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맛있는 멸치국물맛 내기 [펌]

| 조회수 : 2,425 | 추천수 : 1
작성일 : 2004-10-04 14:34:42
▶ 맛있는 멸치국물맛 내기

맛있는 멸치국물을 만들려면 좋은멸치(=남해멸치)를 골라

특유의 비린내를 없앤뒤 맑고 시원하게 끓여야 합니다.

멸치를 살때는 표면이 은빛으로 광택이나고 끈적거리지 않는것(기름기적은것)으로 골라야 합니다

우선 멸치의 내장을 떼어낸뒤(쓴맛제거) 하룻밤정도 찬물에 담가 놓는다.

우러난 국물로 끓이면 기름기도 나오지않고 오래 끓이지 않아도 된답니다.

다시마와 홍새우 무우를 함께 넣으면 더욱 시원한 국물맛을 낼 수가 있답니다.

손질한 멸치를 기름기없이 달군 마른냄비에 살짝 볶아내거나 전자렌지에서

1분30초만 돌려도 멸치 특유의 비린내를 없앨 수가 있습니다.

하룻밤 우려낸 멸치국물 재료를 불에 올려 한소끔 끓어오르면 다시마는 건져내고 불을 약하게 해

뚜껑을 연채로 10분정도 더 끓인다. 다시마를 넣고 오래 끓이면 쓴맛이 우러나고 국물이 탁해질

염려가 있으므로 끓기 시작하면 건져낸다.

그래도 국물맛에 비린내가 나면 -> 쇠젓가락(스텐재질도 무방)을 불에 달궈서 멸치국물에 담그면

순간 칙! 소리가 나면 바로 꺼낸다. 비린맛은 사라지고 신기하게도 구수한 맛만 남는 답니다.

▶주의사항

1) 건멸치는 약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에는
    변질이 우려되므로 반드시 냉동 보관하십시오.

2) 멸치는 냉동 상태에서 출고 배송되기 때문에 배송중에 냉동이 풀려 약간의 습기와 비린내가
    날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기름기없이 달군냄비에 마를때까지 살짝 볶아 주시거나
    전자렌지에서 1분30초만 돌려주시면 비린내가 없어집니다.  

▶ 어획시기및 보관/유통기한

①초사리 : 07 ~ 08월 = 잔멸치 => 품질과 저장성 나쁨 => 영하20도 03개월보관

②오사리 : 09 ~ 10월 = 잔멸치 => 품질과 저장성 좋음 => 영하20도 12개월보관

③중사리 : 11 ~ 11월 = 중멸치 => 품질과 저장성 좋음 => 영하20도 12개월보관

④늦사리 : 12 ~ 01월 = 대멸치 => 품질과 저장성 좋음 => 영하20도 12개월보관

⑤늦사리 : 02 ~ 03월 = 대멸치 => 품질과 저장성 나쁨 => 영하20도 03개월보관

⑥금어기 : 04 ~ 06월
-----------------------------------------------------------------[펌출처 : 남해멸치 홈]

날씨가 쌀쌀해지니 키친토크에 국물요리가 많이 올라오네요.
저희집도 거의 멸치육수를 기본으로 하기땜에 요즘 좋은 멸치구입에 신경쓰고 있답니다.
사실 냉동고를 주문했거든요..^^
요번에 일년치 좋은 다시멸치사서 냉동고에 저장할려구요..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깜찌기 펭
    '04.10.4 4:25 PM

    친정아버지가 수협건어물쪽에 계셔서 들었는데, 남해멸치=좋은멸치는 아니래요.
    남해쪽 멸치잡이 어선들이 동해와서 조업 많이하는편이라네요.
    지나가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9996 냉동 게살 어디서 팔까요? 3 손맛짱 2004.10.04 2,700 2
9995 백일상 메뉴 좀 알려주세요 인주 2004.10.04 953 1
9994 통닭 양념 질문이에요. 싱싱 2004.10.04 636 31
9993 양송이스프 만들때 닭육수대신 대용가능한게 뭔가요? 2 행복맘 2004.10.04 1,777 15
9992 냉장고에서 일년 묵은 멸치 4 아이스라떼 2004.10.04 1,523 1
9991 레몬쥬스요~ 2 고미 2004.10.04 846 0
9990 홍삼복용방법 아시나요? 2 바나다 2004.10.04 2,493 9
9989 아주아주 매운 양념 어떻게 만들어요? 10 꼬마신부 2004.10.04 1,161 1
9988 생강차 어떻게 담는지 아시는분... 5 박은심 2004.10.04 1,101 0
9987 고추장 담그기 아시는 고수님!! 1 스페셜 2004.10.04 768 3
9986 닭조림에 대해.. juju386 2004.10.04 660 7
9985 꿀을 두고 먹는 게 유용한가요? 2 아이스라떼 2004.10.04 693 1
9984 혹시 부산사시는분...부산대앞 토스트 먹어보셨나요? 1개에 10.. 2 엄마곰 2004.10.04 1,141 2
9983 우황청심환 어떨 때 먹나요? 4 wwoollim 2004.10.04 1,685 1
9982 코스트코에서 산 클램차우더스프 끓이는 방법.. 3 alicia 2004.10.04 4,849 1
9981 꼬리 곰탕하는 방법이요? 1 진이 2004.10.04 1,017 1
9980 맛있는 멸치국물맛 내기 [펌] 1 나너하나 2004.10.04 2,425 1
9979 자취생, 주말에 갈비찜을 했어요 2 자두조아 2004.10.04 1,123 1
9978 밤 냉동시켜도 괜찮나요? 12 고미 2004.10.04 10,926 1
9977 대추차 맛있게 만드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4 joanne 2004.10.04 2,389 1
9976 미국 마켓에서 생선-도와 주세요. 2 ! 2004.10.04 979 56
9975 요구르트 케익 말이져... 넘맛있어여~ 4 유은지 2004.10.04 1,166 39
9974 채식부페... 4 비아 2004.10.04 843 1
9973 영양찰떡 6 아침든든 2004.10.04 2,004 0
9972 배숙 만드는 법좀 알려주세요 6 찐계란 2004.10.04 1,79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