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들이 물리학과 고집한다던 엄마예요.
저번에 원서 쓸 때 82님들 덕분에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근데 저희 집은 아직도 이 문제가 끝이 나지 않았네요.
아들 본인이 원해서 이곳 지방국립대 물리학과와 아이 아빠의 고집으로 인서울 ㄱㅇ대 공대 전자융합학과에 원서 넣었구요. 아이와 아빠가 싸우다 타협해서 아무 데나 되면 두말없이 간다는 조건으로 넣었는데 둘 다 되었어요.
저는 82님들 댓글 읽고 아이가 원하는 물리학과쪽으로 맘이 많이 기울었는데
아이 아빠를 포함한 주변에서는 그래도 인서울 전자융합학과가 낫다 이러고..
그렇다고 아이가 아주 뛰어난 아이도 아니고 고만고만한데 지방대 물리학과 나와서 비젼이 있을까 싶기도 하고...
이렇게 되니 에구 저도 잘 모르겠네요.
지금 아이는 처음보다는 생각이 많이 껶여서
여전히 물리학과 가고 싶지만 서울에도 한 번 가볼까 하고 있긴 있어요.
여러분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시겠는지요?
너무 고민이 되어서 또 여기에 여쭙게 되네요.
1. ..
'11.1.29 11:26 AM (112.185.xxx.182)과를 떠나서 이런건 한번 감안해 보셔야할 것 같아요.
지방국립대의 경우는 집에서 통학이 가능한 것이고 인서울은 서울로 아이를 보내야 하는 상황이죠.
어느쪽이 케어가 더 쉽고 어느쪽이 아이가 학업에 더 집중할 수 있을까요?
아무리 전공이 좋고 학교가 좋아도 아이가 학업에 집중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경제적인 부분은 말할 것도 없겠지요?
아이의 성향은 부모님께서 잘 아시니까 그걸 고려해 보시구요.
제가 조카들을 지켜본 결과 아무리 성실한 아이라도 부모의 케어밖에서 생활하게 되면 좀 나태해집니다. 아무래도 공부에 소홀해지더군요.2. 아빠말
'11.1.29 11:26 AM (180.68.xxx.190)듣는게 낫지 않을까요? 그런데 전자융합학과는 뭔가요? 전자공학과랑 진로가 비슷한 건가요? 그런다면 전자융합학과
3. .
'11.1.29 11:26 AM (116.37.xxx.204)당연 광운대겠지요.
물론 공대나와서도, 사대 나와서도 은행도 취직하는데 뭔 상관이냐 할 지 몰라도
졸업하면 취업문제가 크잖아요. 전자융합학과는 몰라도 어쨌던 공대가 살기 힘들어도 취업 쉽지 않을까요?4. ..
'11.1.29 11:27 AM (220.87.xxx.206)아무래도 인서울쪽으로 하시는게 낫지않을까요
5. 저라도
'11.1.29 11:30 AM (125.184.xxx.135)인서울이요^^
집에서 인서울로 보낼 경제적 여력만 된다면
무조건 인서울입니다6. 물리학과 출신
'11.1.29 11:44 AM (218.209.xxx.164)물리학과 졸업생입니다. 고등학교때 내가 알던 물리랑 대학가서 배우는 물리는 큰 차이가 있어요. 공대에서도 물리를 배우기는 하는데 또 물리학과에서 배우는 물리와는 상당히 다르죠. 공대에서는 거의 암기과목 수준이에요. 아드님이 집념이 있고 성실하다면 물리학과도 괜찮아요. 학부도 성적 괜찮으면 취업 괜찮고 석사 정도까지 하면 삼성 정도는 다들 갑니다. 정말 운이 좋아서 교수님 잘 만나고 연구주제 잘 잡으면 학위 과정 중에 교환 학생 비슷하게 가서 연구도 몇 개월 하고, 포닥 외국 가서 열심히 하면 30대 초반에 국내대학교 교수도 가능합니다. 대신 집안이 좀 살만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아드님도 돈 걱정 크게 안하고 연구에 매진할 수 있으니까요. 물론 연구비나 장학금 받으면 등록금이랑 자잘한 용돈 정도까지는 케어됩니다만..빨리 된다 해도 남자들은 군문제가 있어서 35 살 정도까지는 공부에 매진해야 할 거에요. (이건 전공 살리는 경우이고, 전공 관계없는 일 할 수도 있어요. 전혀 상관없는 금융계쪽으로도 나가는 경우가 꽤 되니까요.)
7. 경제적 여유
'11.1.29 11:45 AM (211.107.xxx.128)경제역 여유가 되시면 인서운 관* 대 넣으세요. 물리학과 복수전공하면 되지요.
8. 복숭아 너무 좋아
'11.1.29 11:46 AM (125.182.xxx.109)무조건 아이말 들어줘야지요.. 아이 아빠가 아이인생 살아줄것도 아니고,
앞으로 취직이나 이런거 안되면 평생을 아빠 엄마 원망들으면서 살게 될거에요..
저희 신랑이 그래요.. 아빠 뜻대로 학업 진로 바꿧다가 인생에 잇어 안풀리면 다 아버지 탓이라고 분노해요..자기가 가고싶은 공대 못들어가게 했다고 원망이 얼마나 심한데요.
무조건 아이 뜻을 따라주세요..자기인생 잘되든 못되든 원망 들을짓은 하지마세요..
공부도 자기가 하고싶은 공부를 해야 성과가 나지요..
그리고 그나이면 자기 하고싶은것 이미 결정난 상황이니,, 아빠말 듣는게 우선은 아니지 싶네요.9. (이어)
'11.1.29 11:58 AM (218.209.xxx.164)제가 아는 모교 및 타 대학 교수님들은 본가가 잘 사시는 경우가 많았어요. 제 후배나 선배들 중 교수가 된 사람들도 그냥 본가가 여유로우신 분들이 많아요. 학위 따고 연구하려면 학교에서 거의 살다시피 하거든요. 본인 생활비나 부모님 생활비, 돈 걱정 안하고 연구에 매진할 수 있으면 가장 좋습니다.
10. 요건또
'11.1.29 12:03 PM (182.211.xxx.203)이론 물리는 원래 아이슈타인과 같은 소수 천재들의 게임이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돈 지원해주는 펀드가 없어서 국내에서 이론물리를 한다는건 어차피 거의 불가능하고, 결국은 실험물리쪽을 할텐데요.. 그렇게 되면, 사실 물리학과를 가나 전자융합쪽을 가나, 우리 나라에서는 거의 반도체쪽으로 갈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그 쪽만 키우고 있는 실정이니까요.
뭐 융합의 시대니 뭐니 해서 과 이름도 그렇게 된 모양인데, 저라면 인서울 전자융합과를 권하고 싶습니다만, 공대쪽 공부가 안 맞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니 그게 대학생활을 힘들게 할 수도 있어서 염려됩니다. 자연과학도쪽과 공대 엔지니어링쪽은 문제 접근 방식이나 의문 제기 방식도 달라서 그렇죠.
하지만, 전공만 놓고본다면, 물리학과를 권할 연구원이 몇 명이나 될까요? 유학 가서도 박사과정을 공대쪽 펀드 받고 하는 사람들이 다수인게 현실인데 말입니다.
http://scieng.net/v2/index.php
이 사이트에 정부 출연 연구소 연구원들과 소장 대학 교수들이 다수 있습니다. 거기 진학 게시판에 상담글 올리거나 물리학과로 검색해서 진로를 한 번 보십시오.11. 얼핏
'11.1.29 12:07 PM (115.136.xxx.68)생각하면 당연히 인서울 공대일텐데요.
사실 공대나와서 전공살려서 취업하면 직장 서울에서 다니기 의외로 힘들어요. 저는 인서울 물리학과, 남편은 인서울 공대 나왔는데 지금 지방에서 대기업 다니고 있네요. 처음부터 지방에서 다닌건 아니고 대기업쪽이 워낙 로테이션이 있어서 서울-수원-구미 이렇게 살고 있어요. 2년 후쯤엔 또 서울 올라갈거 같구요.
꼭 서울에서 직장다니실거 아니면 지방국립대 물리학과도 괜찮을 거 같아요. 전공제한할때 공대, 물리학과 이렇게 제한하는 경우도 꽤 있던데요. 물리학과가 생각보다 갈 때가 많아요.12. 무조건
'11.1.29 12:16 PM (14.52.xxx.19)아이 말만 듣지 마세요,아이가 이제 18.19살인데 잘 모릅니다,
저희 부모님은 두분 다 교수였는데 무조건 자식들 말 들어주셨거든요,
지금 저희 형제들이 조금씩 아쉬워하는 부분이 있어요,
부모님이 그바닥 저렇게 잘 아는데 왜 스무살도 안된 애들 고집을 다 들어줬냐구요,
지나고보니 문과는 전공 별 상관없구요,,,지방대보다는 인서울이 백배 낫습니다,
저희는 형제들이 문과에서도 전공 두번씩 바꿔서 입학하고,,지방의대도 안가고 막 그랬거든요,,,
부모가 자식 길을 잡아주는것도 부모의 역할입니다,
아이가 땡고집 피우는거 아니면 진지하게 검토하세요13. ..
'11.1.29 1:16 PM (180.70.xxx.225)물리학과 나와서 뭐 하고 싶데요?
저라면 인서울 강하게 밀어부치겠네요..14. 예체능
'11.1.29 1:29 PM (121.190.xxx.7)청소년기 내내 피터지게 준비해서 대학 갔는데도
생각했던거랑 영 달라서 방황했었네요.
물리학이 뭔지 정말 알고 그럴까요?
예전엔 지방 국립대 실력도 좋고 취업도 잘됬지만
지금은 인서울 하는게 좋을꺼 같은데요.15. 저라면
'11.1.29 5:14 PM (113.10.xxx.175)ㄱㅇ대 공대요.
물리학과 정말 공부하기 어렵고 성공하기도 어려운 분야이구, 유학가도 어려운 분얍니다.16. 물리학
'11.1.30 8:34 AM (116.37.xxx.138)하지 말라고 하세요.. 서울대 물리학과와 경희대 한의대 붙은아이 고민할때 모두 경희 한의대 가라고했어요. 둘다 비전은 없는대학이지만 물리는 정말 할것 없다고요. 물리학과출신학원강사들조차 너 내조교하고 싶냐? 할정도로요.. 서울대 물리학과는 작년 올 모두 폭발이지만 정말 비전 없어요. 미국조차도 물리학은 하지말라고할정도이니까요.. 집에 돈이 있으셔서 아이 뒷바라지 충분히 해주실 요량이라면 물리학 가지만 그렇지 않고 취업시킬 요량이시라면 광운공대 가야할것 같네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616465 | 공인중개사 독학... 6 | 맘은 젊다... | 2011/01/29 | 1,048 |
616464 | CGV 장애인석 예매 해도 되는건가요? 3 | . | 2011/01/29 | 3,533 |
616463 | 전세계약요..날짜를 전세입자와 상의하라는데 1 | 답글기달려요.. | 2011/01/29 | 324 |
616462 | 요즘 초등학생들(저학년) 닌텐도 주면 9 | 요즘 | 2011/01/29 | 731 |
616461 | 아들이 물리학과 고집한다던 엄마예요. 16 | ~~엄마 | 2011/01/29 | 2,511 |
616460 | 이 건망증을 어찌해야 할까요? 2 | 타이머 | 2011/01/29 | 391 |
616459 | 키크는 중인 자녀 두신 분 들께 물어요.. 5 | 한창 | 2011/01/29 | 1,394 |
616458 | 가리비 빨간내장(?)도 먹는건가요? 5 | 고민고민 | 2011/01/29 | 1,656 |
616457 | 종합병원 원무과 근무 17년차 주임이면 연봉이 어느정도 되나요? 9 | 종합병원급여.. | 2011/01/29 | 6,204 |
616456 | 반품사유에 대한 타당한 이유 7 | 유나맘 | 2011/01/29 | 1,273 |
616455 | 부인과 검사 1 | 산부인과 | 2011/01/29 | 344 |
616454 | 양재동 화훼단지 3 | 사고파 | 2011/01/29 | 435 |
616453 | 이 사진은 왠지 짠하네요.. 2 | 축구팬은 아.. | 2011/01/29 | 1,013 |
616452 | “북한의 디도스 공격”…알고보니 19세 무직자 1인극 1 | 참맛 | 2011/01/29 | 432 |
616451 | 남편바람때문에 힘든 동생을 어떻게 도와줘야할까요(댓글좀주세요) 14 | 마음아픈언니.. | 2011/01/29 | 2,217 |
616450 | 착즙기중에 젤로 좋은건 어떤건가요? 5 | 휴~~룸 | 2011/01/29 | 743 |
616449 | 돼지갈비찜에 떡볶이 떡 넣어도 되나요? 5 | 초보 | 2011/01/29 | 535 |
616448 | 아들핸드폰로밍... 6 | 로밍서비스 | 2011/01/29 | 505 |
616447 | 싸고 좋은 먹거리... 3 | 이마트 | 2011/01/29 | 689 |
616446 | 스마트폰 하려는데 용산가면 더 좋은가요? 3 | 스마트폰 할.. | 2011/01/29 | 837 |
616445 | 사각턱보톡스 한번만 맞아도 보톡스효과를 볼까요? 5 | 사각턱녀 | 2011/01/29 | 1,178 |
616444 | 40대초반인데요 기초화장품 추천해주세요 1 | 40대초 | 2011/01/29 | 750 |
616443 | 광주광역시 눈 엄청 옵니다. 3 | 현재 | 2011/01/29 | 701 |
616442 | 예비중1)배치고사^^ 6 | 새야 새야 .. | 2011/01/29 | 715 |
616441 | 구정을 맞이하여 1 | 제시카 | 2011/01/29 | 223 |
616440 | 대학 합격했는데 아이는 재수하고 싶어해요~~(조언 절실) 18 | 고3 엄마 | 2011/01/29 | 4,198 |
616439 | '스폰서 파문' 한승철 전 검사장 등 무죄 6 | 세우실 | 2011/01/29 | 296 |
616438 | 현빈 Taxi보았는데요.. 24 | 글쎄요 | 2011/01/29 | 5,758 |
616437 | 전세 들어가는데 복비 어느 정도 주는 게 맞나요.? 7 | 4.3억 | 2011/01/29 | 686 |
616436 | 오늘의 추천곡입니다. 2 | 미몽 | 2011/01/29 | 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