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글 저런질문 최근 많이 읽은 글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우유두 해롭다니.. 이런 글 보신적 있나요?
우유가 느므나두 좋은줄 알고 친정엄마, 신랑 매일 억지로 먹이는데,
이 글을 읽으니 내가 잘못하는건가 싶고.. 누구 말이 맞는건지..
이젠 우유도 해로운 음료일까요? 아님 넘 오버인걸까요?
=====================================================================================
제가 가끔 드나드는 블로그에서 퍼 왔습니다.
주인장이 현재 미국에서 의사로 계시거든요..
너무 놀랍습니다. ...모유를 먹어서 드는 안도감과 전 하루에 500ml 정도의 우유를 마시는데..
그돈으로..녹황색 채소나 더 사먹어야 겠네요..
출처: http://www.drgoodback.com/drgoodback/?no=184
우유에 대한 많은 논란과 학설이 난무하고 연구가 진행중이지만,
이미 현재에 나와 있는 리서치들만으로도 우유를 마시지 말 이유는
분명합니다.
1. 우유는 호르몬, 제초제, 농약, 다이옥신, 항생물질, 피, 고름, 대변, 박테리아, 바이러스,
방사선 낙진까지 소가 먹은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우유가 칼슘에 좋다고 하지만 흡수에 필요한 마그네슘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작 흡수되는 양은 약 11% 정도에 불과합니다.
초록색 야채(케일, 시금치)등을 통해 충분히 칼슘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색이 진한 야채일수록 좋습니다. 우유에 칼슘이 얼마나 들어있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몸에 흡수될 수 있는 가가 중요합니다.
3, 우유는 단백질이 많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 우유단백질의 80%는
카제인이라 불리는 알러지 유발 항원입니다.
4. 우유의 살균 작용을 통해 모든 균이 처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과정을 통해 암을 일으키는 성장 호르몬이 오히려 농축되고, 단백질
이 변형 뇌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5. 우유와 각종 병의 연관성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연구중입니다.
자폐증, 정신분열증
소가 맞는 성장 호르몬(BGH)와 대장, 유방, 전립선암
당뇨(Diabetes Type 1), 다발성 경화증
소의 백혈병 바이러스와 유방암
중이염 같은 귀의 염증 (50%가 우유를 끊으면 없어집니다)
그외 설사, 근통증, 가스, 소화기관내출혈,빈혀르 여드름,
류마티드 관절염,무정자증, 백혈병.
10. 우유는 반이 지방입니다.
지방 함유율 1-2 %라 선전하는 우유는 무게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얘기입니다.
11. 모든 낙농품이 비슷합니다. 치즈나 아이스크림은 그 양이 농축되어 있으므로 우유보다 더 나쁩니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 중 가장 인간의 질병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은 설탕과 우유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에서만 일년에 11 빌리언어치의 우유와 16 빌리언의 치즈가 팔립니다.
낙농계 자체에서 투자, 진행시키는 우유의 안전성을 입증시키는 연구들과 소비자 교육은
어마어마 합니다, 그러므로 유묭한 대학의 유명한 연구진이 한 리서치라도
그 연구목적의 투명성, 자금 출처등을 생각해보고 반대 의견도 수용, 검토,
비교해 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우유에 대해 이미 전세계에서 많은 이의와 논란이 제기되고 있지만,
제 생각에는 앞으로도 몇십년은 우유는 팔릴 것이라고 생각됩니다.가장
큰 문제들은 이러한 연구들이 많은 분야에서 진행중이지만 그것이 입증될때면
이미 때는 늦어버리고 만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식품업계의 문제들은 농축되어 유전되므로 세대가 지날수록
심각하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요즘 어린아이들의 자폐증, 폭력성, ADDH(주의력 결핍증등....)
많은 동물중 인간만이 자연의 섭리에 따라 모유 공급이 끊긴 후에도 우유병을
들고 다른 포유류의 젖을 먹는 유일한 동물입니다. 어미의 모유가 자연적으로
중단되는 이유는 그 동물이 더 이상은 우유 없이도 다음 단계를 향해 잘
성장할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원래 예전에 먹던 우유는 이렇게 까지 오염이 되지 않고, 문제가 있지는
않았으나 인간의 어설픈 과학으로 너무나도 많은 생태고리가 깨어지고 말아
현재 우유와 질병과의 수많은 링크의 주 원인이 되고 말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우유의 이익보다는 위험성이 훨씬 많으므로 드시지 않기를
권고합니다. 그리고 적어도 1년의 모유수유는 어머니들에게는 기본입니다.
아래에 자세하게 우유와 각종 질병과의 연관성, 영양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우유의 허구성을 세계 유명 대학, FDA, 그외 각종 기관의 리서치
자료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적어보았습니다.
이글이 어쩌면 처음 대하시는 분들에게는 충격적일 수도 있지만 식품업계의
오염도는 알면 알수록 상상을 초월합니다.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읽어 보세요.
위에 간단히 적어 놓은 11가지 이유에 대한 설명입니다.
자세한 글 보러 가기
Written Dr. 지현
이럴수럴수 이럴 수가..하루에 거의 500ML 정도의 우유를 마시는 난데..
이럴수가..그나마 다행은 우리 7 개월된 아들넘..아직도 모유먹고 있다..
이제 우유 살돈으로다가..시금치나 더 사먹어야쥐..
Address : http://www.nangurjin.com/blog/?no=452

- [건강] 6세 아이. 물사마귀가.. 7 2010-12-01
- [뷰티] 가격대비 만족하는 화장.. 11 2008-10-26
- [육아&교육] 밥잘먹게하는 약이나 방.. 2 2008-10-21
- [육아&교육] 배에 가스가 많다네요... 6 2008-10-16
1. 예진호맘
'06.6.21 3:55 PM저도 들은기억이 있어요 맘들은 아ㅏ이들에게 기어코 우유를
먹이려고 하는데 그러지 말라고 굳이 먹일 필요 없다네요2. 류사랑
'06.6.21 4:03 PM채식주의자들 사이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이야기예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유가 건강식품 이미지로 포장되어 있는 건
축산업계와 거대기업의 이해관계와 복잡미묘한 함수관계가 있다는 것까지..
그런데 아시죠? 이면을 깊이 알면 먹고 살만한 음식이 거의 없어요. 현미와
콩, 감자, 고구마, 텃밭에서 직접 재배한 무공해 채소 이외에는. ㅎㅎ
결국 개인의 선택의 문제가 아닐까요? 그리고 슬프게도 그 모든 것을 알고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은 지구상에 거의 없을 겁니다. 스코트& 헬렌 니어링
처럼 소박한 삶을 살지 않은 한 말입니다.
산골에 파묻혀 철저히 유기농 식단으로 꾸리지 않는 이상 이 모든 위험을
피해갈 현대인이란 아마 없을 거란 생각이 드네요.3. 김민지
'06.6.21 4:04 PM이번달인가 저번달인가 레몬트리에 이 내용이 나왔어요.
아이들 성장에 방해가 된다구...
산양유나 두유가 그 대안이라고 나왔더군요.4. 체리필터
'06.6.21 4:21 PM믿고싶지않네요..그럼 15개월 아기에게 생우유를 먹이면 안되는건가요?
5. 미미맘
'06.6.21 4:45 PM음.. 정신세계라고 하나.. 철학/명상/요가도 하고 그런 사람들이요.. 그쪽 파에서는 우유는 새끼소가 먹는 거지 사람의 아기가 먹는 거 아니라고 해요. 새끼쥐는 어미쥐의 젖을 먹고 지방함유량에 따라 며칠만에 급성장하고 뭐 이런식인데 한번 읽고 저도 우유 끊었거든요. 세가지 나쁜 하얀거라고 밀가루/우유/설탕 이란 글이 었는 데..
제 지인은 백인인데도 20년 넘게 더부룩한 느낌이 최근에 유제품 딱 끊었더니 정말 증상이 없어졌어요. 버터나 치즈/요구르트도 다 끊었답니다.
세계전쟁때 그나마 우유먹고 영양상태가 좋아졌다는 데 우유좋다는 사람들은 발끈하던데요.6. 아이스라떼
'06.6.21 6:05 PM소아과에서도 칼슘 말곤 건질거 없다고,
우유 안먹으면 멸치 먹이고 궂이 먹이려고 애쓰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안먹이고 저만 마셔요...7. 정미정
'06.6.21 7:01 PM그런 면에서 100% 면으로 만들어진 옷도 안좋다는데요,
세상 모든 농약의 80%가 목화 재배 할때 쓰인다는데요...
먹일것도, 입힐것도 다 없어지는 거아닌가요?
에구~8. remy
'06.6.21 8:03 PMㅋㅋㅋㅋㅋ
일단 공기가 오염되면 지구상에서 재배되는 모든 음식물은 먹어선 안되는 것들이예요.
땅이 아무리 유기농이라도 빗속에 포함된 중금속등이 땅에 스며들어 그대로 식물에 흡수되는데,
그 식물을 먹는 사람이나 소나 돼지나... 뭣인들 몸에 해롭지 않은게 있을까요...
소젖이 나쁘면,,, 사람의 젖은 안나쁜줄 아시나요..???
사람이 먹어대는 수십가지 성분들은 소들이 먹는 것보다 종류도 많고, 위험물질도 더 많아요..
항생제도 더 많은 것이고, 중금속도 더 많을 것이고, 화학물질도 같으면 같았지 소보다 덜하진 않을텐죠.
그것들이 고스란히 몸안에 축적되었다가 모유에 함유되어 아기들에게 수유될텐데..
그 유해성에 대해선 왜 아무 걱정 안하시는지.........9. 바랑
'06.6.21 10:15 PM소가 먹는 사료에 너무나 많은 항생제와 성장호르몬제가 포함되어 있어서 더 문제가 되는 거랍니다. 당연히 사람에게도 나쁜 물건들이 축적이 되겠지만, 항생제와 성장호르몬제가 마구 범벅이된 걸 주식으로 먹어대는 건 아니니까요.... 암튼 그래서 저는 아기 우유 되도록 안먹이고, 가끔 산양유만 조금씩 먹입니다.
류사랑님 말대로 산골에서 철저한 유기농으로 살아가야 해결될 문제지만....도시에서 아기 키우면서 조금이라도 피해가려고 애쓰고 있답니다.
암튼 어떻게 하는가는 다 본인 선택의 문제인거지요.10. woogi
'06.6.22 10:01 AM빨랑 젖끊고 우유를 먹이려했다가, 혹만붙인셈이네요..
정말 아기들 먹일게 점점 더 없어지는거 같아요..11. 부산아지매
'06.6.22 2:38 PM몇년 전 sbs에서 신정특집으로 '잘먹고 잘 사는법'을 방영했을 때 우유의 폐해에 대해 나왔었죠.
그후 책으로 나온 걸 읽어 봤는데 우유 많이 먹는 지역 사람들이 오히려 골다공증 환자가 더 많다느니...
그래서 아이들에게 한 때 안먹이기도 했는데, 남자아이는 우유를 너무 좋아해서 너무 힘드네요.
에고.... 뭘 먹이죠?12. 클라우디아
'06.6.22 5:04 PM솔직히 5살 아이가 18개월 젖병떼고 부터 우유를 안먹어서 걱정이였거든요. 그래도 우유가 안좋다는 말을 멀리서 들어서 그나마 위안이였는데 지금도 굳이 권하지 않아야 겠네요. 지금도 하루에 50cc나 먹을까 말까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