24 20:19:48
IP : 218.238.xxx.226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