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발효빵 80프로 성공후기

| 조회수 : 4,671 | 추천수 : 1
작성일 : 2020-05-10 21:18:35
여러고수님들의 조언과 성원에 힘입어
오늘 발효빵에 재도전햇어요
쿠@에 이스트주문해논거 못기다리고
오늘 둘마트가서 수니모님이 추천해주신
발효가 잘되는 이스트 사와서 해봣는데
결과 대만족이이엇어요
어느분이 댓글로 알려주신대로 미지근한 물에
이스트랑 꿀도타고
렌지에 물한컵 5분돌리고
거기에 반죽넣어서 30분발효
꺼내서 실온발효 한시간하고
사등분해서 190도에 25분 구웟어요
처믐 처참하게 실패햇던 결과물에 비해선
비주얼 부터가 월등하게
나 발효빵 이야..,라고
자태를 뽐내는 빵을 보며
딸아이랑 환호성을 질럿어요 ㅋㅋ
제가 모양을 치이바타 모양으로 성형해서 구웟는데
구워나온 모습이 얼추 치아바타 같앗어요 ㅋ
그리고나서는 시식타임
근데 겉은 바싹한데
속이 약간 떡같은 질감이 잇더라구요
제가 80프로 성공이라 한게 이거에요 ㅋ
이건 머가 잘못된 건지 ㅜㅡ
과발효 된걸까요ㅜㅡ
아님 반죽이 부풀어 올랏은때
제가뒤적거리니 반죽이 꺼진던데
부풀엇을때 건드려 그런건지 ㅜㅡ
고수님들 좀 알려주세요 ㅎㅎ
어쨌든 맛이 없진 않아서
그냥먹ㅈ고 잼발라 먹고
햇어요
하나 남겨서 냉동해놧는데 낼 샌드위치 해먹으려구요 ㅋㅋ
사진도 찍어둿는데 핸폰이랑 사진이 안올라가서 아쉽네요 ㅜㅜ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빈틈씨
    '20.5.10 10:25 PM

    더 전문가들이 계시겠으나 아는대로 말씀드리면 손으로 조물조물 반죽을 하거나 반죽기 같은 기계로 돌려 글루텐을 활성화시켜 밀가루 안 그물조직을 키워 만드는 방법이 아니라
    가만히 놔둬서 저절로 기포가 커지게 만드는 간단한 발효빵 그러니까 전문용어로는 오토리즈 방법은 기포를 건드리면 퐁 하고 터진 후 다시 부풀어오르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최대한 아주 예민한 아기 다루듯이 살살
    반죽을 접을 때도 살살
    최대한 가스가 안빠지게 모양 잡는 게 중요해서
    제과상에서 판매하는 500원짜리 스크래퍼로
    반죽을 슬리퍼 모양으로 끊어 잡으면 만드셨다는
    치아바타도 되고 굴려서 만들면 바게트도 되고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재료를 더 넣고 만드는 빵 보다는
    바게트 치아바타 등 밀가루 외에 다른 건 안넣고 만드는
    빵 종류를 오토리즈법으로 만들어요.

    시간이 오래 걸려서 그렇지 결과는 훌륭하죠.
    유투브에 오토리즈 혹은 무반죽발효빵 으로 치면
    아마 몇 백개는 나올테니 충분히 익히고 만들면
    떡 같이 되는 부분 없이 완벽한 빵이 나올꺼에요.

    참고로 치아바타나 바게트 같은 빵은
    잘랐을 때 기공이 클 수록 잘 만들었다고 칭찬받는 텍스처입니당^^ 그래도 처음 만들었는데 이 정도면 대단히 잘하신 거에요^^

  • 이베트
    '20.5.10 11:52 PM

    와~~프로의스멜이 마구느껴지시는 댓글 감사합니다 ~^^
    근데 슬리퍼모양으로 끊어잡으며 만든다...이건 읽어도 이해가 안가서 유투브 찾아봐아겟어요 ㅋ
    역시나 내공이 아직은 마니부족하네요

  • 2. Harmony
    '20.5.11 2:49 AM

    이런 성공후기, 베이킹에 도전하는 사람들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위의 전문가이신 빈틈씨님의 댓글도 좋고요.
    다음엔 이베트님의 성공 후기가 올라오겠네요.
    기다릴게요.^^

  • 3. 테디베어
    '20.5.11 9:34 AM

    저희부부도 요즘 빵만드는 유튜브 보고 있습니다.... 신간이 오래 걸리는 빵도 있고 대리만족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베트님도 담 번엔 꼭 성공 하실겁니다.
    화이팅!!! 하십시요^^

  • 4. 초록
    '20.5.11 9:42 AM

    맞아요
    다 성공하는거 같지만 이런글덕에 어머 나랑 같은분이??? 막 이런 동지감도 생기고
    저도 댓글들보고 지식을 얻어가네요

    다음에 성공하면 또 알려주세요^^

  • 5. 페이지 터너
    '20.5.11 2:11 PM - 삭제된댓글

    저의 경우에는 강력분200g, 소금2.5ml,이스트5ml,물150g으로 계량했습니다.
    베이킹용 전자저울이 없어서 소금과 이스트 계량을 이렇게 했습니다.
    우선 볼에 소금2.5ml넣고 강력분200g, 이스트5ml,물150g 붓고 실리콘 스파츌러로 잘 섞습니다.
    볼에 랩 씌우고 무릎담요 덮어서 2시간 발효 후 예열한 광파오븐에 190도 25분 굽습니다.
    집에 미니 파운드 틀이 있어서 4개로 나누어 굽습니다.손에 반죽 만지지 않고 틀에 실리콘 스파츌러로 덜어
    넣고 오븐에 넣어 익기를 기다립니다. 제 경우 겉은 노릇노릇 빵맛은 담백합니다.
    빵이 식으면 더 쫄깃한 식감을 맛 보게 되었어요.
    참고로 이스트는 효모99.5%로 적혀 있는 국산 제품입니다.
    처음 소금과 이스트를 동량으로 계량했더니 빵이 짜서 소금양을 반으로 줄였습니다.

  • 6. 초보주부땡구리
    '20.5.11 11:01 PM

    방금 만들었는데 사진 올리기를 못해서 아쉽네요..
    전 한살림 앉은뱅이 밀가루 써서 그런지... 실패후기 다 참고 했음에도...떡까진 아니지만 작은 구멍이 송송 떡질감도 부분 부분 있고요.. 그래도 갓한 빵이라서인지 아이는 잘 먹네요 ^^
    슬리퍼모양.. 저도 이 글 볼땐 이해 못했는데...
    반죽이 가로로 있으면 그걸 아디다스 삼선 슬리퍼 마냥 나눠 끊으란 뜻인거 같아요 ^^;

  • 7. 긍정의힘
    '20.5.14 2:57 AM

    아흐~ 요즘 키톡에 올라오는 발효빵 글을 읽으며 '인내'를 시험중입니다. 스멀스멀 올라오는 만들어보고 싶은 욕망. 내가 좋아하는 치아바타도 된다는데.. 아니지! 이거 성공했다가 계속 만들어 먹게 되면 내 배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40929 오랜만이네요~~ 6 김명진 2024.10.28 6,708 4
40928 혼저 합니다~ 17 필로소피아 2024.10.26 6,855 4
40927 이탈리아 여행에서 먹은 것들(와이너리와 식자재) 24 방구석요정 2024.10.26 6,587 3
40926 오늘은 친정엄마, 그리고 장기요양제도 18 꽃게 2024.10.22 11,435 4
40925 무장비 베이킹…소프트 바게트 구워봤어요 14 은초롱 2024.10.22 6,385 2
40924 만들어 맛있었던 음식들 40 ··· 2024.10.22 10,297 5
40923 캠핑 독립 +브라질 치즈빵 40 Alison 2024.10.21 7,177 7
40922 호박파이랑 사과파이중에 저는 사과파이요 11 602호 2024.10.20 4,072 2
40921 어머니 점심, 그리고 요양원 이야기 34 꽃게 2024.10.20 7,400 6
40920 고기 가득 만두 (테니스 이야기도...) 17 항상감사 2024.10.20 4,950 4
40919 오늘 아침 미니 오븐에 구운 빵 14 은초롱 2024.10.16 8,900 2
40918 여전한 백수 26 고고 2024.10.15 8,738 5
40917 과일에 진심인 사람의 과일밥상 24 18층여자 2024.10.15 9,875 3
40916 요리조아 18 영도댁 2024.10.15 5,875 3
40915 딸들에게온 가을소식(명절 과 생일을 지내는 유학생아이들) 12 andyqueen 2024.10.14 7,624 2
40914 조기교육 받은 결과-효과 증명 35 차이윈 2024.10.12 8,762 5
40913 10월 15 juju 2024.10.12 4,385 3
40912 10월 제주 휴가와 이것저것 외식 13 방구석요정 2024.10.12 5,662 3
40911 176차 봉사후기 및 공지) 2024년 9월 새우랑 김치찌개 8 행복나눔미소 2024.10.12 2,507 5
40910 흑백요리사? 나는 집밥요리사 23 뽀롱이 2024.10.11 7,276 2
40909 뉴욕에서 먹은 것들 26 hoshidsh 2024.10.10 5,886 2
40908 지난 여름에 먹은 것들2 - 파인 다이닝? vs 급식? 23 고독은 나의 힘 2024.10.10 5,073 3
40907 제목을 뭘로 할까요? 혼밥만 하는 이야기..? 30 고독한매식가 2024.10.08 6,023 2
40906 마음가는대로 살고있어요 28 챌시 2024.10.06 8,838 3
40905 프랑스유학생의 흑백요리사 10 andyqueen 2024.10.04 8,840 3
40904 쓸데없이 길어질 것 같은 지리와 영어 정보 입니다 :-) 30 소년공원 2024.10.04 7,333 6
40903 다이어트할 때 여행 가시면 망합니다(feat.통영거제여행) 8 솔이엄마 2024.10.03 5,569 6
40902 밤바람이 좋은 지금 22 메이그린 2024.09.29 10,155 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