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빕스에서 돌잔치를 한다는데 ..
미취학 아이 둘과 저 이렇게 셋이서만 갑니다. 남편은 남편 쪽 돌잔치에 가요. 낮엔 결혼식, 저녁엔 돌잔치 이렇게 그 날 스케쥴 정신없답니다.ㅎㅎ
아무튼, 빕스에서 돌잔치 하면 축의금은 얼마나 내야할까요?
5만원 내면...욕먹을까요? ㅠ.ㅠ
식사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 보통 우리 식구 빕스에 가면 메뉴 2개 시키고 샐러드바 이용했었는데 이번에도 그렇게 해도 될까요? 그렇게 시켜먹을 때 보통 5~6만원 선으로 계산했었거든요. 그렇다면 축의금 얼마나 내야할까요?
조언 좀 해주세요.
1. 마리아
'07.12.12 4:54 PM (122.46.xxx.37)얼마전 댕겨 왔는데요. 저녁 샐러드바 2만원인가 2만 천원이였죠. 글구 메인메뉴 하나시켜도 3-4 만원하면 5 만원이면 지대로 욕먹겠네요.
2. 5만원
'07.12.12 4:56 PM (121.138.xxx.111)내도 되실텐데요.. 뭐 그런거까지 따지면서 초대하셨을까봐요. 식사는 스테이크 하나 나올꺼에요. 돌잔치용 메뉴는 다르더라구요.
3. 돌잔치
'07.12.12 4:57 PM (124.54.xxx.15)메인메뉴시키면 샐러드바는 무료 이용 아닌가요? 5만원 욕먹겠죠? 역시? ㅠ.ㅠ
4. ㅋㅋ
'07.12.12 4:57 PM (210.0.xxx.73)친분이 두텁다면 더 하심 좋죠~
아니면 하던 대로 하셔도 좋을 것 같은데요~
빕스에서 하는 것은 돌잔치 주최 측에서 알아서 할 일일것 같은데요~^^
신경 안쓰셔도 돼요~
울조카 돌잔치도 빕스에서 한다는데 ㅋ 전 예쁜 조카라 20만원 생각해요~5. 그런데는
'07.12.12 5:00 PM (125.142.xxx.100)그런 패밀리 레스토랑 돌잔치는 메뉴가 따로 있지않나요?
제가 전에 우리애 돌잔치하려고 아웃백인가 알아봤는데요
메뉴를 몇개로 한정해서 그 안에서 고르게끔 가격대를 맞춰놨던데..
일단 샐러드바는 이용할수 있을테고 메인메뉴는 그때가서 분위기 봐서 정하면 되죠
미취학아동이나 어린이는 요금이 6900원인가 그러는데 5만원 내도 되지않을까요6. 저두
'07.12.12 5:10 PM (220.120.xxx.193)빕스는 아니지만 해산물 부페(알래스카)에서 예정인데요..전 오셔서 식사하시는데 의의를 두고있어서 5만원만 하셔도 감사할거 같아요..^^
바쁜 시간 짬내 와주셔서 같이 축하해주시는것만도 감사할 따름 ^67. 돌잔치
'07.12.12 5:10 PM (124.54.xxx.15)돌잔치 메뉴 따로 있군요. 이뻐하는 아기라 마음같아선 저도 20만원쯤 드리고 싶지만 제가 위에 적었다시피 그 날 축의금 예산만 20만원이거든요. ㅠ.ㅠ
5만원에 그냥 예쁜 내복이나 그림책 하나 넣어서 가야겠네요.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8. 10만원
'07.12.12 5:19 PM (221.161.xxx.105)내의에 그림책 더 하신다니깐 차라리 현금으로 10만원 하시는게 어때요?
그게 더 나을꺼 같아요.9. 요즘
'07.12.12 5:31 PM (125.186.xxx.26)금값이 10만원 가까이 되니 돌잔치때 5만원 옛말이에요..10만원정도 하셔야 할것 같네요
10. ..
'07.12.12 5:32 PM (203.246.xxx.135)큰애가 아빠말 잘 들으면 아빠한테 안겨서 보내심은 어떠실까요?
엄마에 작은애 하나..일케 5만원이면 그다지 욕먹을거 같진 않은데요..^^
아빠가 좀 고생스러울라나요? ㅎㅎ11. 제생각에
'07.12.12 5:42 PM (121.151.xxx.190)는 아이둘이면 어른하나로 봐야 할것 같아요
그럼 어른둘가면 5만원은 좀 적은것 같아요
아무리 축하하는것에 의미를 둔다고 해도 다들 나중에 누가 얼마했는지 계산해보잖아요
저도 돌잔치 자주다니지만 넘 부담스러워요12. ...
'07.12.12 5:46 PM (121.140.xxx.151)돌잔치는 아니고 개업식을,
강남의 모 중식당에서 코스로 했는데,
가족 4인이 오셔서 식사 다 하고
양념통 3개 set(아마 설탕, 커피, 프림용)을 선물로 주시더군요.
뭘 바라고 초대한 것은 정말 아니지만,
의외로 오랫동안 기억에 남네요. 제가 옹졸한 줄 알면서도요.
사실 일로만 알던 분이라
개업식에 가족 동반으로 오는 것 자체가 의외였어요.
조심스런 말씀이지만,
3인에 5만원은 역시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도 있을 듯해요.13. ...
'07.12.12 5:49 PM (121.151.xxx.190)솔직하신분이네요
다들 속맘은 그렇다고 봅니다
전 ...님 같은 경우 겪어봐서 그맘이 너무도 이해가네요14. 사실
'07.12.12 5:58 PM (123.109.xxx.42)이런 돌잔치부터 온갖 행사 다 초대받는거 자체가 스트레스인데...
여튼 가기로 했으면 그래도 자기가 먹은 음식값만큼은 최소 해야 하는거 같아요..
부담스러우면 그냥 핑계대고 참석 안하고 부주만 조금 해도 되구요..
가끔 한사람당 최소 5만원 넘는 비싼 결혼식이나 돌잔치에 가보면, 저는 축의금 부담스러워서 일부러 아이 남편 다 두고 혼자가서 5만원 정도 하고 오는데 어떤 친구들은 5만원 내고 신랑 끼니까지 해결했다고 좋아라 하는 친구들도 많더라구요...본인행사때도 그런친구들 반가워할런지...
저는 그런거 자체가 신경쓰여서 돌잔치 패스~게으르기도 하고15. 전..
'07.12.12 6:10 PM (211.109.xxx.9)딴 얘기지만 전 호텔에서 5만원짜리 밥먹는걸로 했는데 울 회사 사람들 어찌나 짠지 기대하진 않았지만 배우자와 아기까지 데리고 오면서 3만원, 심지어 돈도 안내고 간 사람도 있었어요..어차피 밥값 기대하진 않았지만 그런 사람들 계속 맘에 남게 되더라구요..이번달 저도 돌잔치인데 이런거 고민하기 싫어서 가족들만 초대해서 합니다.
16. ..
'07.12.12 6:19 PM (220.117.xxx.109)결혼식같은 경우 밥값 이상 정도는 해야 도리가 아니겠냐 하고 생각하지만 돌잔치는 좀 생각이 다르던데요.
결혼과는 다르게 돌잔치는 초대하는 입장에서도 미안하고 민폐가 아닐까 생각이 들고 와서 축하만 해주시는 것만으로도 저는 고맙고 감사하게 여겨졌어요.
얼마를 들고 오셨는가는 따지지 않게 되더라구요.
귀한 시간 내서 내자식 첫생일 축하해주신것 감사드려서 욕먹지 않게 맛있는 식사 대접하려고 고민고민했었구요.
나중에 경조사 다 챙겨드리려고 준비하고 있답니다.
간혹 짠돌이 친척이 경우없이 적게 한다든가 연락이나 축하 한마디 없고 오지도 않은 사람들은 쬐금 서운했지만 가시는 것만으로도 큰 신경쓰시는 것이니 5만원도 적다고 생각 안되네요.
실제로 부부 함께 5만원 들고 오는 사람들 많습니다.
전 인당 33000원 정도 되는 장소에서 했는데도요.
물론 가실 때 답례품도 다 챙겨드리죠. ^^
작년 얘긴데 올해라고 크게 달라졌을까요?17. 내 아이 돌잔치에
'07.12.12 6:29 PM (125.181.xxx.139)축하받는것만이 주요 목적이라면
굳이 빕스나 기타등등의 장소에서 행사를 안해도 되지요.
아니면, 축의금?은 받지 않습니다.
식사는 무료입니다.오셔서 축하만 해주세요.라는 멘트를 초대할때 하셔도 되고요.
무료급식소에 기부하면서 그 뜻을 전해도 되고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18. 빕스
'07.12.12 6:52 PM (211.187.xxx.87)빕스에서하는돌잔치가봤는데요 정해진 스테이크가 하나씩 나오고요 샐러드바 자유이용 이였어요. 원래 메뉴에 있는 스테이크보다 좀 뻣뻣하고 그냥그랬는데 3만원인가 그랬다데요. 아이들이라도 스테이크가 1인당 하나씩 먹을정도면 축의금 조금 더 내셔도 좋을것 같아요
19. 음...
'07.12.12 9:13 PM (116.122.xxx.80)빕스에서 하건 호텔에서 하던 일반적인 비용보다 더 나오는 곳이라면 그건 거기서 하기로 정한 초대한측의 입장이 아닌가요?비싼곳에서 했다고 초대받은 사람들이 돈을 더 내는게 맞는건 아니라고 봅니다..행사주체자 분들이 경제적인 부분은 충분히 감안하구 하는걸테니까요..
제 생각으론 아직까지는 일반적인 부페가 평균이라 생각하는지라 그런 부페는 2만원~2만원 초반 정도로 하는걸로 아는데 그럼 애 둘을 성인 1이라고 쳐도 5만원 내면 밥값은 하는거네요..
(근데 미취학 아이 둘이면 그중 한명은 아예 안내고 한명은 아이용으로 내서 그리 많지는 않을거 같습니다만)
빕스라 해서 예상보다 더 많이 낸다는건 좀 아니지 싶구요(사실 빕스가 비싼곳인지 싼곳인지는 몰라요)
평소 친분관계로 생각해서 내심이 좋을듯합니다..20. 무슨말씀들이세요
'07.12.12 9:24 PM (220.91.xxx.127)거기까지 가서 축하해주는 것만으로도 고마워해야지....
형편껏 하세요
윗분 말씀대로 비싼데서 한다고 더내야 한다는건
안그래도 민폐인 돌잔치가 더 민폐되는거에요21. 솔직히
'07.12.12 9:33 PM (220.91.xxx.127)돌잔치 여는 입장에서는 식사 한끼 대접한다고 생각해야지
어머 저집 셋이 와서 한끼밥값만 내고 가네...이딴 생각하면 너무 나빠요
애 놓고 장사하나요?
주소가 길긴 한데 돌잔치에 관한 글입니다 한번 들 보세요
http://bbs.moneta.co.kr/nbbs/bbs.moneta.qry.screen?p_message_id=4338321&p_bbs...22. 민폐 그만
'07.12.12 9:51 PM (61.104.xxx.182)돌잔치!!
가족끼리 할 수 없나요?
언제까지 돌잔치를 이런 식으로 해야 되나요?
진심으로 축하해 주실 직계가족분들끼리 오붓하게 하시길 바랍니다.
제발 민폐는 이제 그만!!!23. 메이발자국
'07.12.12 10:32 PM (58.148.xxx.133)제생각에도 돌잔치하는 사람이 장소를 정할때
비싼 곳이니까 부조금을 더 받을 생각을 하진 않았을것 같아요.
저도 우리아이 돌잔치 욕심부려서 좀 비싼데서 했지만
부부 함께 와서 5만원 내신분들 많았구요,
저도 그런분들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았거든요.
처음부터 마이너스될거 예상하고 잡은거구요.
장소를 정하는건 부모이고 오는 사람이 선택할 수 있는것도 아닌데
그런것까지 오시는분들이 신경쓰신다면 오히려 초대한 사람이 미안할것 같은데...
아, 근데 남편 사촌누이 되는 사람이
돈도 잘버는데 딱 봐도 돌잔치선물로 준비한게 아니라
자기가 기자생활하면서 받은 선물 중에 골라온게 뻔해보이는거 딸랑 들고 온거
그건 정말 두고두고 생각나네요.
이런거 할거면 차라리 하질 말지 싶더라구요...24. **
'07.12.12 11:39 PM (220.79.xxx.82)밥값 생각지 마시고 성의껏 내시면 된다 생각해요.
그리고 초대한 측에서도 하객들에게 물어보고 정한 것이 아닌만큼
경우가 너무 없는 경우 빼놓고는
밥값을 하네 마네 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 생각되어요.25. 물론
'07.12.12 11:59 PM (218.234.xxx.53)받는 사람 입장에서 밥값을 낸내 말았내 생각하는건 잘못된거지요.
하지만 가는 사람 입장에서도 또 셋이나 가는데 5만원 내면 저라면 제맘이 안편할듯 싶어요.
전 그래서 후배 결혼식 같은데는 아예 남편이나 애들 다 두고 저혼자 갑니다. 그럼 5만원 부주해도 안미안하더라구요.
돌잔치도 비슷하구요. 가족들(4명) 다가게 되면 10만원도 작은듯 싶어서..꼭 선물을 같이 사간다던가 하게 되요. 그래서 넘 부담스러워서 될수 있으면 혼자 가거나 아니면 부주만 하고 안가지요.^^ 제가 좀 합리적인 성격이어선지 전 제맘이 안편하더라구요.26. ...님 글을 읽으
'07.12.13 2:35 AM (76.183.xxx.92)우리 아이 돌때 생각이 납니다.
미국 촌에 사는 지라, 음식점에서 음식 오더해서 교회에서 했는데,
남편과 같은 회사 다니는 직원 선물이
아기 이유식 그릇(좋은게 아니고 반찬통같은 플라스틱그릇 3개 ㅅㅔㅌ)이었죠.
영수증까지 주면서 맘에 안들면 바꾸라고...
"이거 아이한테 무지 좋아~"를 말하면서 얼마나 생색을 내던지
내가 자기 아들한테 한 생일선물만 해도 그그릇 값에 따따블인데....
가격을 떠나서 기분이 참~~~27. 밥값?
'07.12.13 11:51 AM (124.243.xxx.22)저두 돌잔치를 해봤던 사람인지라 물론 밥값을 생각하고 하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아닌 경우도 더러 있더군요..
일예로 제 친구 부부2,초들학생2 데리고 4명이 오면서 1만원짜리 가격택 붙은 선물사가지고
왔더군요.. 별거 아닐수도 있지만 내가 본인한테 섭섭하게 한게 있었나 생각이 두고 두고
나는건 어쩔수 없더라고요28. 항상고민
'07.12.13 12:13 PM (211.108.xxx.30)비단 돌잔치가 아니여도 참 어떻게 처세를 하느냐가 관계에서 중요하죠.
항상 고민됩니다...그렇지만 일년에 수십번 있는 경조사이니 그러려니하고
또 친분 관계에 따라 달리지니깐요.~그냥 일반적인 경우를 생각해서.....
아이둘을 데리고 가면 본인도 신경쓰이실테고,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놓고
테도 안나면 억울할 터. 부부가 각자 한 아이씩^^ 윗분 말씀에 동의하구요~
그렇담 5만원내고 당당하게 시간을 보내실것 같아요~29. 제친구애기
'07.12.13 1:42 PM (218.51.xxx.18)세븐스프링스에서 했는데 인당 27000원 정도 엿어요.
저는 워낙 이뻐하는 애기이고 친구라서 금한돈해줬구요.
근데 아이들 둘데리고 가시면 최소 십만원은 하셔야될듯싶어요.
왜냐면 거기선 애들도 한사람몫으로 치더라구요.
그리고 스테이크 메뉴이기때문에 우리가 생각하는 샐러드바는 아니더라구요.30. 맞아요
'07.12.13 2:34 PM (221.163.xxx.101)돌잔치 한다고 초대하는 자체가 민폐인것같아요.
저도 1월에 돌잔치하는데..정말 어떻게 초대를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정말 민폐같아요.31. 원글쓴 이
'07.12.13 4:38 PM (124.54.xxx.15)허걱.이렇게 리플이 많을줄은..ㅠ.ㅠ
여러 이야기들이 있네요. 고맙습니다.
아이 하나를 남편에게 보내는 것은 좀 어렵답니다. 왜냐하면 회사 사장님 아이 돌이거든요. 같이 일하시는 분들 분위기가 남자가 집안일에 신경쓰면 어쩌구 저쩌구 하시는 분들이세요.ㅠ.ㅠ 아예 다 같이 가면 모를까 애 하나 같이 보내서 말 듣게 하고 싶지 않아서요.
그리고 제가 가는 돌잔치는 정말 제가 직접 가서 축하해 주고 싶은 자리여서요.
제 형편, 제 마음 다 알고 있는 분이니 형편껏 하고 올랍니다.
정성껏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