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카드지갑에 돈 넣어서 다니시는분 계신가요?

ㅇ0ㅇ 조회수 : 5,364
작성일 : 2011-08-06 22:56:41


좋은 카드지갑을 하나 선물받았는데, 여기다 현금 넣고 다녀도 되나요?
명품쪽에는 별로 관심 없고 지금 쓰고 있는 중지갑도 무난한 국내브랜드 제품인데
카드지갑을 카드지갑으로만 쓰기는 아까워서(느낌길 중고가격이 130만원 가량 하네요)
5만원짜리 한장씩 꽂고 다닐까 하는데 괜찮을까요? 카드지갑이 크기가 작다보니
한눈에 카드지갑이라는걸 알수있는데 여기서 돈을 꺼내면 좀 이상하게 보지 않을까요?
ㅜ.ㅜ 크기도 작아서 작은 주머니에도 부담없이 들어가고 딱 좋은데...
현금을 넣고 다녀도 되는거겠죠?

IP : 112.159.xxx.77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8.6 10:58 PM (125.135.xxx.122)

    전 넣어서 다녀요...
    체크카드 한 장, 지폐 1~2장정도.. 이거 은근 편해요ㅎㅎ
    가볍고..^^

  • 2. ,,
    '11.8.6 10:58 PM (121.131.xxx.181)

    그냥 카드 넣고 다니시죠.. 현금 꺼내면 이상하게 볼 것 같아요..그게 명품이라는 걸 알아보는 사람보다 카드지갑에서 현금 꺼낸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훨 많을테니까요

  • 3. ...
    '11.8.6 11:00 PM (116.37.xxx.214)

    전 카드 지갑에 꼭 비상금 넣어둬요.
    가끔 본 지갑 안갖고 나갔는데
    현금이 필요할때가 있더라고요.

  • 4. 편해요
    '11.8.6 11:01 PM (180.224.xxx.14)

    저도 장보거나 집앞 슈퍼갈때, 가방 들고 나갈일 아니면 카드지갑에 넣고 다녀요.
    전 사용하면서도 누가 어케 생각할까 신경은 안쓰이더라구요.
    본인이 편하면 되는거죠.

  • 5. ..
    '11.8.6 11:03 PM (175.120.xxx.240)

    돈을 함부로하는것 같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실지 모르겠는데요 저 카드지갑하나로 다~~~~ 해결합니다.지폐한두장 들어있거나 없을때도 있고요..요샌 현금없이 카드로 생활가능하잖아요.. 카드만 들고다니면 은근 절약됩니다. 님 편하신대로 하시죠

  • 6.
    '11.8.6 11:04 PM (58.227.xxx.121)

    저희 남편이요. 지갑은 너무 커서 주머니에 넣으면 불편하다고 카드지갑에 카드랑 만원짜리 지폐 몇장 넣어가지고 다녀요.

  • 7. 장사
    '11.8.6 11:22 PM (180.71.xxx.161)

    저 가게 하고 있는데요
    카드넣는곳에 만원짜리 오만원짜리 네번 접어서 넣고 다니는분들
    많이 봤어요
    비상금으로 넣어갖고 다니는거라고 하던데
    전혀 이상하게 보이지 않아요
    뭐..나편하면 됐지 남에눈이 그리 중요하지 않잖아요

  • 8. 뭔상관
    '11.8.6 11:35 PM (218.238.xxx.137)

    오래전 제 친구도 카드지갑을 그냥 지갑처럼 쓰더라구요.
    손에 쏙 들어가고 분실위험전혀없고 오히려 편하다구요..
    저도 그러고싶어요..
    법으로 정해진것도 아닌데 카드지갑에 현금 넣으면 누가 잡아가나요??

  • 9.
    '11.8.6 11:39 PM (110.10.xxx.13)

    저도 카드지갑을 지갑으로 써요..
    카드지갑이 작고 가볍고 훨씬 편해서 쓰다보면 절대 그냥지갑 못써요.
    저도 카드지갑에 지폐 한장 넣고다녀요

  • 10.
    '11.8.6 11:49 PM (112.172.xxx.237)

    카드지갑에 꼭 카드만 넣으라는 법있나요 뭐~^^ 지폐한두장정도 넣어다녀도 하나도 이상해보이지 않아요..ㅋ

  • 11. .
    '11.8.6 11:50 PM (180.231.xxx.64)

    저도 카드지갑에 현금 넣어요 가끔...

  • 12. .
    '11.8.7 12:18 AM (182.210.xxx.14)

    우리 신랑 좋은 반지갑 여러개 있는데, 바지에 넣으면 골반틀어지고 두껍다고, 작은 카드지갑에 현금이랑 딱 필요한카드한두개만 넣어서 가지고 다녀요. 그게 편하대요

  • 13. 1
    '11.8.7 2:29 AM (58.232.xxx.93)

    제 카드 지갑은
    열면 왼쪽에 카드 넣는 곳 2개, 오른쪽에 2개가 있어요.
    그 밑으로 수납공간이 있기는 한데... 수납공간에는 비밀스러운것 넣고요.
    왼쪽 카드 넣는곳에는 카드 하나, 오른쪽에는 밑에부분에 만원짜리랑 천원짜리 반 접어서
    카드 넣듯이 넣으면 사이즈가 딱 맞아요.

    얇고 가벼워서
    원래 반지갑 넣고 다니다가 버스탈때 반지갑 꺼내기 귀찮아서 교통카드 넣고 다니다가
    아예 지폐를 넣고 다니다가 나중에는 반지갑도 안들고 다닙니다.

    얇고 가벼워서 좋아요.

  • 14. 다라이
    '11.8.7 10:53 AM (116.46.xxx.54)

    카드지갑을 일반 지갑처럼 써요;; 편합니다 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5265 난임 부부의 고민.. 7 고민 2011/08/06 1,623
675264 기름떡볶이가 맛있나요? 9 궁금기대 2011/08/06 2,071
675263 도배를 했는데 누렇게 변했어요 2 도배 2011/08/06 516
675262 윽~ 그것이 알고 싶다 충격이네요....지금 하는데... 60 . 2011/08/06 11,770
675261 칠칠 맞은(x)->칠칠 맞지 못한(o) 4 아... 2011/08/06 452
675260 분당 정자동근처에 귀국자반 있는 학교가 있나요? 2 분당 2011/08/06 522
675259 침실에 침대 두개 놓고 주무시는 분들 계신가요? 9 ... 2011/08/06 1,721
675258 전업하시는분들 용돈 남편이 다 주나요? 15 ..... 2011/08/06 1,787
675257 남자 지갑으로 루이비통 머니클립 어떤가요? 6 아지아지 2011/08/06 977
675256 침대위에 베개들 잘땐 어디두세요? 5 .... 2011/08/06 851
675255 유명한 떡집의 기정떡, 국산쌀 맞을까요? 8 garu 2011/08/06 1,318
675254 요즘 내가 제일 부러운 여자 1 . 2011/08/06 1,326
675253 저 재미없는 sbs드라마 언제 끝나는 건지.... 4 . 2011/08/06 2,369
675252 믿는 분들~ 제가 몰라서요.. 3 답변감사 2011/08/06 672
675251 카드지갑에 돈 넣어서 다니시는분 계신가요? 14 ㅇ0ㅇ 2011/08/06 5,364
675250 지금 SBS에 나오는 시아준수 24 말투가 원래.. 2011/08/06 2,904
675249 이불에 핀 곰팡이 어떻게 해야 하나요??? ㅠ 곰팡이 2011/08/06 302
675248 옛날 드라마에서 보던 일들이 나에게 일어났어요 1 이런 2011/08/06 894
675247 회사에서 짤리는.... 1 2011/08/06 348
675246 공정무역커피믹스 맛 2 .. 2011/08/06 772
675245 개인사업자 내신 분, 궁금한 거 하나만 도와주세요... 1 개인사업 2011/08/06 249
675244 여자용 데오드란트 추천해주세요 2 추천 2011/08/06 450
675243 급) 선물 받은 과자(센베이)가 눅눅해 졌어요 답변 꼭!! 3 눅눅 2011/08/06 656
675242 주위에서 요즘 안좋은 일들이 많이 생기네요~ 2 왜 이러지?.. 2011/08/06 701
675241 역겨워서 못살겠어요, 14살 여자애랑 섹스한 미친선생, 피해학생 어머니가 선처했다고 27 한계에 달함.. 2011/08/06 14,577
675240 오후 3시에 번개천둥이 8 반달 2011/08/06 745
675239 주식 들고계신 분들 많이 계세요? 7 불안한 주말.. 2011/08/06 2,200
675238 남편복있다는 기준을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12 진정한 2011/08/06 3,109
675237 나에게 모르는 이복남매가 있다면??? 11 ... 2011/08/06 2,060
675236 총체적 주제파악의 시기가 다가오는지도 모릅니다. 불편한 진실.. 2011/08/06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