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상념의 고갯길~무악재를 지나 사직공원으로

| 조회수 : 1,667 | 추천수 : 110
작성일 : 2009-12-30 20:52:45

지난 12월 23일과 24일 이틀동안


그동안 혹한에 몸사리고 있다가 날씨가 푸근해졌길래


성내천과 무악재를 넘어 사직공원에서


경복궁을 지나 정독도서관 옆길로 삼청동으로 해서


삼청공원을 둘러보고 가회동의 북촌 한옥마을로 걷기여행을


흠뻑 즐기고 왔습니다.


 


컴고장으로 사진정리도 못하고 있다가 이제사 정리를 해 봅니다.


 


****************************************************************


 


지난 주는 일주일 내내 어찌나 춥던지


집을 나서는 것이 망설여졌다.


 


그래도 큰맘을 먹고 집을 나섰는 데


아파트 정문까지 걸어 나갔다가 아무래도


너무 추워서 더 이상은 아니겠다 싶어 유래없이 내 발길을


돌려 집으로 다시 들어가는 헤프닝까지 있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지난 23일은 성내천을 언니와 함께 오랜만에 만나


이야기꽃을 피우며 걸어 사진을 별로 찍지 못했다.


 


성내천은 걷기에 쾌적하게 잘 가꾸어져 있었고 길을 걷는


많은 사람들이 있어 동네 산책을 나온 느낌이었고


올림픽공원에서 시작된 성내천의 걷기는 1시간여를 걸어


마천동으로 나왔다.


 


그리고 그 이틑날 크리스마스 이브라는 날에


나는 큰맘을 먹고 집에서 부터 걸어서 무악재를 넘어


사직공원..경복궁을 지나 삼청동으로 해서 가회로를


4시간에 걸쳐 사진을 찍으며 혼자 걸었다.


 


역시 사진을 찍으며 걷는 길은 혼자인 것이


너무도 좋은 것 같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아파트를 나서면 우리 동네어귀에는


큰 고목나무가 서있다. 언제나 그 길을 걸어 나설때


사진을 한장 찍고 싶었는 데.....이제사 나목이 된 모습을 한장 담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집에서 두 정거장을 걸으니 무악재이다.


내 어렸을(?) 적 추억이 고스란히 배인 언덕길을


추억에 젖어 한발 한발 걸어 넘었다.


 


그 옛날 친구들과 깔깔거리며 무수히 걸었던 길


그 길을 오늘 나는 혼자 걷는다.


모두 어디서 무엇을 하며 지내는 지....


문득 그 시절이 못내 그리워진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무악재를 걸어 넘어 독립문을 보며 좌측으로


사직터널길로 접어 들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직터널이 개통된 것이 굉장히 오래 된 것으로 기억을 하는 데


그동안 보수를 잘 한듯 보인다. 터널안은 차로와 인도사이에


막음막을 해 놓아서 터널안 걷기가 한결 좋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직공원내로 들어서니 사직단이 중앙에 있었다.


어려서부터 이 부근에서 살아온 덕에 자주 자주


이 사직공원을 둘러도 보고 이곳에서 시간도 보낸 적이 많은 데


오늘처럼 자세히 들다보긴 처음인 것 같다.


 


혼자서 사진찍으며 둘러보는 걷기여행의


가장 좋은 점을 발견한 것같아 기분이 너무 좋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직단은 조선시대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태조는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면서 고려의 제도를 따라


1395년(태조4년)에 경복궁 동쪽에서는 종묘를, 서쪽에는 사직단을 설치하였다.


 


사직단은 홍살문이 설치된 두 겹의 담장으로 사방이 둘러 싸여 있는데,


동쪽에는 사단이, 서쪽에는 직단이 있다.


두 단의 모양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에 따라 한 변이 7.65m인 정사각형이고


두 단의 높이는 약 1m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출입이 금지된 사직단의 동쪽 문에 서서 이곳 저곳을 둘러보니


나라를 지켜줄 신성함이 저절로 느껴져 지극정성으로 잔 한잔 올리며


절이라도 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경복궁을 향한 사직공원의 출입구 쪽엔 사직단이란 현판이 걸려져 있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직공원안에는 율곡  이이선생님의 동상과 신사임당의 동상이 세워져 있었고


마침 따뜻한 공원안에서는 노년의 어르신들이 모여 게이트볼 게임을 즐기고 계셨다.


나도 나이가 더 들면 저리 공원에서 게이트볼을 치진 않을 지....


가까운 먼 훗날을 그려 보기도 하였다.ㅎㅎ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직공원을 둘러보고 경복궁쪽으로 발길을 재촉했다


오늘이 크리스마스 이브이여서 인 지 거리엔 사람들도 많고


제과점 앞에 케잌이 산더미처럼 쌓이고 캐롤송이 흘러 나오는 등


활기찬 거리에서 옛 과거의 길을 찾아 걷는 내 모습에 짐짓 웃음이 배어 나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걸음을 재촉하여 도착한 경복궁에는 마침 수문장 교대식이 시작되고 있어


외국 관광객들과 많은 인파속에서 걸음을 멈추고 그 교대식을 지켜 보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세번의 웅장한 북소리와 함께 안내 방송과 함께 교대식이 진행되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을 지켜보고는


자주 찾아보던 삼청동 길로 발길을 옮긴다.


.


.


.


.


.


.


.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wrtour
    '09.12.31 2:11 AM

    성내천은 병자호란 때 청군이 남한산성의 인조와 대치하며 진을 쳤던 곳이죠~
    풍납토성 안에 마을이 있어 성내리(지금의 성내동)를 지나기에 성내천이라~~
    남한산성에서 발원하고~~

    사직단과 종묘는 경복궁보다 먼저 지을 정도로 조선왕조에선 중요한 곳이였는데
    상대적으로 종묘에 비해 넘 왜소하구요~~

    가로 질러 인왕산 오르던 기억이 새롭네요~~

  • 2. 안나돌리
    '09.12.31 2:57 AM

    와아~~wrtour님!
    보충 설명 너무 감사드립니다.
    어쩜 그렇게 지명의 역사들을 잘 알고 계시는 지~~@@
    늘 감탄을 하곤 합니다. 앞으로도 제가 걷는 길에
    보충설명 꼭 좀 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하루가 지나면 2009년이 또 과거의 날로 남겨지네요~
    마지막 날의 보람찬 시간들 보내시고 새해 복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 3. 변인주
    '09.12.31 5:01 PM

    바라보는 우리가 잎을 내린 겨울고목나무에서 겸손을 배울 수 있다면

    저 고목나무는 작은 양옥집에 기대어 사는 삶이 초라하지 않을거예요.

    오늘은 경복궁보다 저 고목나무가 더 마음에 남네요.

    또 감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2579 악흥의 순간... 10 카루소 2010.01.03 2,638 185
12578 떠나요~제주도 여행~ 3 지지팜 2010.01.02 1,690 78
12577 경인년 새해 첫 샷~~ 4 안나돌리 2010.01.02 1,693 189
12576 보성의 아침 2 지지팜 2010.01.02 1,388 67
12575 82님들....새해복마니받으세욤 1 둘째갖다 2010.01.02 1,204 107
12574 2010년 두번째 음악 선물... 9 카루소 2010.01.02 3,006 174
12573 청계산서 나오데요. 11 wrtour 2010.01.01 2,747 170
12572 엣지있게^^ 2 청호 2010.01.01 1,245 77
12571 오늘아침 바닷가 김이나는 일출모습입니다 7 어부현종 2010.01.01 1,742 104
12570 오늘아침 일출 11 어부현종 2010.01.01 1,584 83
12569 알록달록 예쁜 천으로 퀼트..... 1 마실쟁이 2010.01.01 1,967 96
12568 묵은해 보내기... 그리고 새해맞이 1 명사십리 아짐 2010.01.01 1,522 129
12567 경인년(庚寅年)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6 도도/道導 2010.01.01 1,503 121
12566 2010년 너에겐 친구가 있잖아... 12 카루소 2010.01.01 2,826 178
12565 끝내 가버리네요. 10 wrtour 2010.01.01 1,731 91
12564 2010년 노래 선물 담아 가세요~*^^* 13 카루소 2010.01.01 3,020 176
12563 2010년 1월 달력입니다. 9 안나돌리 2009.12.31 2,331 131
12562 I Love Coffee 7 지지팜 2009.12.31 1,595 92
12561 주차장 3 (parking lot) 3 노란꽃잎 2009.12.31 1,517 109
12560 2009년 최고의 노래입니다. 19 카루소 2009.12.31 3,211 123
12559 상념의 고갯길~무악재를 지나 사직공원으로 3 안나돌리 2009.12.30 1,667 110
12558 2009 송구 영신 2010 ~~~~~~~~~~~~~~ 3 도도/道導 2009.12.30 1,573 139
12557 82쿡 회원님들께 보내는 연하장 8 안나돌리 2009.12.30 1,713 158
12556 당신을 얼마나 기다렸던지... 4 카루소 2009.12.30 2,710 175
12555 체크메이트 상황이라고나 할까? 2 현랑켄챠 2009.12.29 1,63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