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건 강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정보와 질문의 장

허리가 너무 아파요~~~

| 조회수 : 1,543 | 추천수 : 68
작성일 : 2008-07-07 14:59:24
병원이고 한의원이구 다닌지 한달이 넘었어요...
하루에 4000원씩이라서 보험두 청구 할수 없다네요...
처음에 정형외과 가서 물리치료 받았는데 엑스레이찍더니 이상은 없다구 하더라구요
그러면서 일주일 정도 치료를 받고 그래두 안낳으면 MRI를 찍어야 한다네요..(한두푼두 아니구...)
주위에서 한의원가면 한방에 낳는다구 하길래 함 가봤어요...
처음엔 괜찮아 지는거같더니만 갑자기 왼쪽허리가 아프다가 오른쪽으로 옮겨 갔어요..
한달째 낳지 않고 있어요..
선생님께 물어봤어요.. 도데체 어떻게 된거냐구.. 허리 근육에 염증이 생긴거라구 하더라구요
하루 이틀두 아니구.. 요즘은 침대에서 자지두 못해요.. 특히 침대가 라텍스라서 더더욱 그런거 같아요
좋은 방법없을까요???
허리가 아프니깐 아무것도 못하겠어요..
도와주세요~~~~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첨처럼
    '08.7.7 3:18 PM

    오늘 처음 가입하고 여기 저기 보던 중에 님 글을 보고 그냥 지나칠 수 없어 몇 자 적어봅니다. 저는 허리 디스크로 고생하다 수술 직전까지 갔다가 주사시술로 치료받고 지금은 괜찮아졌어요.우선은 원인을 정확하게 아는 게 가장 중요할 듯 싶구요. 대부분은 병원에서 무조건 -영리목적인지- 수술하라고 다그치는데 의료진도 수술파, 비수술파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현명하게 선택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경험자인 제 생각엔 시간과 고생을 줄이기 위해선 MRI 사진을 찍어 정확한 원인을 아는게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비용부담은 있지만 고생고생해서 결국 병 키우다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하면 오히려 지금 찍으시는게 나을 것 같구요. 그 다음은 치료에 대해 여러 방법을 고민하심이 맞을 듯.
    허리 아픈 건 본인 아니면 그 고통 아무도 모르지요. 부디 고생 마시고 빠른 시간내에 치료하시기 바래요. 어떤 분은 이 악물고 걷기만 열심히 해서 근력을 키워 고통을 없애는 분도 있긴 하더이다만, 결코 쉬운 방법은 아닙니다.

  • 2. docque
    '08.7.8 8:50 PM

    본인의 전반적인 건강상태(간대사기능)를 반드시 먼저 파악해 보세요.

    즉, 몸을 피곤하게 하거나
    장이 좋지않거나(폭식/과식)
    빈혈이있거나
    술담배/커피/밀가루음식/인스턴트음식를 즐기거나
    은동을 거의하지않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

    허리통증은
    드물게 신장기능의 문제이거나
    근골격계 염증입니다. ]

    근골격계 염증은
    주로 산화스트레스에 기인합니다.
    산화스트레스를 적절히 중화하지 못하면
    근육/인대/신경/연골/혈관등 우리몸 구석구석이
    공격을 받아서 약해집니다.

    이때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연골이 찢어지거나(관절염/디스크)
    인대가 늘어나거나
    근육에 염증이 생기거나 합니다.

    꼭무거운걸 들어서 허리를 다친다기 보다는
    울고싶은데 뺨때린 격으로
    산화스트레스로 피곤에 지쳐있는 허리에
    약간의 무리한 힌을 가하면
    염등/통증이 오고
    디스크(추간판)가 변형되기도 합니다.

    즉 건강할때는(해독이 잘될때)
    어지간한 힘을 가해도
    탄력이 좋아 잘 다치지 않습니다.

    #####

    그리고 산화스트레스를 직접 확인하는 팁하나

    본인의 손등을 자세히 보시면
    파란 혈관(정맥)이 보이실 겁니다.
    이부분이 산화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부풀어 오릅니다.

    손등에 부풀어 오른 혈관을 힘줄로
    오인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혈관입니다.

    그리고 손등에 살이 없어서
    부풀어 오르는것이 아니라
    산화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중화시키지 못해서
    혈관벽이 공격을 받고
    부풀어 오른 겁니다.
    힘들고 피곤할때
    더욱 많이 부풀어 오릅니다.

    #####

    본인의 손등을 확인해 보시고
    산화스트레스의 가능성이 있다면
    장상태를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충분히 섭취해도
    장이 좋지 않으면 소화흡수과정에서
    항산화물질들이 대부분 소실됩니다.


    #####

    원인을 알아야 제데로 된 치료법이 나올 수 있습니다.

    여기에 글(질문)을 올리시는 분들 대부분이
    전후좌우 설명 쏙빼고

    그냥 잇몸에 피가 난다....
    머리가 아프다 등등

    궁금한 부분만 질문을 올리시는데
    이렇게 질문을 하시면
    효과적인 소통이 잘 안됩니다.

    나이/성별은 기본이고
    그동안 의 병력과
    식습관/술담배/커피/과로의정도/규칙적운동여부
    그리고 가장 중요한 동반 증상(본인이 자각하는 다른 증상들/소화불량/두통/만성피로등등)까지

    가급적 자세히 올려 주셔야
    서로 효과적인 소통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될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저 웹검색으로 얻을 수있는 정보 이상을
    얻기가 힘듭니다.

    관리자님께 부탁드립니다.
    보다 효과적인 질의응답을 위해서
    제가 올린 내용을 검토해 보셨으면 합니다.

    지금 처럼 비효울적인 질문대답이 오고가면
    병원가서 진료받아 보라는 이야기만
    반복적으로 들을 수 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오시는 분들은
    다니는 병원에서 시원한 설명을 듣지 못해서
    혹은 병원에 갈 시간이 없어서
    질문을 올리시는 것인데
    효율적인 질의응답이 못되는것 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692 풍치라는데 7 램프 2008.07.07 1,525 27
2691 인질로 잡힌 여성 생리의 신비한 비밀.. 5 여울마루 2008.07.07 4,274 128
2690 여울마루님 봐주세요~^^ 1 엉망괭이 2008.07.07 2,228 34
2689 여러분도 얼굴이 화끈거리나요? 3 진도아줌마 2008.07.07 1,644 55
2688 유산후 얼마후부터 운동할수 있나요 1 리마 2008.07.07 1,570 54
2687 허리가 너무 아파요~~~ 2 달콤썩소 2008.07.07 1,543 68
2686 치과에 다녀왔는데요 5 cream 2008.07.07 1,654 68
2685 분당에 교정 잘하는치과찾아요 1 체리맘 2008.07.07 2,092 95
2684 오메가3 / 피시오일 추천해주세요~ 4 사랑애 2008.07.07 1,941 22
2683 한쪽 다리만 저리고 아파요 5 갠맘 2008.07.07 3,883 35
2682 중딩 아들 영양제? 2 연화 2008.07.06 1,415 15
2681 척추측만 5 끼꾸 2008.07.06 1,470 22
2680 볼 한쪽만 심하게 부었어요. 2 그게뭘까 2008.07.06 19,583 41
2679 오디와 복분자의 차이점 1 진향 2008.07.06 32,046 26
2678 추나나 카이로프래틱 해보신분 효과괜찮나여? 심각해여--; 도와주세요 3 미나미누렁이 2008.07.06 2,703 73
2677 손발이 너무 뜨거워요~ 2 뻐꾸기 2008.07.06 4,254 83
2676 국민약골 남편치료법 질문 5 라라 2008.07.05 1,686 34
2675 대전에서 지방간 잘 치료하는데 없나요? 우리님 2008.07.05 1,362 69
2674 108배로 만성 피로가 점점 좋아지고 있습니다 8 sinavro 2008.07.05 3,934 126
2673 비염이요... 2 티나터너 2008.07.04 1,250 33
2672 뼈가 가늘고 너무 마른 아들 어쩌면 좋을까요? 5 아기별 2008.07.04 1,907 19
2671 헬리코박터균이요,, 8 삼순이 2008.07.04 1,962 65
2670 혀가 써요.. 3 이사키 2008.07.04 5,749 96
2669 아이가 만성으로 배아프다고 자주 하는데... 4 둥이엄마 2008.07.04 2,055 39
2668 산부인과 검사할때?? 5 김정미 2008.07.04 1,540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