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두레생협요
집에서멀어서 인터넷주문을해요
근데 가까이에 있었음해서 알아보니 두레생협이 있네요 여기서말씀하신 생협과어떻게다르나요
두레생협도 믿을만한가요
한마음공동체는 물건이 좀 아닌듯 싶어요
두레가입할만한가요
1. 전
'11.4.20 12:12 AM (125.142.xxx.139)두레생협 조합원인데요. 한살림에 있는 것이 두레에 없기도 하고, 두레에 있는 것이 한살림에 없기도 하고 그럴 거예요. 전 주로 육류, 유제품, 두부, 커피, 설탕, 화장품 때문에 매장보다는 매주 집으로 주문해요.
2. 정확히하면
'11.4.20 12:18 AM (125.142.xxx.139)두레생협연합 안에 여러 개별 생협들이 회원으로 가입하는 거죠? 고양파주만 원래 이름이 두레생협이었대요. 서울은 환경운동연합에서 하는 에코생협도 두레생협연합 회원이구요. 조합원 불만에 대한 피드백이 좀 떨어져서 그렇지 믿을 수는 있다고 봐요.
3. 맘
'11.4.20 12:19 AM (203.226.xxx.93)네감사합니어ㄸ가입안했더니 구매할수없더라구요 한마음은 간혹 아닌제품을 판매하는것같아 좀그래요
4. 맘
'11.4.20 12:22 AM (203.226.xxx.93)게다가비하기도하고 초록마을은 더비하구요 회원가입하는게더나은거같아요
근데가입비삼만원외에 매달 이만원씩 또내나요5. 생협은
'11.4.20 12:26 AM (125.142.xxx.139)가입비라고 안하고 초기출자금이라고 할 걸요? ㅋ
고객이 아니라 조합원, 상품도 생활재라고 하고, 매장도 그루터기라고 하고... 처음엔 살짝 거부감이...
초기출자금 3만원외에 매주 출자금 천원이 나가요. 그 주에 구입한 것이 없으면 출자금 안 나가구요. 출자금은 적립되었다가 조합탈퇴시 돌려주는데 이자는 안 붙어요. ㅋ6. .
'11.4.20 12:33 AM (121.129.xxx.76)생협은/ 가입비는 돌려주지 않는 것이니 출자금이 맞구요. 출자라는 것이 어떤 사람의 소유인 회사가 아닌 나 자신도 그 운영자본의 일부를 투자하는 개념이라서 출자예요. 조합의 구성원이니 당근 주체이고 조합원이죠. 그루터기라는 건 저도 생소하지만 그것도 비슷한 개념에서 만들어진 말일거예요.
7. 존심
'11.4.20 1:15 AM (119.148.xxx.97)초록마을은 한겨레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대상그룹의 자회사입니다...
8. 전
'11.4.20 6:51 AM (125.180.xxx.16)경기도 두레생협회원인데
처음가입비는 2만원인데 이돈은 탈퇴시 돌려주고
매주 물건사는주만 내는 출자금은 5백원인데 이돈은 10만원 모아지면 돌려줍니다
같은 두레생협이래도 지역마다 틀리는지는 모르지만 제가 가입한 두레생협은 이렇네요
그리고 저희동네에는 두레생협과 한마음공동체 둘다 가깝게 매장이있는데
한마음공동체는 물건도 별로없고 두레생협처럼 활성화가 안되서그런지 가격도 두레보다 비싸요
두레생협은 회원들이 워낙 많아서 물건도 많고 직접매장서 사다보니 불편한걸 모르겠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