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국제중 진원지 ‘청심’…1회 입학생 100명중 27명 떠나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315874.html
헐....... 대학생보다 많네요 -_-
그런데 다른거 다 떠나서 교복값 뭐죠?
――――――――――――――――――――――――――――――――――――――――――――――――――――――――――――――――
본 글은 현 시국 상황을 고찰하고
이에 따른 향후 가능성에 대하여 논한 개인적인 견해, 주장입니다. ㅎ
공익을 해할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정부나 기타 기관에 대한 명예훼손 의도가 없음을 밝힙니다. ㅋ
동트기 전 새벽이 가장 어두운 법이고,
물은 차면 넘칩니다. 다만 차기 전에는 몰라요.
모퉁이를 꺾어야 집이 나오고 말이죠.
――――――――――――――――――――――――――――――――――――――――――――――――――――――――――――――――
1. 세우실
'09.5.14 8:32 PM (125.131.xxx.175)2. ..
'09.5.14 8:48 PM (118.220.xxx.12)다른건 다 놔두고, 아는분 딸이 청심국제고에 다니고 있어서 함 여쭤봤습니다. 저희 애들이 시민권자인데 귀국해서 국제중 보낼까 한다, 청심중 어떠느냐...
그랬더니 그 기가막힌다며 무시하는 눈빛... 아직도 생생합니다. 첫마디가 이랬어요. "거긴 부모직업 최하가 대학교수 의사야." 그럼 최상은 뭔대요? "정치인이나 재벌이지"
참나... 자기도 대학교수 의사 아니면서 청심 보내는 형편에 단지 어떠냐고 물어보는 질문에도 저렇게 개무시를 하다니 정말 기분 더럽더군요.3. 주위에
'09.5.14 8:54 PM (221.148.xxx.216)청심중나와 청심고 보내는 엄마들 있는데, 전혀 안그런대요.
4. **********
'09.5.14 9:04 PM (211.195.xxx.202)자가 아는 엄마가 이번에 아이가 영재원 시험에 합격했다고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는 청심국제중을 보낼까 한다던데
그집 엄마 아빠는 의사도, 교수도 ,정치인도, 재벌도 아닌데....
거기는 수업료가 얼마나하나요?
외고는 분기에 수업료만 120이라고 어제 글 올라왔던데...
그냥 궁금해서요...5. 이거
'09.5.14 9:57 PM (211.207.xxx.62)아주 오래된 기사로 알고 있는데요.
1회 입학생들이 전학을 한 것은 과학고 등 이과 계열 진학을 염두에 두고
전학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전 학부모 입장에서 획일화된 교육 보다는
국제중, 특목중, 대안 학교 등등 다양한 학교들이 많이 생겼으면 합니다.6. 이거
'09.5.14 10:00 PM (211.207.xxx.62)청심은 분기에 90~100 정도로 알고 있어요.
단 기숙사비가 좀 들지만 질에 비해 가격은 저렴한 거라고 하더군요.
청심은 재단이 통일교라서 재단에서 엄청나게 지원을 한데요.
그래서 학부모가 낸 돈에 비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는 있다고 합니다.
기숙학교라 사교육도 거의 못 받으니 사교육비 많이 내며 일반중 다니는 아이들 보다
오히려 부모입장에서 돈 안든다고 할 수 있겠지요.
물론 그래도 주말을 이용해서 고액과외 한다는 둥 말은 많지만요. 다 그럴까요 설마?7. 과외선생
'09.5.14 10:51 PM (125.131.xxx.217)전 청심국제고 학생 가르쳐본 경험이 있습니다.
주말에 나오면 과외하고 들어가는 학생들 많습니다.
결국 기숙사비와 학교에서 방과후에 하는 특별수업(이게 교육비가 좀 비싼것으로 들었어요) 그외 주말에 과외수업까지 하면 교육비 만만치 않은것으로 들었어요.
부모입장에서 돈 안드는건 절대 아닙니다. 그 엄마에게 여쭤보니 한달 150만원 이상 든다고 대답했었지요.8. 특목고
'09.5.15 12:22 AM (58.140.xxx.155)기숙사생활하는 아이들은 방학이면 대치동 가서 과외하느라 정신없어요
한달에 2백이상은 들고요.9. 음
'09.5.15 1:10 AM (121.130.xxx.1)작년 10월 기사이니.. 아주 오래된 기사라고 보기는 힘들군요.
그리고 한국의 교육적 풍토에서는 국제중이든 특목중이든 다 입시를 위한 학원화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입시로 학교와 학생의 가치를 판단하는 환경에서는
학교의 설립목적과는 상관없이 획일화된 교육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죠.10. 특목고
'09.5.15 9:10 AM (99.150.xxx.215)기숙사 생활하는 아이들도 주중에 과외할 수 있어요.
학교 근처에 오피스텔이나 오피스 얻어서 과외선생님을 거기로 모셔다가 합니다.
그리고 다시 학교로 들어가는 것이지요. 일종의 외출이라 할까요?
학비는 학비대로, 사교육비는 사교육비로 다 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