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아미쿡에 밥해보신부운~~
혹시 아미쿡 압력솥말고 냄비에 밥해보신분 계신가요?
밥통에만 밥해먹다가, 오늘 저녁엔 한그릇만 하면 될듯하여..걍 냄비에 하려고 하는데..
아미쿡이 저수분 요리가 된다 하잖아요. 그래서 밥도 물을 덜 넣어야 하는거 아닌가 싶어서요.
밥지어보신 분 있으시면 조언좀 주세요.
- [살림물음표] 밀폐용기 바닥에 깔리는.. 2013-06-27
- [리빙데코] 산세베리아 분갈이 해보.. 5 2013-05-21
- [요리물음표] 데친 참나물을 냉동하면.. 3 2013-03-19
- [이런글 저런질문] 쇠고기 등급제, 옥수수.. 2 2013-01-21
1. 헤스티아
'05.4.20 5:44 PM저 해 봤는데, 그냥 일반 밥하듯이 밥물 잡았고, 밥물 끓어오르면 최대한 약불로 해서 한참 두니까, 눌어붙지도 않고 고슬고슬거리는 밥이 되던데요.. 앗 저는 쌀을 전혀 불리지 않고 해서 일반 밥물잡듯해도 딱 맞았나봐요. 김이 나갈 일이 없으니, 아주 조금만 물을 줄여보시는것도 괜찮지 싶긴하네요.
2. J
'05.4.20 5:54 PM요즘 두 번에 한번 정도는 아미쿡 냄비에다가 밥해먹고 있어요. (워낙 이것저것 번갈아 써서..)
저수분냄비는 밥 아니라 어떤 음식을 하셔도 일단 수분을 적게 잡으시는 게 좋아요.
물론, 불 세게 해서 퍽퍽 김나고 뚜껑 딸각딸각하고 막 넘치게 쓰고 그러면... ^^;; 소용없지만...
저수분냄비의 특성을 잘 살려서 하시게 되면 분명 수분증발이 거의 억제되거든요.
일반냄비로는 밥을 해먹어본 적이 없어서... 비교는 못해드리는데...
압력솥보다는 조금 많게, 일반냄비보다는 조금 적게...라고 생각하시면 아마 무리가 없을 거예요. ^^3. 헤스티아
'05.4.20 6:12 PM앗 그렇군요. 압력밥솥에 하던 정도로 밥을 하니까 좀 고슬고슬 하게 되더군요. 압력솥에 할때가 물이 좀 덜드는가보군요.
제가하면 뚜껑이 달깍거리려고 하면 불을 확 줄이면 거의 한방울의 물도 새게 하지 않고, 거의 한 김도 새지 않고,그리 밥이 되더라구요.
가마솥에 해도 아미쿡에 하듯 거의 같은 정도로 물을 잡고 하는데, 고슬거리는것은 비슷한것 같아요. 가마솥에 해도 거의 수분의 손실이 없게 하니까 비슷한가봐요.4. J
'05.4.20 6:18 PM^^헤스티아님...
저수분냄비에서 김이 새는 것이 보이지는 않아도...압력솥처럼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아니니까....
안보이게 아주 조금씩은 밖으로 수분이 증발하고 있는 걸거예요.
사실 전 압력솥은 전혀 안 써보았기에 그냥 이론상(?)...
그러니까... 저수분냄비들과, 스텐후라이팬들을 쓰면서 불의 세기와 수분의 증발 사이의 관계....에 대해
확실히 감을 잡았기 때문에...그냥 제 생각으로 말씀드린 것이랍니다. ^^
(근데...헤스티아님 경험을 보니...저의 추측이 대략 맞는 것 같네요^^)5. 헤스티아
'05.4.20 6:32 PM음 "한김"--> 하얀색의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김;;을 말한것이었는데..
그저 눈에 안 보이면 없는것이라서요.. 헤헤6. 대전아줌마
'05.4.20 6:41 PM헉헉..두분이서 실시간 리플을 주고받으셧군요..^^ 흐흐..J님, 헤스티아님 감솨.
물은 해결되었고..또다른 의문이 생겨버렸어요..흐미~~
그럼 밥두 중불에서 시작해서 해야 하는건가요? 이거참 고민되네요..7. 꽃게
'05.4.20 7:09 PM저수분요리가 되는 냄비는 개스불이 직각으로 선 상태의 불에서 하라고 해요.
왜 쎈 불은 불꽃이 냄비 바닥옆으로 퍼지잖아요.~~~8. 초롱아씨
'05.4.20 7:12 PM저 방금 저녁밥을 편수냄비에 해먹었어요
시작은 중불로 했는데 끓어서 뚜껑이 들썩거리기에 뚜껑열고 팍팍 조금 끓이다가 뚜껑덮고 약불보다 더 약하게 5분정도 뜸들이다 불끄고 몇분후에 약약불로 조금 가열하다 껐는데 잘 됐어요
조금 질었지만 밥이 술술 잘 넘어가서 우리아들이 밥을 많이 먹었어요9. 헤스티아
'05.4.21 12:51 AM잘 되었는지 궁금하네요.. 궁금궁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