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광우병자료 읽기쉬운거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조회수 : 349
작성일 : 2008-05-07 01:10:12
친정엄마가 골수(?) 이명박 지지자라 대선때 영 대화자체가 안되는걸 알고
우리 남매는 아예 정치얘기는 안하기로 맘먹었을정도였는데요...
무슨 비리나 문제될만한 얘기를 하면...
될만한 사람 밀어줘야지 흠집내기이고 그자리에 그 권력이면 누구든 그정도 비리는 있다..
사람능력있음 그 뿐...나라 살리고 경제 살린다잖아...흐흠...어느정도인지 아실려나...
엄마 별명이 집안에서 당원!! 입니다...ㅜㅜ

그래서 이명박 이야기는 안하고 있었는데...
광우병걱정이라고하니까..친정엄마 그게 뭐 문제고..난 원래 수입은 안먹는 사람이고..
한우만 먹는다...원산지속이는 문제얘기하니까...
아버지아는분 한우잡아오는데 식당서 대놓고 먹는것도 가끔이라십니다...
같은 정육코너에서 다뤄도 옮는다 그러니 그럴일이 그러므로 없다하십니다...

수입해도 나안먹으면 그뿐이지...그리고 광우병없는거 들여온다잖아...이정도로 가볍게만 생각하시던데...

라면 태반 화장품 과자 외식 영양제도 이정도는 원래 안하는 분이고..

골수 조선일보 애독자이십니다...
제가 기억하고 부터는 바뀐적없으니 30년은 됐겠지요...

그러고 티비에서 kbs보고 신문보면 실태를 잘모르시는거같애요..

그래도 원래 건강이나 새로운 정보를 듣고 습득하는걸 즐기시고
(그날도 가짜 피자치즈 위험하다고 먹지말라는 전화하신건데...
그거보다 백만배무서운게 광우병이라고 말씀드려도 실감을 안하시는듯..)
소비자고발 같은 프로 안뺴놓고 보시고 뉴스정도 티비는 보시구...
인터넷도 배워하실정도로 깨인분인데...82회원으로 아는 요리도 검색해서 또 새로운거 배워하십니다..
단순히 자게좀 봐~하면 안볼듯~하고...

내가 막 말씀드리니 엄마가 너무 골수팬이라 이런 얘기해도 음해니 뭐 그딴 소리할까
자료를 가족까페에 못올리겠다 그랬더니...
뭔 일인가 궁금하셨는지...
잘못한건 잘못한거지 그러시면 영~ 기분나쁜듯 통화했는데...이참에 자료를 좀 보여드리고 싶어요...

여러분 이런 엄마가 볼 쉽고도 잘 정리된 자료좀 링크해주세요...
혹시 pd수첩도 볼수있을까요...엠비씨들어가보시라면 그리 적극적으로 안보실듯해서요.
앞으로 할 프로도 아심 제가 그날 알려드릴까하구요~..
참..치매는 무서워하십니다...연관자료를 봤는데 못찾겠어요.

요즘같을땐 다들 이런쪽으로 무지(?)한...부모님만 계몽(?)해도 주변 사람들께 알려주면
힘이 될것같아요..
정말 무서운데 이런쪽으로 무지한 젊은 사람은 맘먹는 순간 알기 쉽지만
어르신들은 알려줘도 고집있으셔서 참 어렵지만 우리가 해야하는 일같아요..
IP : 125.131.xxx.170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에는 이
    '08.5.7 1:22 AM (58.236.xxx.156)

    조선일보 30년 독자시라니 제가 얼마전 스크랩해놨던 조,중,동의 노무현정권때 광우병에 관련한 기사들을 보여주시면 될것같습니다.
    현재의 기사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해주시는 센스
    ----------------------------------------------------------------------------------
    광우병 괴담의 출처는 조·중·동

    조·중·동이 제 지면에 실은 것 중에 광우병의 위험을 강조하는 그 모든 기사들은 생략하기로 하고, 그냥 사설만 몇 개 보자. 먼저 <조선일보>의 사설이다. 지금 읽어 봐도 명문이다. <조선일보>는 "광우병 파동의 파괴적 요소는 불확실성과 일반적 무지에 있다"고 정확히 짚으며, "국민 보건에 대한 장기적 안전보장의 측면에서 신중하고 완벽하게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그 후환은 자손들에까지 이어질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사설] 광우병, 제대로 알려야 (2001/02/07)

    광우병 우려가 국내서도 급속히 확산되면서 축산농가와 사료업계는 물론, 유통업과 서비스산업 등에도 광범위한 파장을 유발하고 있고 소비자도 혼돈에 빠져들고 있다. (...) 이 문제는 단순히 농정이나 경제의 문제가 아니다. 국민보건에 대한 장기적 안전보장의 측면에서 신중하고 완벽하게 대책을 만들어내야 한다. 눈앞의 난관이나 관료주의적 책임회피 때문에 임기응변이나 호도책으로 이 문제를 잘못 다루면 그 후환은 자손들에까지 이어질 것이다.

    광우병 사태의 정면대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모든 관련자료와 사실들이 가감 없이 진실대로 밝혀져야 한다. 광우병파동의 파괴적 요소는 불확실성과 일반적 무지에 있다. 광우병으로 불리는 소의 BSE병이나 그와 유사한 증세를 나타내는 인간의 변형 크로이츠펠트야코브(vCJD)병에 관해서는 아직도 그 병원체의 전모나 발병기전, 감염경로, 양자간의 상관관계 등의 여러 중요한 요소들이 확연히 밝혀지지 않아 현재로서는 예방적 조치와 정확한 정보의 보급이 매우 중요하다.

    이 점에서 보면 정부의 그간의 태도는 납득하기 어렵다. 지난 10여년 동안 세계가 광우병 파동으로 영일이 없는 동안 정부는 줄곧 우리는 안전하다고 장담만 해왔다. 다른 나라들은 진작 수입을 금지한 소 추출물이나 골분수입 사실도 외국언론이 폭로할 때까지 계속 침묵했으며, 문제가 되고 있는 동물성 사료나 음식물 찌꺼기 사료도 수년간 국내에서 사용되었고, 일부는 이미 도축, 유통되었는데도 계속 문제없다고 주장해 왔다. 물론, 음식찌꺼기 사료화는 자원절약의 고육지계였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당시 많은 전문가들이 그의 위험성을 제기했는데도 정부는 듣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정부는 다른 어떤 측면보다도 국민건강을 우선해 철저한 예방적 조치를 강화하고 모든 관련 정보와 사실을 국민들에게 정확히 전달해야한다. 불필요하게 공포가 확산되어서도 안 되지만 무지와 무사안일로 인해 화를 자초하는 어리석음은 절대 없어야 한다.

    다음은 <동아일보>의 사설이다. <동아일보>는 "광우병의 원인과 방지책은 아직 미확인 상태라 방심할 수 없다"며, 심지어 "사슴광우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되는 사슴의 캐나다산 녹용"까지 걱정한다. 정부에서 동물성 사료 실험을 한 것을 두고는 "국민도 시험대상"으로 삼았다고 질타하며, "광우병 제로 국가라고 선언할 수 있도록" "0.1%의 가능성도 없애는 노력"을 해야 하며 "소의 전수조사"까지 권한다. 미국에서 광우병으로 의심되는 소가 발견됐을 때에는, "정부가 최우선순위를 둬야할 가치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라며, "위해(危害)를 없애는 데 필요한 경제적 손실은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 소가 광우병으로 확인도 되기 전에 정부에서 수입중단을 하고 척추 뼈와 내장의 판매를 중단시켰지만, "그렇다고 해서 안심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한다.

    [사설]광우병과 홍역, 느슨한 대책 (2001/01/28)

    광우병 파동은 1992년 영국에서 시작돼 1996년부터는 유럽에서 수많은 소의 강제 도살, 쇠고기 판매 중지와 금수 조치로 이어졌다. 지난해 독일에서는 이에 대한 대처를 소홀히 한 책임을 지고 주무장관 2명이 사임하기도 했다. (...) 광우병의 원인과 방지책은 아직 미확인 상태라 방심할 수 없다. 더구나 국내에는 사슴 광우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되는 사슴의 캐나다산 녹용도 유통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부 당국은 이웃 일본이 1999년부터 CJD를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하고, 유럽산 쇠고기 수입을 금지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사설]광우병 정말 안심해도 되나 (2001/02/05)

    더욱 놀라운 것은 광우병의 위험성이 유럽을 들끓게 하던 시점에 정부연구소가 동물성 사료 실험을 했다는 점이다. 그 사료를 먹은 소의 고기와 뼈 등을 유통시켰다면 결과적으로 국민도 시험 대상이 된 셈이 아닌가. (....) 정부가 우리나라에서는 광우병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 광우병 안전지대라고 강조하는 것은 소극적인 대책일 뿐이다. (...) 정부는 광우병 제로 국가라고 자신 있게 선언할 수 있도록 광우병이 유입될 수 있는 모든 분야를 철저히 점검하고 확인하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사설]광우병 안전지대 아니다 (2001/09/11)

    정부는 긴급히 일본에서 수입되는 광우병 관련 축산물에 대한 잠정 수입검역조치를 취했지만 이미 수입됐던 축산물에 대해서도 유통 경로를 파악하는 등 철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일본은 업계에서 지나치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광우병 방지 대책을 시행했는데도 이런 일이 벌어져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 한국은 96년부터 영국 등 광우병 발생국가로부터 소 등 반추동물과 축산물의 수입을 금지했지만 광우병의 잠복기간(3∼5년)이 길어 완전히 마음을 놓기는 어렵다. (...) 한국도 안전지대에 있지 않은 것이 확실해졌으므로 단 0.1% 가능성도 없애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정부는 소비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소의 전수 검사를 실시해보는 방안을 검토해보기 바란다.

    [사설]광우병 비상, 식탁 안전 만전 기해야 (2003/12/25)

    미국에서 광우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소가 발견돼 전 세계가 긴장하고 있다. 미국산 쇠고기는 국내 쇠고기 시장의 44%를 차지하고 있어 우리 식탁의 안전과도 직결된다. (...) 정부가 최우선순위를 둬야할 가치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다. 위해(危害)를 없애는 데 필요한 경제적 손실은 감수할 수밖에 없다. 정부는 이미 미국산 쇠고기의 통관을 보류시켰고, 광우병 발생 사실이 최종 확인되면 수입을 전면중단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 유통 중인 척추뼈와 내장의 판매를 금지시켰다. 그렇다고 해서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마지막으로 <중앙일보> 사설이다. 중앙일보는 소에게 음식찌꺼기 좀 먹였다고 난리를 치며, 심지어 해외 여행자가 구입한 "유럽산 화장품"에 대한 대책까지 주문한다. 북한이 독일에 광우병 때문에 살 처분한 소를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에는, 이를 "문명 국가의 도덕률에 크게 어긋나는 일이며 심하게 말하면 인종 차별"이라고 비판하며, 잠복기가 수십 년에 이르고, 말기 이전에 증세를 감지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까지 말할 만큼 이 병의 위험성은 심각하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칼럼에서는 실제로 발병 확률이 낮은데도 광우병에 대한 공포가 클 수밖에 없는 이유를 '위험 심리학'으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사설] 뒷북치는 광우병 대책 ( 2001/02/06)

    광우병 원인으로 지적되는 동물성 사료가 음식물 찌꺼기 사료화 사업 명분으로 국내에서 사용되고 해외에서도 수입된 것으로 밝혀져 국민을 불안케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산하 축산기술연구소의 대관령 지소와 경기도 안성 등지에서 1999년 4월부터 소 3백 마리에 음식물 찌꺼기로 만든 사료를 먹였으며 이 가운데 40마리는 지난해 말 도축돼 시중에 팔렸다고 한다 (...) 정부는 또 97년 7월부터 유럽지역 전체의 소.양 뇌나 척수 등 성분이 포함된 화장품 수입을 금지했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해외여행자 증가 등으로 국내에서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게 유럽산 화장품이다.

    [사설] 광우병 쇠고기 北지원이라니 (2001/02/17)

    광우병 공포증이 전세계를 휩쓰는 가운데 광우병 감염 우려로 도살된 쇠고기가 북한에 지원될 것이라는 소식은 충격적이다 (...) 결론부터 말하면 북한은 아무리 기아가 위중하다 하더라도 이런 모멸적인 지원 요청을 즉각 취소해야 한다 (...) 그러한 지원은 문명국가의 도덕률에 크게 어긋나는 일이며 심하게 말하면 인종차별적이라고까지 할 수 있을 정도다. (...) 더욱이 역학자들이 인간의 경우 잠복기가 수십년에 이르고, 말기 이전에 증세를 감지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까지 말할 만큼 이 병의 위험성은 심각하다. (...) 치명적인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 화장품 원료로도 못쓰게 하는 쇠고기를 자기 인민에게 먹이겠다는 발상은 참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분수대] 위험 심리학 (2001/02/12일)

    한국의 광우병 파동을 보자. 소나 사람에서 광우병이 발병한 사례는 없으며 우리 쇠고기는 안전하다고 정부와 전문가가 아무리 홍보해도 쇠고기 소비는 줄어들고 축산농가는 상이다. 광우병에 걸린 소의 부산물을 섭취한 경우에만 위험이 있다고 강조해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는다 (...) 이에 대해서는 위험 심리학이 설명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기 스스로 선택한 행동(흡연. 운전. 스키 등)에서 오는 위험은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이다. 평생 흡연을 하면 수명이 10년가량 줄어든다.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하루 평균 30여명에 이른다. 스키장에서 골절상을 당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이에 대해 사람들은 "나는 예외일 것" 이라고 생각하면서 "그래도 사고가 나면 어쩔 수 없지" 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 그러나 대중은 선택하지 않은 위험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한다. '혹시' '만의 하나라도' 고압선이 암을 유발한다거나 쇠고기가 인간 광우병을 일으킬지 모른다는 가능성도 이에 포함되는 것이다. (조현욱 문화부 차장)

  • 2. ...
    '08.5.7 1:47 AM (125.131.xxx.170)

    너무 감사합니다...
    당장 스크랩해가겠습니다...
    이런 손많이가는 귀한 자료를...ㅠㅜ
    지금 할일이 많은데 여기 이러고 있네요...너무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0015 어느 마트를 가야 할까요? 5 허무 2008/05/07 969
190014 이런 시국에 또 사건이.. 4 살려주세요... 2008/05/07 1,210
190013 이 돌발 영상 보세요 8 기막혀 2008/05/07 943
190012 민영화글에 아직도 좌빨거리는놈들은 15 음.. 2008/05/07 692
190011 수도 민영화가 되면, 공원의 물이나 지하철 화장실 등은 어찌되나요? 4 궁금합니다... 2008/05/07 668
190010 광우병자료 읽기쉬운거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 2008/05/07 349
190009 대구에 식사할만한곳 추천해주세요.. 4 음식점. 2008/05/07 501
190008 경찰병원 민영화 추진…공무원노조 반발 6 우습다.. 2008/05/07 740
190007 저도 집회 다녀왔어요. 9 .. 2008/05/07 890
190006 달로와요, 동네 빵집 정도로 알았더니. 식빵 왤케 비싸? 17 착각 2008/05/07 3,747
190005 gmo에 대해... gmo 2008/05/07 274
190004 물(수도) 민영화 반대!! 서명 12 ㅜㅜ 2008/05/07 704
190003 여의도 집회 다녀왔어요 12 뚜루맘 2008/05/07 972
190002 무뚝뚝한 남편 4 ^^ 2008/05/07 856
190001 이 시간에 마늘 빻는 사람 12 단무지 2008/05/07 1,208
190000 올해랑 내년은 서민들에게 무지 힘든해가될거라는 예언 8 음.. 2008/05/07 1,303
189999 때리지도 않은 아이가 머리를 맞았다고 했다네요.. 5 윤샘.. 2008/05/07 760
189998 부산?교회 행사에 <사찰을 없애자>라는 글을 못 찾겠어요. 3 지난글중 2008/05/06 355
189997 ## 부케받는 사람도 지켜야할 예절이 있나요? ^^ 8 부케 2008/05/06 5,820
189996 유치원버스 도우미아주머니(?)분께 드릴만한 작은 선물....뭐가 좋을까요? 3 선물 2008/05/06 624
189995 자연분만후 몸무게 변화 8 자연분만 2008/05/06 1,196
189994 휴대용 아이스박스 효능 어느정도 가나요? 4 오이랑 2008/05/06 741
189993 초등1학년 카네이션 만들기 질문이요~ 1 초보맘 2008/05/06 447
189992 급 컴터 대기중 6 계란 2008/05/06 404
189991 아이오페 레티놀TX와 설화수 아이크림써보신분.. 4 주름 2008/05/06 1,354
189990 수자원 공사 민영화 확정됐나봐요. 32 ㅠ.ㅠ 2008/05/06 1,636
189989 컴퓨터도 못 켜는 사람이..... 1 .... 2008/05/06 503
189988 기(?)가 강한 사람이 ..... 15 친구문제 2008/05/06 2,846
189987 외국인들이...흰색 머리띠를 좋아할까요? 4 외국인 2008/05/06 651
189986 폴로랄프로렌 우먼 즐겨입으시는분 계세요? 10 폴로 2008/05/06 1,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