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봄나물을 무쳐먹자 ->참고해 보십시오

| 조회수 : 2,169 | 추천수 : 2
작성일 : 2006-03-18 12:46:00
봄나물]
                                                                      

양념과 나물‘맛있는 궁합’


꽃샘추위가 아직 남았지만, 봄나물은 벌써 시장을 점령했다.
특유의 쌉쌀한 맛과 싱그러운 향기는 겨우내 움츠렸던 몸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그러나 요리에 자신없는 주부에게 봄나물은 그저 초고추장 맛으로 먹는 풀일 뿐.
요리전문가 최현정씨의 도움말로 봄나물 양념 비법을 알아봤다.

◆ 돌나물, 씀바귀, 달래는 초고추장



새콤달콤한 초고추장은 돌나물·돌미나리·달래 등을 날로 버무릴 때,
냉이·씀바귀·원추리·두릅 등을 데쳐서 무칠 때 좋다.

맛있는 초고추장은 ‘고추장2:설탕1:식초1’ 비율이 적당하고,
식초 대신 레몬즙을 넣으면 기분 좋은 신맛과 상큼한 향을 즐길 수 있다.

사이다를 넣으면 톡 쏘는 맛이 난다.
매실청을 넣으면 풍미가 생기고 단맛이 강하므로 설탕 양을 절반으로 줄인다.

봄나물을 초고추장에 버무릴 때는
오징어, 소라, 굴, 새우 등 해산물이나 냉장고에 있는 오이, 당근, 풋고추, 양파 등
자투리 야채를 더해도 맛있다.


◆ 봄동, 머위는 된장으로

주로 데친 봄나물을 무칠 때 사용하는데 특히 향이 강하지 않은 봄동과 잘 어울린다.
머위, 냉이, 원추리 무침 등에도 된장을 사용한다.

들기름보다는 참기름이 된장양념과 더 잘 어울리며 으깬 두부를 넣으면 단백질도 보충되고 고소해진다.

맛있는 된장 양념장을 만들려면
데친 나물 200g을 기준으로
된장 1큰술, 참기름 1/2큰술, 다진 파·마늘·깨소금 1작은술씩, 소금 약간을 잘 섞는다.

된장으로만 간을 맞추면 텁텁해지므로 된장을 분량대로 넣고 모자란 간은 소금으로 한다.
무침 요리를 할 때 된장 양념장은
묵은 집된장보다는 시판 된장이 더 산뜻한 맛을 내기도 한다.



▲ 달래· 냉이·봄동· 두릅· 씀바귀…. 이름만 들어도 향긋한 봄나물이 지금 제철이다.
나른함을 떨치고 입맛을 돋우는 봄나물에도 잘 어울리는 양념이 따로 있다.

◆ 유채, 취나물은 참기름 양념장에

보통 참기름과 간장, 혹은 참기름과 소금·파·마늘의 조합으로 무친다.

향이 강한 취나물이나 냉이에 넣어도 나물 자체의 향을 잘 살려준다.
향이 약한 유채 등은 맛을 돋우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참기름에는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아 봄나물에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해주고,
뻣뻣한 나물을 부드럽게 만든다.


◆ 원추리는 들기름 양념장


‘들기름과 간장’, ‘들기름과 소금·파·마늘’은 향이 강해
봄나물의 향을 살리지 못하므로 향이 없거나 약한 보리순, 유채, 원추리가 잘 어울린다.

두릅이나 쑥, 취나물, 냉이처럼
향이 강한 봄나물이나 취나물처럼 향을 살려야 하는 경우에는 들기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들기름은 일반적으로 봄나물보다는 묵은 나물에 더 자주 이용한다.
참기름이나 들기름으로 나물을 무칠 때에는 소금으로만 간을 하는 것보다는
국간장과 약간의 소금을 넣고 간을 맞춰야 감칠맛을 살릴 수 있다.

◆ 건강까지 무쳐먹자 '나물파워'

참취 식욕을 돋게 하며 작은 잎은 나물로 먹기에 적당하다.
손바닥 크기 정도의 취나물은 억세기 때문에 데쳐서 쌈으로 먹는다.
혈액순환 촉진, 소염 작용에 도움.

달래 달래가 들어가면 다른 양념은 생략해도 된다.
비타민C와 칼슘이 풍부해 빈혈과 동맥경화에 좋다.
한방에서는 불면증, 장염, 위염에 효과.


봄동 잎이 크지 않고 속이 노란색을 띠는 것이 고소하며 달짝지근하다.
겉절이를 할 때에는 소금에 절이지 않고 버무려야 더 맛있다.

냉이 채소 중 단백질 함유량이 가장 높으며 콜린 성분은 간장활동을 촉진한다.
단, 몸이 찬 사람은 주의.
쑥 치네올 성분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므로 감기와 생리불순, 냉증에 좋다.
두릅 단백질,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고소한 맛이 있어 양념을 많이 하지 않고 전을 부치는 등 재료 자체의 맛을 살려 조리한다.
원추리 나물 중 유일하게 단맛이 나며 몸에 활력을 준다.
별다른 향기는 없지만,
씹을수록 달콤하고 맛있으며 어느 양념이나 잘 어울려 다양하게 이용된다.


◆ 요리조리 무쳐먹자 ‘나물쿠킹’

씹는 맛과 향이 뛰어난 봄나물은 다양한 요리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장떡·해물전 취나물에 고추장과 밀가루를 넣어 장떡을 만들거나,
달래를 송송 썰어 조갯살이나 새우살과 섞어 달걀옷을 입혀 전을 부쳐도 맛있다.

달걀말이·달걀찜 달래나 원추리, 미나리, 냉이 등을 송송 썰어서 함께 넣으면
색다른 풍미를 즐길 수 있다.

낙지볶음·오징어볶음 냉이, 두릅 등을 함께 넣고 볶으면 씹는 맛과 향이 더욱 살아난다.
콩나물밥·굴밥 양념간장을 곁들일 때 달래를 넣으면 한결 산뜻하다.


글=이덕진 여성조선 기자 dukjinyi@chosun.com
도움말=당유위·이솝한의원 원장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4192 식구들 그냥 밥한끼 먹으려는데요.. 4 짜짜러브 2006.03.20 1,326 3
    24191 과일샐러드와 생신상에 올릴 전 추천부탁드립니다 아기푸베 2006.03.20 2,163 2
    24190 모둠콩(얼룩콩.강낭콩등)을 구입하고 싶은데..어디서 살수 있을까.. 2 복딩서연 2006.03.20 1,782 4
    24189 무나 호박등 야채 말리는 시기가 따로 있나요? 2 주니와니 2006.03.19 2,673 3
    24188 청국장가루 만드는법? 3 봉지엄마 2006.03.19 5,939 26
    24187 고구마냄비 2 김진희 2006.03.19 1,731 24
    24186 치즈스틱 어찌하오리까? 2 마루 2006.03.19 1,722 1
    24185 호떡반죽? 3 박길남 2006.03.19 1,638 7
    24184 맛난부침개 전수해주세요~~ 9 안졸리나 2006.03.19 2,317 3
    24183 미역국 할건데 소고기가 질겨요. 급해요 7 승연맘 2006.03.19 8,031 0
    24182 꽈배기 과자 만드는 방법 갈켜주세요.. 최문기 2006.03.19 2,512 20
    24181 새우젓은 어떻게?(요리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ㅎㅎ) 5 미카 2006.03.19 1,504 1
    24180 서울에 수입품 양념을 제일 많이파는곳 4 변선희 2006.03.19 1,358 1
    24179 또띠야 어떻게 먹어요? 2 안잘레나 2006.03.19 1,288 0
    24178 얼어버린밤 4 히야신스 2006.03.19 1,218 23
    24177 캘리포니아롤 만드는법좀 알려주세요.... 3 주니와니 2006.03.19 2,146 2
    24176 날콩가루 어떻게 먹어요? 4 몬스터 2006.03.18 2,315 1
    24175 주먹밥 안에 넣는 멸치볶음 어떻게 만들면 될까요? 2 냥냥 2006.03.18 1,180 0
    24174 코스트코 양평점에요 베이컨파나요? 5 맘이아름다운여인 2006.03.18 901 0
    24173 소이러브로 두부 만들기 조언부탁드려요. 3 최문기 2006.03.18 1,120 23
    24172 유기농쵸코렛 무지 쓴 쵸코렛이 있는데요... 4 GreenTea 2006.03.18 851 5
    24171 초밥용 유부 얼려도 될까요? 2 cure 2006.03.18 1,089 3
    24170 슬로우쿠커 이용방법... 10 라벤더 2006.03.18 3,659 35
    24169 외국손님 상차림 어찌하면 좋을지.. 7 유정화 2006.03.18 3,155 3
    24168 봄나물을 무쳐먹자 ->참고해 보십시오 다래 2006.03.18 2,16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