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설 제사음식 빠진 거 있나 좀 봐주세요
재작년에 엄마가 돌아가셔서 설에 저희집에서 엄마제사를 지내는데요
작년에 할머니가 돌아가셨고 외할머니는 그 전에 돌아가셨고 해서
아빠가 아시는 동네음식점하시는 분께 제사 음식을 의뢰하려고 하거든요
인터넷서 주문하자니까 아빠가 제사음식 택배로 받기 싫다고 하셔서
그냥 아빠 원하시는 데로 할 생각인데요..
아빠가 오늘 종이에 음식리스트를 쭉 적어주시면서
이중에 빠진 거 있는지 좀 알아보라고 하시는데 저도 잘 몰라서요..
네이버 찾아보니깐 국수도 있고 어탕도 있던데
울집이 경상도라 그런지 어릴때 보던 제사상이랑 많이 틀려서
여기 82님들께 여쭈어봐요^^
아빠가 적어주신 종이에는
소고기산적
상어산적
생선전(명태, 고구마, 정구지)
채소전
사과 배
귤 바나나
밤 대추
제사닭
탕국
문어 가오리 홍합 마른명태 오징어
낙지
조기
돼지고기 1근
이렇게 적혀있는데요
제가 나물류는 안 하냐고 하니까
나물은 추석에만 하는 거 아니냐고 하시네요
네이버 설 제사상에는 나물이 있더라구요
혹시 경상도식 제사상이 일반 서울식과 다른 점이 많나요??
제사경험있으신 82분들 계심 빠진 음식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
'11.1.26 6:13 PM (116.37.xxx.204)감이나 곶감 꼭 올리는 것으로 압니다.
조율이시 에서 시가 감 아닌가요?
저도 경상도요.
나물은 집집이 달라요.
떡국제사하고 나물 쓰는 집 있고요
저희는 설에도 떡국 안하고 밥 올리고 나물 씁니다.2. .
'11.1.26 6:14 PM (116.37.xxx.204)경상남도 신가요?
경북에서는 문어는 쓰고, 낙지는 잘 못 봤어요.
떡도 씁니다. 저희는요.3. morning
'11.1.26 6:17 PM (222.239.xxx.108)저희도 삼색 나물은 추석, 설 할것 없이 항상 올리고 있긴 합니다.
4. .
'11.1.26 6:18 PM (116.37.xxx.204)경상도에서는 문어, 마른 홍합, 명태, 오징어 다 올립니다.
대체로요.5. ...
'11.1.26 6:18 PM (125.180.xxx.16)저흰서울이라 문어 가오리 상어 이런류의 생선은 안올리고 조기올리는데 경상도는 생선을 수북히 올린다고 하네요
서울식은
떡국
쇠고기산적
나물 과일 전류 3가지~5가지로 올려요
포
조기
떡
약과 밤 대추 산자외과자류
탕국은 떡국올릴땐 안올려요
그리고 돌아가신분이 좋아하는음식있으면 올리구요6. 음식
'11.1.26 6:23 PM (220.89.xxx.135)제사지내시는 분이 많으시나요?
단촐하면 직접 하실분도 없는데 좀 간소히 하시면 어때요?
물론 집집마다 다르지만.
돼지고기 삶은것 쓰는집이 있고
제사닭 삶아 올리는 집도 있어요
둘다는 같이 안쓰는것 같은데 님댁은 모르지만.
문어 가오리 홍합 마른명태 오징어
이거 제사상에 포에 해당되는건데
우리도 이렇게 다 하다가 돈도 많이 들고
돈에 비해 먹는것도 그렇고 하여
황태 한마리 쓰거나 오징어포로 간소히 합니다
이거 다 하려면 돈 꽤 듭니다
또 생선전에 보면 정구지 (부추) 있으니
따로 채소전 안해도 될듯 합니다
식구가 많으면 여러가지 해서 먹기도 하지만
(우엉전, 무전. 배추전 등)
문어는 삶은것 쓰는데 낙지는 경상도에서 쓴다는말
들어본적 없는듯 합니다7. ..
'11.1.26 6:25 PM (1.225.xxx.87)상어고기를 경상도에서는 돔베기라고 꼭 쓰는데
그 음식 해주시는 분이 경상도분이 아니시면 잘 모를거에요.
우리집은 돔베기를 시어머니만 드셔서 언제부터인가 슬그머니 상에서 없어졌어요.
돔베기가 비싸기는 좀 비싸야죠.
전,적은 합쳐서 홀수로 놓아야해요.
아버지가 적어주신것으로는 고기적, 상어적,생선전,채소전,제사닭, 조기, 돼지고기1근(?)-이건 뭘까요? 이게 고기산적인지?
과일도 홀수로 놔야 하는데 적어주신것은 짝수니 하나 빼시든지, 하나 보태시든지 하시고요..
나물은 홀수로 세가지나 다섯가지 하셔야 하고..
탕국재료로 <문어 가오리 홍합 마른명태 오징어 낙지>..제 생각에도 낙지가 아니고 문어같습니다.
술하고 포하고 떡하고..더 놔야하고..8. ...
'11.1.26 6:28 PM (210.116.xxx.73)분류를 해볼께요..우리집 식으루요..
생선(5마리 합니다만 3마리만 간소히 하는 집도 있고 7마리도 합니다.)
민어, 도미, 침조기로 개수 맞추시면 될꺼여요.
문어도 올립니다.
과일(7가지 홀수개로 합니다.)
배,사과,수박,바나나,단감,귤,딸기
산적(얘들도 때에 따라 그냥 3가지만 하셔도 되고 5가지 하셔도 됩니다.
상어산적은 돔베기라고 하는 건데 요새 점점 구하기 힘들어지고 못먹어져서 이젠 안하고 있구요.)
소고기,오징어,소라,홍합,군소
튀김전류(우리집은 아래것을 한 상태로 그때 그때 봐서 7가지 챙겨 올립니다..)
고구마,새우,꼬지(햄,맛살,버섯,쪽파),납새미,동태,파전,두부,동그랑땡
곶감,밤,대추,유과,약과,떡,북어포
소고기탕국(제삿상엔 어탕으로 따로 조금 끓여서 올리기도 하지만 설추석엔 안합니다.)
나물류
콩나물,무나물,고사리,시금치,호박,취나물,미역나물
(나물류는 식구들이 비빔밥을 해서 많이 먹기 때문에 일부러 저렇게 많이 해서 봐서 5가지만 올려요.)
지금 당장은 이 정도 생각나네요.
우리집은 제사상은 보통 좀 더 하는 편이었고 설추석엔 덜 하는 편이었는데요.
요샌 또 조금 바꾸었어요. 식구들이 오래 있을 명절 특히 이번엔 오래 있거든요.
이럴땐 음식을 조금 더 하구요.
본제사날은 양은 적게 하고 가지수는 다양하게 하는 편이랍니다.
참고로 부산입니다.9. 저도
'11.1.26 6:45 PM (220.86.xxx.164)친정은 가지수가 많았는데 시댁은 너무 간소해서 처음에 놀랬어요. 하지만 결론은 간소할수록 좋다예요. 과일, 떡, 나물, 생선, 고기, 전, 식혜 올려요. 약과나 유과등 제사후 처치곤란한것들 안올리는데 합리적이고 좋아요.
10. ..
'11.1.26 7:40 PM (121.190.xxx.113)음식을 보니 대구쪽이신가요?
저희 시댁은 설날에는 떡국제사를 지내서 나물을 안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