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학벌이 중요한가요?

조회수 : 3,192
작성일 : 2011-06-23 00:22:26

인생 살면서 학벌 얼마나 중요할까요

IP : 116.127.xxx.219
3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6.23 12:24 AM (125.129.xxx.31)

    저는 꽤나 중요하다고 봐요.. 비단 더 나은 직업을 가질수있고 이런 기회뿐아니라 외모나 키처럼 자기의 이미지를 짧은 시간내에 타인에게 부각시킬수 있는 일종의 무기같은걸로 작용하는점도 큰것같음..

  • 2. 취업할 때
    '11.6.23 12:25 AM (121.134.xxx.79)

    학벌 보죠

  • 3.
    '11.6.23 12:25 AM (121.140.xxx.109)

    중요하다고는 생각을 하는데
    주위에 보면 그닥...
    사람 됨됨이와 성실이 더 중요하더라구요

  • 4. 저도
    '11.6.23 12:26 AM (14.52.xxx.162)

    살다보니 점점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일단 학창시절에 딴짓안하고 성실히 공부한것만으로도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구요,
    몇몇 학벌에 못미치는 이상한 사람들도 있지만,,그래도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배운 값은 하고 살더라구요,

  • 5. 이런
    '11.6.23 12:34 AM (223.222.xxx.79)

    질문 자체가 학벌의 중요성을 전제한 글이라고 생각함.
    학벌보다 인성이나 노력이 중요하다는 말도 마찬가지~
    배운값을 하고 사는 사람들이 훨씬 많기 때문에 소수의 경우로 전체를 뒤엎으려고 하지 마세요.
    그리고 배운사람이 왜 그래? 라는 말도 결국 학벌인정인거 아닌가요?

  • 6. 우리나라는
    '11.6.23 12:37 AM (121.133.xxx.31)

    중요합니다. 물론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그 사람을 평가는데 많은 영향을 줍니다

  • 7. 중요해요
    '11.6.23 12:41 AM (125.188.xxx.12)

    처음 갖게 되는 직업이 그 사람의 인생을 크게 좌우하는데 비명문대 출신에겐 기회 자체가 주어지질 않잖아요.여기 자게에 학벌 좋은데 별 볼일 없이 풀렸다는 사람들 많지만 사실 아주 예외적 사례죠.예외가 일반화 될 순 없고요,힘든 공부를 스스로의 욕망을 통제해가며 했다는 사실 자체가 인정 받을 만하고 성실성을 나타내는 징표이니 제가 ceo라도 명문대 출신을 선호할 듯....

  • 8. 그냥
    '11.6.23 12:42 AM (121.124.xxx.155)

    중요하지만 중요한 것들 중 하나지 절대적이진 않죠.

  • 9. 학연
    '11.6.23 12:42 AM (220.117.xxx.81)

    학벌이라기 보다는 학연으로 반은 먹고 들어가더군요.
    이 학연이라는게, 좋은 학교일수록 더 많은 힘을 발휘하는거니까 학벌, 학벌 할 수 밖에 없는 거 같아요.
    학벌 좋아도 이걸 써먹지 못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별거 아니지만요..
    학연으로 얽히고 얽힌 데서 살아남으려면 이왕이면 좋은 학벌 가지고 일하는 게 수월하지요.

  • 10. .
    '11.6.23 12:49 AM (115.41.xxx.221)

    한창 호기심 많고 튀어나가고 싶은 시기에
    여러가지 유혹과 게을러지고 놀고싶은 마음을 누르고 얻어낸건데요.
    십여년을 성실하게 살아왔다는 증거도 되지요.
    이것 하나만으로 모든걸 평가하진 않지만, 결코 무시할수는 없는 가치라 생각해요.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 능력도 알 수 있구요.

  • 11. 스무살전후
    '11.6.23 12:54 AM (119.149.xxx.102)

    의 성실도를 말해줄 순 있겠으나 우리 나라에선 그때 바짝 했던 걸로
    평생 울궈먹는 분위기는 좀 문제같긴 해요.

    근데, 이 편견이란게 좀 무서워서
    학벌 별론데 성실하고 혹은 관계 기술이 좋아서 잘 풀릴 경우
    좀 부정적인 쪽으로 재능이 있을거다 해석되고,
    학벌 좋은데 좀 덜 성실하고 그래도 쟨 뭔가 다른 꿈이 있거나 할거다..
    이런 식의 생각 사람들이 많이 하더라구요.

    우리끼리 중요한가 아닌가를 말하는것보담 당장 겪어보신 것들만 봐도 뭐...
    좋으면 좋은대로 나쁘면 나쁜대로...

    차라리 어릴떄 몇년 바짝 참고 평생 울궈먹는게 남는 장사같긴 해요^^
    그땐 그걸 모르니 문제지만.

  • 12. ...
    '11.6.23 12:55 AM (112.148.xxx.45)

    요리를 빼어나게 잘 하고 사업 수완이 좋아서 음식점을 경영하거나
    손기술이 아주 좋아서 잘 나가는 기술자거나.... 창업자금이 넉넉해서 작은 가게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냥 회사를 다닌다면... 학벌 중요해요...ㅠ.ㅠ

    저는 90년대 학번 수능 8%정도 였는데... 교대 떨어지고 집안 형편 때문에, 꽤 괜찮다는 전문대 상위과 졸업했거든요. 저희과 애들중 정시합격애들은 90%가 편입했어요. 중대,건대,홍대,동대,숭실대,숙대,명지대..상명대..등등등~
    정시와 추가 합격자 점수차이가 아주 많이 나서.... 성적 좀 되는 애들 중에서 취업하겠다는 애들은 한손으로 꼽을 정도? 그래서 제가 교수님 추천으로 외국계 무역회사 취업했거든요.... 벌써 13년차....정말 업계에서 저랑 같은 포지션에 있는 동료들, 후배들 학벌이...장난 아니에요 ㅠ.ㅠ

    사장님과 인사과 빼고는 제가 전문대 졸업인 거 모르고요... 이전 회사에서는 마음 고생이 덜 했는데, 진짜 절호의 기회를 꽉 잡고 옮긴 지금 회사에서는 학벌과 어학연수 때문에 너무 치여서 힘들어요 ㅠ.ㅠ
    동료들 사이에서 알게 모르게 위화감 느끼고... 연봉에서도 차별이 있고요. 뭐, 그건 그들이 저보다 영어실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극복~ 어차피 돈 때문에 다니는 회사라 버틸 때까지 버티자 하는데...이제 이직 기회도 쉽게 없고.. 많이 힘들어요.

  • 13. 머리
    '11.6.23 1:00 AM (121.124.xxx.59)

    머리 안 좋은 것보다 좋은 게 좋죠.
    그리고 공부는 성실함과는 달라요.
    머리 좋은 애가 좋은 학교 가고, 머리 나쁜 애는 딴 짓에만 성실하기때문에 좋은 학교 못 가요.
    성격이나 인성도, 두뇌에서 발원하는 것이기때문에
    머리 좋은 애들이 성품 좋은 경우가 훨씬 많고요.
    (아니라고 우기는 사람 많지만, 이름 모를 후진 대학 애들 노는 거 본 적 있으면 그런 말 못하세요. ㅠㅠ)

  • 14. ㅜㅜ
    '11.6.23 1:01 AM (116.41.xxx.250)

    우리나라는 학벌주의 사회이니까 무시할 수 없지만...
    우리나라만큼 기형적인 학벌주의 사회는 없다고 해요. 대학을 일렬로 세우고 그걸 전 국민이 고대로 내면화하고 있어서 뭐가 잘못되었다는 인식도 없지요.
    한참 꿈을 키우고 자유롭게 하고하고 탐색해야 할 시기에 성실하게 주어진 공부를 열심히(대부분 암기?)한 것이..............물론 대단하지만 얼마나 훌륭한 것인가.....는 쉽게 말할 순 없다고 봐요.
    <학법없는사회만들기>라는 시민단체도 있다고 들었어요 사실은 타파해 나가야 할 사회부조리 중 하나가 학벌주의 아닐까요?ㅜㅜ 김상봉교수님의 <학벌사회>라는 책을 보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원글님께서도 학벌에 관심있으시면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15. ...
    '11.6.23 1:05 AM (121.124.xxx.155)

    적어도 이런 학벌주의가 없어져야 우리 사회나 애들을 위해 더 나은 환경이 되겠죠.

  • 16. .
    '11.6.23 1:06 AM (125.152.xxx.208)

    학벌 보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

    좋은 학교 나왔는데.........일도 못하고.............능력도 없음.............말짱 도루묵~

  • 17. 125.152님
    '11.6.23 1:10 AM (125.188.xxx.12)

    예외의 일반화 ㅋㅋㅋ
    열공한 사람의 근성 이기기 쉽지 않다는...

  • 18. 그러게
    '11.6.23 1:14 AM (223.222.xxx.79)

    말이에요.
    그럼 후진 학교 나오면 일잘하고 능력있는지 그건 검증되었는지 참말로 궁금하네요.

    꼭 없는 집에서
    사람은 외모나 능력, 학벌보다 사람됨이 가장 중요하다고 외치는 거랑 비슷하네요.
    가난하면 사람됨이 절로 되는건지?

  • 19. 125.152님
    '11.6.23 1:21 AM (125.188.xxx.12)

    명문대 나와 별로 일을 신통찮게 하는 사람들은 그 하는 일에 애착이 없기 때문입니다.
    빨리 그 일 접으려 안달난 사람이 왜 전력질주 할까요?
    물론 그런 정신싱태가 바람직한 건 아니고 한심한 생각이지만요.

  • 20. d
    '11.6.23 1:38 AM (125.186.xxx.168)

    가장 중요한건 아니지만, 학벌은 학벌대로 의미가있죠 ㅎㅎㅎ.

  • 21. 123
    '11.6.23 8:16 AM (124.51.xxx.115)

    제 일이 워낙 학벌 좋고, 콧대 높고, 어깨에 힘들어간 사람들과의 일인데
    그런 상대방이 저를 좀 제대로 안대한다 싶을 때 제 비장의 무기인 제 학벌에 대해 노출시키면(제 입에서 말하지 않는 방식으로.. 노하우가 생겼어요) 당장 그렇게 자기만 잘난 줄 알던 사람들의 태도가 달라진답니다.
    백이면 백. 그 이후 비지니스하면 다 솜사탕이 되어요.
    그 달라짐이 얼마나 씁쓸하게 웃긴지요.
    그리고 제가 지금의 남편을 만난것도 제 학벌덕이 크다고 생각해요.

  • 22. .
    '11.6.23 8:24 AM (211.176.xxx.147)

    중대하진 않지만 전 학벌로 아쉬운 일들 많았어요. 대학생들 해외체험활동 길고 긴 자기소개서와 체험계획서 없이도 가고 싶다라는 두줄짜리 글로도 충분히 갈 수 있는게 학벌이고, 이직이나 면접 인터뷰때 모든 것을 보여주려고 발버둥 치지 않아도 평이한 답변만으로도 합격되는게 학벌이더라구요.

  • 23. ....
    '11.6.23 9:06 AM (58.122.xxx.247)

    요즘은 생산직도 기본이 대졸

  • 24. dd
    '11.6.23 9:14 AM (113.30.xxx.10)

    중요하죠. 대기업 사무직 입사 지원 자격 자체가 4년제 대졸이고 서류에서 부터 학교별로 점수 메겨서 탈락시키는데요. 초봉 4500되는 회사들 지원조차 못 해보고 초봉 3000되는 회사 입사하면서 그들을 부러워할 수는 없잖아요.

  • 25. ㅇㅇ
    '11.6.23 9:16 AM (113.30.xxx.10)

    글구 학벌이 젤 중요한건...좋은 학교 가서 좋은 친구들을 만나 평생 서로 밀고 끌어주는 관계가 만들어지기 때문이에요. 회사 다니면서 너무 절실히 느끼네요. 뭐 물론 다른 직종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대개의 대기업들은 그래요.. 동종업계 사장님들 보면 거의 동문회 수준 ㅎㅎ

  • 26.
    '11.6.23 10:34 AM (58.227.xxx.121)

    중요합니다.
    특히나 학부 학벌은 정말 중요해요.
    저희 남편.. 전문대 나와 방통대 졸업하고 석사하고
    몇년동안 밤잠 안자고 공부해서 그 분야에서 박사급 동등한 대우 받을 수 있는 자격증 따서
    지금은 정년 걱정없이, 나름 대우 받으면서 회사생활 하고 있는데
    요즘 들어 그러더라고요.
    재수하기 싫어 전문대 갔던게 제일 후회된다고.. 지방 듣보잡이라도 4년제 갈껄 그랬다고.
    우리 아이는 꼭 좋은 대학 보내고 싶다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 한다는거.. 현실이 그렇습니다.

  • 27. ㅎㅎㅎ
    '11.6.23 10:57 AM (211.176.xxx.112)

    제 친구의 어릴적 친구(제겐 한다리 건너는 사람이지요.)가 20대 많이 방황하다가 수녀가 되기로 결심했더래요.
    자격 조건중에 4년제 대졸이 있다더래요.
    그 말 듣고 믿음으로 평생을 살아야 하는 수녀도 학벌이 있어야 하는 구나 생각했더랍니다.

  • 28. ..
    '11.6.23 11:00 AM (211.234.xxx.186)

    대학입시공부..머리좋은거보다는 성실성이 더 중요해요.
    저번 서울대수석합격자인지가나와서..저는 엉덩이로
    공부했습니다 라고했죠.그만큼성실했던거구요.

    주변에 설포카 학부박사들을 자주보는데 실제아이큐높다
    는분은 우리생각보다많지않고요. 성실성 자기관리 집중력이
    높더라구요.

  • 29. .
    '11.6.23 11:01 AM (119.161.xxx.116)

    중요하죠. 특히 한국에서는.
    한국에 살면서 학벌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건 자신을 또는 다른 사람을 도닥여주기 위한데 불과하다고 생각돼요.

  • 30. 아주
    '11.6.23 1:14 PM (61.77.xxx.23)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31. ...
    '11.6.23 1:32 PM (14.52.xxx.136)

    저랑 남편 학벌이 좋은편인데 다른건 딱히 별로 혜택본건 없구요
    그냥 어디가서 학벌 말할때 숨키거나 꿀리거나 그런일? 신경쓸일 없는건 좋아요

  • 32. 아마도
    '11.6.23 9:08 PM (118.216.xxx.17)

    평생..학벌은 따라 다닐겁니다.
    나이들수록...중요하다고 여겨지네요.
    어쩔수 없어요..현실에서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3357 빵글올리신분이 쓰신글들 보셨어요?ㅋㅋ 11 ㅋㅋ 2011/06/23 5,843
663356 글 폭파합니다. 38 방사능 2011/06/23 2,878
663355 빵말인데요 6 근데 2011/06/23 1,348
663354 딸 남자친구가 저를 아주머니라고 하니 살짝 섭섭하네요. 7 엄마 2011/06/23 1,760
663353 평촌 샛별한양 아파트 어떤가요? 8 평촌 2011/06/23 2,633
663352 수두 물집 안 잡히고 가라앉을수도 있나요? 3 .. 2011/06/23 515
663351 아이폰은 셀카를 못 찍나요? 5 아이아이 2011/06/23 589
663350 학벌이 중요한가요? 34 2011/06/23 3,192
663349 금칠한 빵덩어리, 남 먹으면 화나죠! 4 빵순이 2011/06/23 1,104
663348 여자2호 참 괜찮은 사람이네요. 19 애정촌 2011/06/23 2,838
663347 지금 오쿠로 배즙내려고 하는데요~~ 2 궁금해요~ 2011/06/23 366
663346 이 빵 때문이신거죠? 토닥토닥 45 빵터짐 2011/06/23 16,872
663345 최고사 가상시나리오 2 최고사 2011/06/23 670
663344 귀여운 아기 동영상 보세요.. 2 아기 2011/06/23 390
663343 아토피, 성인 아토피 치료 잘하는곳 부탁드려요. 1 d 2011/06/23 136
663342 지금 sbs 짝 보시나요? 13 2011/06/23 2,043
663341 메밀소바 장국도 방사능 조심 6 긴수염도사 2011/06/23 1,323
663340 수원에서 살기 어렵네요. 10 힘들다..... 2011/06/23 2,217
663339 문득 거실에서 티비를 보다가.. 2 전기 2011/06/23 403
663338 레몬디톡스다이어트 레몬수 비율이요.. ... 2011/06/23 330
663337 생일 사진때문에 속상하네요. 4 유치원학부모.. 2011/06/23 425
663336 (방사능)비오는 날 이사했어요ㅠㅠ 3 이사 2011/06/23 735
663335 쳐지고 작아진 가슴 어떻게 해야 할 지... 6 모유수유의 .. 2011/06/23 1,052
663334 시간 okebar.. 2011/06/23 104
663333 이 수학 학원 어떤지 판단 좀 해주세요~ 8 수학 선생님.. 2011/06/22 844
663332 앨리스와로만마술쇼에서 마지막 노래 아시는분 마술 2011/06/22 83
663331 상품권 사기 당한거 같아요. 5 사기당 2011/06/22 1,015
663330 내일 결말 아시는분 계세요? 1 최.사 2011/06/22 686
663329 수원화성으로 여행가려고 하는데요 17 화성 2011/06/22 751
663328 씻어놓은 매실에 초파리가.... 4 급해요 2011/06/22 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