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지금 수학 어느 수준들인가요?
현재.. 더하기3, 빼기3까지 하고 있거든요.
다른 예비초등들은 지금 수준이 어느정도인지
좀 적어주셔요.
그리고, 초등 1학년 2학기동안
정확히 어디까지 배우나요.
1. 저도 예비맘
'09.1.12 12:00 PM (220.123.xxx.69)저희 아이는 기탄이랑 이것저것으로 더하기 2하다가 어려워해서 ...
다시 더하기 1로 되돌아갔어요
저도 예비초등맘으로 맘 급한데...
외국 공대 박사인 울 띨랑은 모든 공부에는 때가 있다고
아이 잡~~지 말라고 ...
저도 궁금하여 윗집아이 교과서 들여다보았는데,
정말 쉬운것들만 다루더군요
아이 엄마말로도 너무 깊숙하게 다루고 가면
수업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면서
지금 많이 놀리라고 하던데~~~
어찌해야하는지 ..
궁금/ 조심스러워요2. ..
'09.1.12 1:05 PM (211.229.xxx.53)학습지 안합니다.
학교들어가면 학교진도에 맞춰서 하면 되지요..뭘...--;;
넘 안이하다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지금껏 키우면서 뭘 안가르쳐도 혼자 알아서 잘하더라구요.
시계도 잘보고(꽤 정확하게) 더하기 빼기도 알아서 적당히 합니다.
한때 억지러 학습지를 시켜볼까 했으나 심하게 거부반응을 일으켜서
그만두고
스스로 알아서 하고싶어하거나 알고싶어하면 알아서 하겠지..라는 생각.
현재 하고있는건 오르다 수업만 하고 있어요 ..아이가 재미있어해서3. 자유
'09.1.12 1:24 PM (211.203.xxx.216)우리 둘째도 이번에 초등 들어가는데 반갑네요.*^^*
다행인지, 불행인지...둘째는 스스로 공부 욕심을 부리네요.
저랑 남편은, 괜찮아~ 학교 가서 해도 된다니까 그러는데도...
친구들이 학원도 가고 학습지도 하고 그런다고...징징~~
보다 못한 우리 큰애가, 우리 엄마 아빠는 원래 전과도 안 사줘.
혼자서 교과서만 갖고 하라는 엄마, 아빠야~ (저를 한번 흘겨보고)
언니가 가르쳐 줄게~ 하면서 좀 가르칩니다.
꼬맹이 선생님이 어디까지 가르쳤나 가끔 공책을 보면...
한자리 수 덧셈 뺄셈 하고, 반올림 없는 두 자리 수 덧뺄셈 하대요.
반올림 있는 것은 실수를 종종 하나봐요. 큰애 왈 괜찮아~~
1학년 때에는 반올림 없는 두 자리 수 연산만 할 줄 알아도 안 틀려~
그렇게 위로도 해주네요.
참...구구단은 알구요. 구구단을 외자~ 놀이를 하니까, 막내도 따라하구요.
(아마 곱셈 개념은 모르고, 그냥 외우는 것 같아요. 놀이에 끼어야 하니까)
샘이 많아서, 언니가 하는 것 다 따라 하려고 해서, 둘째는 거저 키우네요.
차차차,자이브 등...큰애가 배우는 댄스 스텝도 눈동냥으로 배워 따라 하고.
언니가 스트레칭 하고 있으면 따라 하고, 줄넘기 하면 따라 하고...
언니 일기 쓸 때, 자기도 일기 쓰고...언니 만들기 숙제 하면, 자기도 만들고...
(저도 세 살 터울 언니 어깨너머로 다 배우고 초등 들어간지라, 그냥 큰애에게 맡겨 둡니다. )
이크...쓰고 보니 다소 염장질 같네요. ^^:: 우리 큰딸 좀 빌려드릴까요? ^^::4. 원글
'09.1.12 1:29 PM (125.178.xxx.192)네.. 자유님, 귀한따님 스카웃좀 할까요^^
저도 닥달하는 스탈아니고요..
이제 더하기빼기 3한다하면 웃는 엄마들 있는데 그래라.. 합니다.
그냥 전국의 보편적인 아이들 수준이 알고싶어서 문의드렸어요.
학습지는 아이랑 엄마랑 하루 2장씩 재미나게 하고 있고요.
초등1년 마지막 과정 수준이 어디까지인지
1학년 보내고 계시는 분들 알려주심 고맙겠습니다.5. 아..
'09.1.12 3:04 PM (211.210.xxx.30)저희 아이도 이제 초등학교 들어가는데요,
학습지보다 교과서가 저렴해서 교과서 구입해서 학습 시키는 중인데
두자릿수와 한자릿 수 더해서 두자리를 넘지 않는 정도의 덧셈 뺄셈 나오고요.
시계는 분까지는 아니고 시까지만 읽는 수준 나와요.
거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식을 보고 문제를 만드는 서술식(7-3=2 ==> 문제를 만들어라...)도 나오는군요.
교과서가 이정도이니 심화 단계는 좀더 강하겠죠?
요즘은 심화의 정도가 너무나 다양해서 엄마가 중심 못잡으면 애들 잡을 문제집들이 많아서요.
어쨋든
교과서 상의 1학년 수준은 50까지의 덧셈뺄셈 정도에요.6. 원글
'09.1.12 4:11 PM (125.178.xxx.192)답글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 되었네요^^7. ..
'09.1.12 4:15 PM (211.243.xxx.231)고나이땐 절대 수학가지고 애들 잡으면 안되요. 다른 아이하고 비교해서도 안되구요.
왜냐하면 이제 수 개념이 막 잡히기 시작하는 시기이고..
수 개념도 제대로 안잡힌 아이를 연산하라고 들들 볶으면 수학이 싫어지고 미워지는 부작용이 생기거든요.
아이에 따라 걷는 시기 다르고 말하는 시기 다르듯이 수 개념이 빨리 트이는 아이는 좀 앞서갈수도 있지만
그런 아이랑 비교해서 아직 수 개념 덜트인 아이 잡아봤자 아이는 수학이랑 더 멀어지기만 합니다.
수 개념 안잡힌 아이에게 연산 하라고 하는건 아직 걸음마도 못하는 아이에게 빨리 뛰라고 하는것과 마찬가지예요.
그냥 놀이처럼 숫자를 접하게 해서 숫자랑 친해지고 숫자에 호기심을 가지게 해 주는게 제일 좋아요.
그리고 아이 상태 봐가면서 살살 진도나가면 되구요.
수 개념은 나이 들면 당연히 트이는 거니까 초조해 하시지도 말구요.
그리고 학교 교과 과정은 아이의 인지 발달 단계에 맞춘거예요.
따라서 인지발달을 고려하지 않은 6개월 이상의 과도한 선행은 무의미하구요.8. 원글
'09.1.12 5:04 PM (125.178.xxx.192)좋은말씀 고맙습니다.
백번 맞는 말씀이십니다.
무엇보다 과도한 선행 저도 반대에요^^9. 선행피하는 엄마
'09.1.12 10:36 PM (124.49.xxx.85)저도 올해 초등 보내는 엄마 입니다.
기탄 하루에 2장씩 하고 있어요.
한글도 작년 7월에 한달도 안되어서 떼었구요.
과도한 선행 보다는 즐겁게 공부하고 집중하는 습관 , 자기 물건 챙기는 습관에 더 중점을 둡니다.
수영을 시키고 있는데, 혼자서 샤워하고 옷갈아 입고 이것만으로도 아주 감격스럽더라구요. ㅎㅎ
초등 1학년이면 아직도 유아기라고 볼수 있는데 이 시기엔 과도한 학습보다는 기본적인 인성과 기본생활습관이 더 바탕이 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자기 물건 잘 챙기고, 인사 잘하기(인사 잘하고 예의 바른 아이 요즘 찾기 힘들어요.ㅠㅠ), 친구 배려하고 잘사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