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정보의 연속체 (information Continuum) 개념을 설명하는 수업시간에 ‘어떻게 정보가 지식이 되느냐 ’ 는 한 여학생의 질문에 교수가 답변으로 해 준 이야기이다 .
옛날에 여러 지역을 돌아 다니며 모자를 팔던 젊은 상인이 있었다 .
어느
여름날
오후
,
한
도시에서
일을
마치고
다른
도시로
가던
중
피곤해진
모자상인은
숲
속에서
낮잠을
자기로
하였다
.
가지가
많고
그늘을
드리우고
있는
망고
나무를
발견하여
모자
가방을
옆에다
두고
모자상인은
잠이
들었다
.
개운하게
낮잠을
자고
일어나보니
가방
안의
모자가
모두
없어졌다
.
당황한
그는
외쳤다
. “
더럽게
재수없네
.
대체
도둑들은
왜
하필이면
날
털었지
?”
갑자기
위를
쳐다보니
그의
화려한
색의
모자를
쓴
원숭이들이
망고
나무를
꽉
채우고
있었다
.
원숭이들을
향해
소리를
질렀더니
원숭이들도
같이
소리를
질렀다
.
원숭이들에게
얼굴을
찡그렸더니
원숭이들도
똑
같이
얼굴을
찡그렸다
.
원숭이들에게
돌멩이를
던졌더니
원숭이들은
풋망고를
던졌다
.
“
맙소사
,
어떻게
모자를
되찾지
?”
모자
상인은
잠시
생각해
봤지만
묘책이
떠오르지
않아
낙담하여
자신의
모자를
벗어
땅
바닥에
내
던졌다
.
놀랍게도
원숭이들도
모두
모자를
벗어
땅
위로
내
던졌다
.
모자
상인은
일초도
주저하지
않고
급하게
모자를
모두
주워
담아
다음
지역으로
떠났다
.
50
년
후
가업인
모자판매를
물려
받은
모자상인의
손자가
같은
정글을
지나게
되었다
.
오후
내내
걸어
몹시
지친
그는
가지가
많고
그늘을
드리우고
있는
멋진
망고
나무를
발견하여
잠시
쉬었다
곧바로
잠이
들었다
.
몇
시간
후
잠에서
깨어보니
가방
안의
모자가
모두
없어졌다
.
모자를
찾기
시작했는데
놀랍게도
자신의
모자를
쓴
원숭이들이
망고
나무
위에
앉아
있는
것이었다
.
처음엔
당황하여
어떻게
해야
할
지
몰랐지만
할아버지가
늘
말씀하셨던
원숭이와
모자
이야기가
갑자기
떠올랐다
.
“
이
원숭이들을
어떻게
놀리는지
알지
”
하며
혼자
말을
하였다
. “
원숭이들이
날
따라
하게
하여
곧
모자를
모두
돌려
받아야지
.”
원숭이들에게
손을
흔들었더니
원숭이들도
그에게
손을
흔들었다
.
코를
풀었더니
원숭이들도
코를
풀었다
.
춤을
추기
시작했더니
원숭이들도
춤을
췄다
.
귀를
당겼더니
원숭이들도
귀를
당겼다
.
손을
들었더니
원숭이들도
손을
들었다
.
그리고
원숭이들이
모두
똑같이
따라
할
거라고
기대하며
모자를
땅
바닥에
내던졌다
.
그런데
그러질
않고
원숭이
한
마리가
망고
나무에서
뛰어
내려
그에게로
걸어
왔다
.
원숭이는 젊은 모자상인의 눈을 빤히 쳐다보며 말했다 . “ 너만 할아버지 있냐 ?”
***************
l 정보는 수집된 모든 데이터
l 지식은 필요할 때 마다 저절로 사용하게 되는 정보
한 마디로 말해 데이터를 모은 것이 정보이고 , 이런 정보 중에서 필요할 때 마다 저절로 사용하게 되는 정보가 지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