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eb.atomic.or.kr/atomica/read.html?chapter=9-3-2-6
원자력지식정보관문국 자료입니다.
<1. 일본에서 취해진 대책
우크라이나공화국(당시 소련) 체르노빌원자력발전소 4호기 사고(1986년)에 의한 방사능영향에 관해서 일본이 취한 대책은 방사성구름(plume) 도달시기에 채소의 세정과 음료수용 천수는 여과해서 사용할 것에 대한 주의 환기였다. 외국으로부터 귀국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방사능측정을 포함하는 건강진단이 실시되었다. 또 고농도의 방사성핵종을 함유하는 식품의 수입제한치를 OECD 가맹국인 유럽제국이나 미국의 방사능농도기준에 준하여 370 Bq/kg로 설정했다.>
그러므로 현재 정부에서는 방서성구름 도달시기에 대해 면밀하게 주시해야합니다...만!
정부는 정줄을 놓고 있는 것 같으므로 우리끼리라도 정보교환해야 합니다.
편서풍이라고 해도 한 바퀴 돌아 오는 것은 상식, 요오드는 반감기를 지나더라도 세슘은 그렇지 못하지요.
당시 우리 나라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음을 상기합시다.
이 자료 마지막에 주목할 부분은 정부의 대응에 따라 얼마나 드라마틱하게 그 피해가 줄어들 수 있는지 입니다.
3. 내부피폭, 외부피폭에 의한 선량저감 대책의 효과
위에서 기술한 여러 가지 종류의 방사선피폭방호대책에 의하여 사고 초기의 요드에 의한 내부피폭선량, 방사성구름으로부터의 외부피폭선량의 저감 및 사고 후 장기간에 걸친 지표면 오염에 의한 외부피폭선량, 음식물의 경유에 의한 내부피폭선량의 저감에 커다란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반감기가 길고 장기 영향이 있는 방사성세슘, 방사성스토론튬에 대해서는 재배작물의 선택, 갈아엎기 방법의 개량, 산성토양의 중화처리, 시비대책, 병해충·제초대책, 수리관리법 등 지금까지의 연구와 경험에서 농지에 축적된 방사성물질의 농축산물로의 이행을 감소시키기 위해 매우 유효한 일이었음이 판명되었다. 방사성세슘에 대해서는 대책에 의하여 농산물에의 이행이 평균 1/4로 감소되었다.
벨라루스 공화국의 예에서는 구 소련 연방제국이 정한 방사선세슘의 허용농도 레벨이상으로 오염된 우유가 1986년에 약 52만톤 (전 산출량의 약 14%)이었던 것이 1991년에는 2.2만톤으로, 꼭 같이 허용수준이상으로 방사성세슘에 오염된 육류가 1986년에 2.2만톤이었던 것이 1993년∼1994년에는 수톤으로 격감했다.
지금이라도 지표면 오염에 대해 대비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들고 대비해야합니다.
무엇보다 전국의 지표, 바다에 대해 방사능 측정을 지속적,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해야하며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 되어야 합니다...만!
정부가 정줄을 놓고 있으므로
구글 구제역지도같이 각자 방사선 측정기를 구입해서 방사선 지도를 만들든지 해야할 것 같습니다.
뭐..이젠 대책까지 국민이 공부해야하는군요.
현재 당시 핀란드에서는 어떻게 대비를 했는지 자료 구합니다.
핀란드 교민 여러분, 도와주세요.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체르노빌 당시 일본정부의 방사능 구름에 대해 취한 대책
자력갱생 조회수 : 1,375
작성일 : 2011-03-26 14:23:35
IP : 220.76.xxx.8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짱.
'11.3.26 2:31 PM (125.182.xxx.42)네...원글님. 어느분인지 모르지만, 참 바른말 하셨네요.
어찌해야하나...막막.... 나는 늙어서 요오드섭취까지 하지않아도 되는 나이지만, 내 아이들과 앞으로 태어날 아기들...지구의 미래....가 걱정 됩니다.
침착한 일본인들이 세슘오염 물을 방출한다 합니다. 침착한 일본인들이 지구사정생각 안하고 지들 배때기만 생각하려합니다.2. 자력갱생
'11.3.26 2:37 PM (220.76.xxx.85)3. 체르노빌에서
'11.3.26 3:01 PM (203.234.xxx.108)일본까지의 거리를 생각하면 우리 나라가 지금 넋 놓고 편서풍 얘기만 하는 건 정말 말도 안 돼요.
광우병 파동 때부터 알아봤지만 국민들 위할 생각이라곤 없는 안전불감증 정부...--;;;4. 대응
'11.3.26 4:16 PM (121.174.xxx.177)정부의 미진한 대응으로 우리 국민들은 그 피해가 당대에 그치지 않고 몇세대나 대물림이 될지... 과연 이런 환경에서 아이를 낳아라 말아라 할 자격이 있을지.
5. 자력갱생님
'11.3.27 6:55 AM (123.99.xxx.182)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