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국민 81%, 복지 위해 '부유세' 도입 찬성

여론조사 조회수 : 578
작성일 : 2011-01-26 18:29:34
국민 81%, 복지 위해 '부유세' 도입 찬성

'복지 증세론' 지지 53.1%‥차기 대선 주요 이슈 급부상

- 세금폭탄? 국민은 비웃는다

한나라당은 물론 야당인 민주당 주류마저 세금 폭탄론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두려워해 부유세 도입에 반대하는 것과 실제 민심은 정반대라는 게 확인된 것이다. 국민 대부분은 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돈을 많이 버는 사람에게 세금을 더 내도록 해서 재원을 마련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 고무된 정동영·조승수, "부자증세 없는 보편적 복지는 거짓"

ㅁ 해당기사 전문은 아래 주소 클릭!!
IP : 58.225.xxx.2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여론조사
    '11.1.26 6:29 PM (58.225.xxx.23)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2042§ion=sc1§ion2=

  • 2. ㅁㅁ
    '11.1.26 6:53 PM (59.86.xxx.226)

    세금내기 싫어서
    수익의 85%를 내야하기때문에 ㅋㅋㅋ

  • 3. ..
    '11.1.26 6:57 PM (121.168.xxx.108)

    부유세를 잘 부과할수 있을까요? 지금처럼 나이든 월급쟁이를 고소득자라고 세금 왕창때리는
    그런 세금은 아니길 바래요. 연봉1억짜리 월급쟁이도 한달 650만원 가져온다는데..세금은
    최고로 때리고 ..한달에 몇천씩 버는 의사들은..한달 연봉5천인 월급쟁이의 1/3의 국민연금과
    의료보험만 내고살더군요. 사업해서 외제차 몇대씩 굴리는 사람들도 친척이며 가족이며
    재산 다 분산해놓고 유치원지원금 받더라구요. 헐..
    가지고 있는 재산을 근거로 내는게 맞는걸텐데 있는사람들은 또 뒤로 다 분산해놓고
    또 유리지갑 월급쟁이들 주머니만 터는거 아닌가몰라요.

  • 4. 봄바리
    '11.1.26 10:27 PM (112.187.xxx.211)

    원글님 덕에 그런 여론조사 결과가 있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요.
    그런데 윗분은 사회복지세 or 부유세의 내용을 알고 계신지요?

    1) 부유세는 매년 1회,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에만 과세가 되어요.
    과거 민노당에서 주장했던 부유세안은 '순자산 10억원' 이상의 부유층에게 과세를 한다는 것이고
    이번에 정동영이 내놓은 부유세안은 '순자산' 30억원 이상, 법인은 순자산 1조원 이상에
    과세를 하겠다는 것입니다.
    순자산 30억원 이상은 사실상 상위 1% 이내의 집단입니다.
    ==>이것으로 약 10조원 정도의 재원이 늘어납니다.

    2) 진보신당에서 주장하는 사회복지세는
    (진보신당 대표 조승수가 이미 작년 3월에 '사회복지세법' 제정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임)
    400만원이 넘는 소득세를 납부하는 자와 상속증여세와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하는 자,
    5억원이 넘는 법인세를 납부하는 기업에 대해 15~30%를 추가 과세한다는 것입니다.

    소득세 400만원 이상을 납부하는 개인소득자의 경우 면세점(免稅點) 이하를 제외하면
    사실상 과세 대상자는 전체 소득자 중에서 상위 5%입니다.
    ==>이것으로 약 14조원 이상의 사회복지 재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3) 그렇기때문에 상위 5% 이내에 드는 사람이 아니면 사회복지세나 부유세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여기가 잘사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가...
    사회복지세나 부유세 얘기를 하면 조세저항을 언급하는데,
    상위 5% 이내가 아니면서 조세저항을 걱정하면 산동네에서 살면서 종부세 걱정하는 형국과 같달까요?

    4) 여튼 그처럼 부유세는 순자산에 부과되고 사회복지세는 일종의 강력한 누진적 소득세라는 점이 다릅니다.
    또 부유세는 다양한 분양에 쓸 수 있는 일반세지만
    사회복지세는 '오직 사회복지의 목적'으로만 거두는 목적세입니다.
    그리하면 세금이 엉뚱한 곳에 쓰일 수 있다는 불안감+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지요.
    부유세 하면 북유럽 국가를 들 수 있고
    사회복지세를 거두어서 사회복지를 확충하는 대표적인 국가로는 프랑스를 들 수 있습니다.

    5) 부유세는 순자산에 부과되는 세금이기 때문에 그것이 도입될려면
    순자산을 '공정하게'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수적입니다.
    사회복지세도 고소득자에 대한 철저한 파악과 탈세방지라는 장치를 마련해야만 공정하게 부과를 할 수 있습니다.
    즉... 부유세나 사회복지세의 도입 과정이 고소득자와 부유층의 소득과 자산을
    투명하게 파악하여 탈세를 방지하고
    정확하게 세금을 부과하는 '투명한 조세환경 구축' 과정이 된다는 말입니다.

    5) 현재 민주당 천정배도 사회복지세의 도입을 주장하고 있고,
    정동영도 "부유세만으로는 온 국민 복지 재원 마련에 한계가 있고
    부유세 도입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면서 '사회복지 목적세' 도입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 5. 봄바리
    '11.1.26 10:28 PM (112.187.xxx.211)

    제가 예전에 '부유세에 대해 허접하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http://www.82cook.com/zb41/zboard.php?id=free2&page=1&page_num=35&select_arra...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5115 네이버에 문의메일 보내신분들 답장 잘 오나요? 2 답장 2011/01/26 163
615114 영국 배우 콜린 퍼스 좋아하는 분 계신가요? 전 요즘 푹 빠졌어요. 29 *^^* 2011/01/26 1,518
615113 남편에게 사랑받고 산다는글 어디로 갔죠? 2 . 2011/01/26 697
615112 유치 앞니 발치후 영구치를 기다리면.. 2 euju 2011/01/26 274
615111 국민 81%, 복지 위해 '부유세' 도입 찬성 5 여론조사 2011/01/26 578
615110 이직... 이렇게 힘이 드는 거였나요 ㅠㅠㅠ 2011/01/26 259
615109 방한쪽면을 모두책장을 할껀데 한샘이 최선일까요? 10 꼬마돼지 2011/01/26 907
615108 신용산초등학교 방과후영어 1 질문 2011/01/26 269
615107 영화 백만장자의 첫사랑 (현빈. 이연희 주연) 보세요. ㅋㅋㅋ 4 gg 2011/01/26 1,217
615106 요즘 쏟아져 나오는 신종 어휘들...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6 세대차이 2011/01/26 489
615105 1999년 겨울 어느날.. 2 흠냐~ 2011/01/26 630
615104 데오드란트 어디꺼 쓰세요? 1 문의 2011/01/26 222
615103 롯ㅇ 슈퍼 대형 피자 드셔보신분 어떤가요 1 하늘 2011/01/26 283
615102 무서운 이야기 끌리신다면.. 4 기묘한이야기.. 2011/01/26 890
615101 가슴 아래(명치?)가 아픈데, 약처방 먼저 받아야 할까요? 4 병원 2011/01/26 359
615100 이혼적령기..언제라고 생각하세요.. 5 언젠간 2011/01/26 1,242
615099 명절때마다 시댁 갈 이유가 없는 친구.. 10 다이어트대박.. 2011/01/26 2,607
615098 아무리 60년전 일이라지만 대학교수라는분이... 10 /// 2011/01/26 1,913
615097 자동이체 시간이 3 2011/01/26 1,752
615096 힘들어요 3 ... 2011/01/26 291
615095 “MBC뉴스, 이대로 가다간 죽는다” 13 뉴스를 볼 .. 2011/01/26 1,174
615094 설 제사음식 빠진 거 있나 좀 봐주세요 10 2011/01/26 1,155
615093 영화 글로브 어떤가요? 보신분 계세요? 3 혼자봐요 2011/01/26 631
615092 주택관리사 전망 어떤가요... 미래 2011/01/26 161
615091 조카 초등학교 입학선물로 상품권하려는데 1 얼마가적당할.. 2011/01/26 295
615090 예비 고3 자녀들 요새 공부 얼마나 하고 있나요? 7 사리 생성중.. 2011/01/26 1,159
615089 (급)압력솥에 영계가 익은줄 어떻게 알죠? 3 알려주세요 2011/01/26 410
615088 왕래는 많지 않지만..가보긴 해야하는 사이..부의금 얼마나 해야하나요.. 6 . 2011/01/26 497
615087 파래자반 맛있게 무치는 방법 알려주세요...? 자반 2011/01/26 265
615086 조카가 대학합격하면 보통 축하금 얼마정도 주면 될까요? 14 고민 2011/01/26 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