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백두대간 단전에 우뚝 솟은 희양산과 봉암사 풍경 2010-5-21

| 조회수 : 2,575 | 추천수 : 183
작성일 : 2010-05-25 15:19:38






2010년 5월 21일(금) 문경 봉암사-희양산-봉암사 산행



1년에 한 번 석가탄신일에만 오픈하는 봉암사와 전체가 하나의 큰 암괴로 되어있는 희양산을

맑고 푸른 날 인적없는 암릉길로 오르며 눈이 시원하도록 아름다운 산세를 만끽한 뒤,

월봉토굴과 백운대 마애불을 돌아보고 봉암사에 들러 가람 이곳저곳을 감상하였습니다.







희양산은 100대 명산이면서 백두대간 구간이지요.







백두대간 길이 이화령에서 이만봉-시루봉을 거쳐 희양산으로 이어지지요.







전날 밤에 도착해 쏟아지는 별을 즐긴 뒤 다음 날 아침 희양산을 조망해 봅니다.








뒷산에서 아침에 따온 두릅과 가죽나무 새순, 나물등 한상 가득한 웰빙음식,








이제 봉암사와 희양산의 기를 받으러 출발하는데 차들이 벌써 많네요.













희양산 뒤쪽 산은 대간길로 이어지는 구왕봉(898m)입니다.







기단부터 정상까지의 산 전체가 하나의 화강암 암괴로 되어 있다는 희양산(998m)














봉암사 입구에 도착했습니다.







1년에 한 번만 오픈되는 봉암사라 방문객들이 많습니다.







남무아미타불















봉암사는 하산시 돌아보기로 하고 부지런히 희양산을 오를 준비를 합니다.











바뻐도 잠시 앵글을 돌려 봅니다.







부도비를 돌아 본 뒤,














통일신라시대 정진대사의 사리를 모신 [정진대사원오탑비]를 둘러 보았지요.









능선을 조금 오르니 희양산 바로 옆 구왕봉(898m)이 오른쪽에 보입니다.








멀리 보이는 산이 내일 오를 대야산(930.7m)이네요.











오른쪽 봉우리는 봉암사 왼쪽 능선의 원통봉인지 애기암봉인지...













멋진 노송 및 적송들이 반겨주더군요.





















조금 더 오르니 저 아래 봉암사가 보이네요.







가람배치가 깔끔하게 되어 있더군요.














건너 봉우리는 희양산 바로 옆 구왕봉(914m)입니다.









대야산쪽 풍경입니다.







희양산이 바다 였었나? 죠스 머리가 있네요. ^^







건너 봉우리는 희양산에서 시루봉을 거쳐 대간으로 이어지는 이만봉(989m)인듯..







희양산 건너편 구왕봉(898m)도 이제 제 모습을 드러내고 있네요.








희양산 암봉도 제대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능선을 오르며 계속 조망되는 구왕봉,











희양산은 갑옷을 입은 무사가 말을 타고 앞으로 나오는 형상이라지요.










말 머리같이 보이시나요? ^^







자일이 설치되어 있기는 하나 가파라서 오르기가 만만치 않은 구간이었습니다.








워낙 가파라서 보조자일로 확보를 하고 올랐습니다.







마지막 일행이 오르고 있습니다.







왼쪽에 뇌정산(991.4m)이 있지요. 대간구간이라 그런지 큰 돌이 무척 많더군요.







하늘이 닿아있는 마루금들이 대야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입니다.







말머리의 이목구비가 보이시나요? ^^










































이곳이 말의 눈에 해당하는 곳인 것 같네요.



























그늘을 찾아 점심먹고 한 잠 청해봅니다.

















두루미가 앉아 있을 만한 소나무네요.







희양산 정상을 암릉길로 올라보려 합니다.







이런 곳을 자일 설치된 크랙을 따라 오르는 코스입니다.













곧 부러질 것 같은 나무사다리를 피해 옆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이제 저도 오르는데 자일이 안쓴지 오래돼 하얀 가루가 떨어지더군요.




















구왕봉입니다.












저 아래 바위가 마치 북한산의 해골바위처럼 보이네요. ^^















































희양산-구왕봉-주치봉-악희봉-장성봉-곰넘이봉-촛대봉-대야산으로 이어지는 대간길,













드디어 희양산 정상에 올랐습니다.







정상에서 지름티재로 내려서다 보니 [큰구슬붕이]꽃이 보이네요.







이제 지름티재쪽으로 하산합니다.


















이곳에서부터 약 100미터 정도는 무척 가파르게 내려가야 되더군요.







[큰구슬붕이]를 또 만났습니다. 생각보다 접사가 잘 되었네요. ^^











봉암사쪽으로 접어드니 [민백미]꽃과 그 옆 [우산나물]이 많이 보이네요,







연녹색 녹음이 무척 싱그럽지요?







[천남성]꽃이 수줍은 듯 뒤돌아 서 있습니다. ^^













100세가 넘으신 월봉스님이 사시는 월봉토굴입니다. 신기하게 생겼지요? ^^







문 바로 위 바위에는 사람얼굴 모습도 보이네요.







토굴 옆에 [모과]나무 꽃이 소담스럽게 피어 있더군요.







봉암사 백련암에서는 300살을 살았다고하고 공간이동까지도 마음대로 하는 선인의

최고경지인 [아라한]까지도 도달했을거라 하는 개운조사가 심신수련을 하였다고 하고

속리산 동편 심원사 가는 길에는 게운조사가 바위에 손가락으로 써 놓은 글이 있다지요.

개운조사가 써 놓은 은엄경 주석책이 1955년 심원사 천장에서 발견되어 알려졌구요.







이제 마애불이 있는 백운대 계곡으로 내려갑니다.







큼지막한 [우산나물]이 날개를 펴고 있네요. ^^







백석대 마애불에 도착했습니다.







앞에 돌 있는 곳 바위속이 비어 있어 돌로 두드리면 목탁소리가 나더군요.












부처님이 수심이 많아 보이시네요.











봉황과 같은 바위산에 용과 같은 계곡이 흐르고 있어 봉암용곡이라 불었다네요.







이제 신라 헌강왕5년 지증국사가 창건한 천년고찰 봉암사에 다시 도착했습니다.








백두대간의 단전에 해당하는 곳인 희양산은 천하 길지라고 합니다.







고려태조때 정진대사가 크게 중창하였는데 임진왜란때 소실되어 1955년에 재건,







1947년 성철스님을 필두로 청담. 자운. 우봉스님등 4인이 부처님 법대로 살아보자는

[봉암사 결사]를 하여 거듭나니 20인의 유명한 스님들이 결사에 참여했답니다.






"산이 병풍처럼 사방에 둘러쳐져 있어 봉황의 날개가 구름을 훑는 것 같고 강물이

멀리 둘러 쌓여있어 뿔 없는 용의 허리가 돌을 덮은 것과 같다."며 지증국사가 경탄하고

"이땅을 얻게 된 것이 어찌 하늘이 준 것이 아니겠는가. 스님들의 거처가 되지못하면

도적의 소굴이 될것이다" 라 하며 대중을 이끌고 이 곳에 절을 지었답니다.







선종산문인 구산선문의 일맥인 희양산문으로 그 사격이 매우 당당하다는 봉암사,







봉암사3층석탑입니다.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보물137호)과 적조탑비(보물138호)가 보입니다.








이전을 한 모양입니다. 비문은 최치원이 썼다고 하는군요.







봉암사 연등이 흰색인 것은 부처님의 본뜻을 기리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극락전입니다. 산신각은 그 뒤에 있구요.


































다시 숙소로 돌아와 오늘 돌아본 희양산과 봉암사를 떠 올리니 뿌듯하네요.










더스틴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wrtour
    '10.5.26 12:38 AM

    와 봉암사와 희양산,,정말 좋으셨겠어요.
    희양산에 포근이 안긴 봉암사,,,나말여초 구산선문의 한 종가를 이루는.
    창건주 지증대사 부도비에 쓴 최치원의 글은 사산(四山)비명의 하나로 당시 역사,특히나 선종 역사를 알수있는 귀중한 비문이죠.
    하동 쌍계사,보령 성주사 것과 함께.
    희양산 하면 생각나는게 무신정권 때 일어나 김사미의 난입니다.
    희양산 봉암사를 본거지로 했구요.
    여기서 사미는 사미승을 이르니 봉암사 스님들이 난을 일으켰구요.
    지증국사가 희양산 자락에 사찰을 세운 이유가 재미있어요.
    즉 희양산은 부처님을 모시지 않으면 도적이 은신처가 될 것이라는 거요.
    의상대사가 영주 봉황사 중턱에 부석사를 세운 이유와도 같은.

  • 2. 별꽃
    '10.5.26 12:39 AM

    봉암사 마음속에 품고만 있다가 엊그제 초파일날 다녀왔는데 이렇게보니 새롭네요~

    또다른 눈을 통해서 희양산과 봉암사 잘 보았습니다^^~

  • 3. 천하
    '10.5.26 11:20 PM

    좋은곳 다녀 오셨군요.
    덕텍에 구경 잘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3204 한명숙)))))))))오잔듸 그늠 새키 제발 좀 입 좀 다~악 .. 1 멍멍이 2010.05.26 1,916 181
13203 서울시 교육감, 교육의원 진보성향 후보들이에요~ 유키아 2010.05.25 1,930 166
13202 우먼센스 6월호 한명숙 인터뷰 서울시민 2010.05.25 1,988 183
13201 i.f사진전 해운대 1 이천사 맘 2010.05.25 2,097 250
13200 무려.. 김제동씨와 푸아님~ 27 spoon 2010.05.25 4,539 151
13199 백두대간 단전에 우뚝 솟은 희양산과 봉암사 풍경 2010-5-2.. 3 더스틴 2010.05.25 2,575 183
13198 [영상] 23일 노무현 대통령 1주기 추모공연 중 한명숙 후보 .. 1 서울시민 2010.05.25 2,151 173
13197 가미솥 풍경 1 돌미나리 2010.05.25 2,158 147
13196 하늘이 울고 땅이 울고 그리고..... 바위도 울었다 8 자수정 2010.05.25 2,314 120
13195 불리우는 이름도 많네요 3 다은이네 제주벌꿀 2010.05.25 1,591 129
13194 살아남은 우리는 당신한테 졌어요(2010 봉하)... 4 카루소 2010.05.25 2,867 184
13193 덕수궁 돌담길 따라 어제. 9 wrtour 2010.05.24 2,615 188
13192 5월24일...자색,호박고구마순이 이만큼 자랐어요~ 3 초인(장흥) 2010.05.24 1,926 158
13191 봉하에서 찍어 온 82의 박석입니다. 14 은석형맘 2010.05.24 4,122 153
13190 [펌] 동화로 보는 '여성 한명숙이 살아온 길 : 사랑하는 사람.. 서울시민 2010.05.24 1,649 192
13189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지...(2010 봉하) 5 카루소 2010.05.24 2,835 206
13188 [펌][동영상] 23일 봉하마을 - 노무현 대통령 서거 1주기 .. 3 서울시민 2010.05.24 2,049 193
13187 [노무현대통령 1주기 추모]우리의 눈물과 빗물이 어우러져 강물이.. 4 강물처럼 2010.05.24 1,747 102
13186 오랫만에 피아노 앞에 앉다 2 intotheself 2010.05.24 2,137 242
13185 내사랑(2010 봉하)... 18 카루소 2010.05.24 3,824 170
13184 노란 풍선 2 舍利子 2010.05.23 2,443 212
13183 맛있는 샌드위치 4 초인(장흥) 2010.05.23 2,738 216
13182 5월21일...햇살 좋은 날 우리마을 풍경 2 초인(장흥) 2010.05.23 2,022 186
13181 비오는 일요일 ,새로 생긴 취미 3 intotheself 2010.05.23 2,554 242
13180 세미원에서.... 3 ssen 2010.05.23 1,918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