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번 비에 전기가 나갔어요.수리비가 45만원이라는데 비싸지요?
방 하나 빼고 전기가 나가서 새로 선을 외부 노출로 하는데 45만원 부르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비싼 것 같은데 혹시 경험해 보신분 있으시면 가격이 어떤가요?
인건비가 제일 많이 차지하겠지만 등을 가는 것도 아니고
재료비래야 전선비용 밖에 없는 것 같거든요.
1. 여러군데
'06.7.18 10:36 AM (222.234.xxx.84)알아보셔야하지 않을까요.
저 아는 사람도 차단기 내려가서.. 여기저기 천정 뜯고 원인을 밝혀냈다더라구요.
그래서 그 부분만 새로 했다는데..돈은 얼마 안 들은것 같던데요.
전기를 외부로 하다니.. 보기만해도 심란하겠어요.2. 일단
'06.7.18 11:09 AM (218.51.xxx.13)누전되는 부분을 찿아내야 하는데 한군데씩 불을 켜면서 차단기를 올려 보세요.
누전되는쪽 불을 켜면 켜지지않고 차단기가 떨어질거예요.그 라인을 따라 연결된 등의 바로 위 천정을 작업할 만큼 뜯고 차단기 내리시고 선이 벗겨진 곳이있나 확인하세요.
벗겨진 곳이있다면 검은테이프로 감아 주시고 습기가 차 있으면 마른 걸레로 제거 하세요.
전선이 낡아 합선 될 수도 있는데 합선의경우 새 전선으로 그 부분만 교체 하던가 아님 합선 된 부분을 잘라내고 다시 이으면 됩니다.
꼭 차단기 내리고 작업 하시고 조금이라도 전기에 관해 아는 남자분이 하시면 좋을거 같네요.
누전되는 부분만 찿아내면 전업사를 불러도 그리 돈이 많이 들지는 않을 겁니다.3. 전기배선
'06.7.18 11:13 AM (218.235.xxx.32)장소를 찾기 어려워 노출로 해야 된대요.
재개발 예정된 오래된 주택이거든요.
천정이 나무목이라 표시가 잘 안난다네요
님글 보고 다시 이야기해서 30 에 하기로 했어요.
감사합니다.4. 낭만dung견
'06.7.18 1:17 PM (211.216.xxx.150)노출로 공사하게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저의 직업이 전기 관계여서 글을 쓰고 있었습니다.
쓰던 글 그냥 올리겠습니다.
우선 이 건은 단순히 비가 새어 누전된 경우입니다.
비가 샌다함은 천정을 통해서 전기관에 습기가 침투한 경우입니다.
1. 방 1개만 빼고 누전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지금 상태로 보면, 그 방만 따로 전기가 공급되고 있습니다.
- 단독주택 일 때 가능한 경우 입니다.
2. 보통 집 전체가 누전으로 전기가 들어오지 않습니다.
* 누전체크를 하십시오.
- 보통 동네 전기회사(일명 전업사)에 누전체크를 의뢰해야 합니다.
3. 일단 집을 건조시킵니다.
* 사람이 살고 있다면 좀 어렵겠지만, 보일러를 최대한 올려서 집을 건조 시킵니다.
- 스라브(콘크리트에 직접 도배로 마감) 천정 - 등을 모두 떼어내야 합니다.
- 목재나 석고보드로 마감 된 천정 - 등을 떼어내고 등이 부착되었던 부분을 개방해야 합니다.
- 스위치와 콘센트를 벽에서 분리 건조시켜야 합니다.
- 떼어낸 등도 당연히 건조시켜야 합니다.
4. 위와 같은 작업들을 거쳐 누전을 제거하면, 노출로 전기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 노출 되는 전기선은 위험하며, 외관상에도 물론 좋지 않습니다.
- 전문가들이 전기선을 노출로 하겠다고 한다면, 오래된 가옥일 경우 어쩔 수 없는 경우입니다.
- 시공 기간 단축 등, 시공 편의 때문에 노출로 하는 경우는 적극 반대합니다.
- 건조는 하루면 됩니다.
5. 건조를 했는데도 누전이 계속 발생한다거나, 쇼트가 생기면 전기선을 교체 할 수밖에 없습니다.
* 10~15년 정도 된 가옥일 경우는 전기선 교체가 크게 문제 되질 않습니다.
6. 분전반(일명 두꺼비 집)은 반듯이 내용물 전체를 교체해야 합니다.
위와 같이 하여야 하므로,
약 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적용됩니다.
저에 개인적 소견으로는 각 건물의 전기선은 10~15년 주기로 교체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부디 비용에 너무 낙담하지 마시고,
이 기회에 위험한 전기를 깔끔하게 정리한다고 생각하십시오.
[일반상식]
1. 가정에서는 예민한 누전 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 전문용어로 캇수가 낮아야 합니다.
- 캇수 : 누전이나 전기사용자의 전기 접촉 시, 누전차단기의 반응시간 단위
2. 집이 침수 되었을 때
- 위와 같이 건조를 잘 하면 복구가 됩니다.
- 등이나 스위치, 콘센트에 흙과 같은 이물질을 물로 제거하고 건조해야 합니다.
- 단 분전반은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5. 저는
'06.7.18 1:52 PM (61.74.xxx.245)지나다가 낭만dung견님의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연휴 내내 시댁 누전되어서 고생하다 왔거든요...13년된 집인데....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72775 | 아이가 학교생활에 문제가 있는 듯해서... 2 | 초등맘 | 2006/07/18 | 908 |
72774 | 남미 다녀오신 분께... 2 | 남미 | 2006/07/18 | 262 |
72773 | 고민 2 | 주부7년 아.. | 2006/07/18 | 521 |
72772 | 영화 할인카드 어떤거 쓰세요?? 4 | .. | 2006/07/18 | 541 |
72771 | 이번 비에 전기가 나갔어요.수리비가 45만원이라는데 비싸지요? 5 | 전기배선 | 2006/07/18 | 3,918 |
72770 | 빵끈 있죠.. 철사끈. 그거 어디서 사는지요 ㅠㅠ 12 | +.+ | 2006/07/18 | 1,389 |
72769 | 혹시 양수검사 해보신분 계세요?? 9 | 발랄새댁 | 2006/07/18 | 603 |
72768 | 어떤 노트북? 2 | 노트북 | 2006/07/18 | 273 |
72767 | 비자금 통장 관리어찌해야... 6 | ?? | 2006/07/18 | 1,010 |
72766 | 아기가 보름 무항생제약 먹였는데 오늘은 누런콧물나와요 2 | 맘 | 2006/07/18 | 327 |
72765 | 두드러기 알러지가 있는데.. 3 | 힘들어요 | 2006/07/18 | 348 |
72764 | 아이와 함께 옻칠 시연회 보러 인사동 나들이 오세요 1 | 라메르 | 2006/07/18 | 324 |
72763 | 부산쪽 지금 비가.. 1 | 부산쪽 | 2006/07/18 | 296 |
72762 | 다들 빨래는 어찌하셨는지.. 8 | 빨래.. | 2006/07/18 | 1,547 |
72761 | 방배동 현대아파트에 대하여 알고 싶어요 3 | 방배동 | 2006/07/18 | 761 |
72760 | 아이와 제머리에 이가 생겼어요...ㅠ.ㅠ 8 | 어떡해..... | 2006/07/18 | 1,628 |
72759 | 일본드라마 볼 수 있는 곳 2 | ... | 2006/07/18 | 393 |
72758 | 여섯살 아이가 이런 증세를 보일때 3 | 걱정맘 | 2006/07/18 | 722 |
72757 | 웰빙 맛사냥 족발 골목 어딘가요? 2 | 먹고파 | 2006/07/18 | 374 |
72756 | 시외할아버지 제사 참석할 때 말입니다.. 8 | 새댁이 | 2006/07/18 | 619 |
72755 | 이 물난리에 놀러 안 온다고 징징대는... 3 | 어휴 | 2006/07/18 | 1,585 |
72754 | 전세권 설정 2 | 궁금이 | 2006/07/18 | 251 |
72753 | 시누이보소... 21 | 미티 | 2006/07/18 | 2,296 |
72752 | 파주 교하 단독 주택 단지. 10 | 꿈... | 2006/07/18 | 1,262 |
72751 | 첩의 일기 6 | 주기적우울증.. | 2006/07/18 | 2,347 |
72750 | 제주도 여행 정보 좀 주세요..... 3 | 여행자 | 2006/07/18 | 395 |
72749 | 살인사건이 난 아파트 살 수 있나?? 25 | 아파트 | 2006/07/18 | 4,000 |
72748 | 신동엽의 있다없다에서요...냉동인간편.... 2 | 저기요..... | 2006/07/18 | 763 |
72747 | 신문기사 <직장인 산모 ‘갈수없는 보건소’> 5 | 공감 | 2006/07/18 | 548 |
72746 | 죽고 싶을 때... 12 | 팍 | 2006/07/18 | 1,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