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경제단신- 점점 가난해지는 가계와 저축을 늘리는 기업

.. 조회수 : 220
작성일 : 2011-06-13 16:04:57
지난주 김광수경제연구소 <경제단신- 점점 가난해지는 가계와 저축을 늘리는 기업>의 내용입니다. 관심있는 분들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올 1분기 한국의 실질GD 성장률이 연환산치로 5.2%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체감하고 있는 경기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데

-        이에 대해 정부와 한국은행은 국민총소득이 작년3분기부터 빠르게 줄어들어 올 1분기에는 전기대비 -0.4% 마이너스를 기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음. 그런가 하면 국민처분가능소득대비 및 총저축률 및 순저축률은 지난 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2010년에 각각 32%와 21.6%는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는 듯함. 그러나 이는 경제의 분배구조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한 무지함의 증거라고 할 수 있음. 정상적인 경제라면 저축의 주체는 개인(가계)이며 투자의 주체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음.
-        각 부문별 총 저축률 추이를 보면, 개인(가계)부문은 90년대말 외환위기 전후로 총저축률이 15%넘는 수준에서 5%전후로 급감하고 있음. 개인의 총저축률 및 순저축률은 2010년에 7.3%와 3.7%까지 낮아지고 있음. 반면 기업의 총저축률은 외환위기전의 10%전후 수준에서 외환위기 이후 15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이것은 한국의 총저축률이 개인이 아니라 기업의 의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함. 기업이 투자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반면 개인의 저축률은 낮아지고 있는 것임.

이로부터 지난 90년대말의 외환위기 이후 개인(가계)는 점점 저축률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기업은 투자보다는 저축에 치중하여 총저축률이 높아지고 있는 기형적인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런가 하면 정부부문의 총 저축률은 8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에 10%를 넘었다가 다소 감소한 후 정체를 보이고 있음. 다만 2009년에는 저축률이 급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이처럼 정부부문의 총저축률이 80년대말부터 200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은 국민연금제도의 시행으로 사회보장 관련 연기금 적립이 늘어난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임.
특히 90년대말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국민연금 제도가 전 국민으로 확대되면서 기금적립이 빠르게 늘어나 정부의 총저축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2004년부터 연금 납부자가 포화상태에 이른 반면 연금 수령자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2004년부터 정부의 총저축률도 주춤하고 있음.
또 2009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대규 경기부양에 정부의 저축이 동원되면서 총저축률이 급감한 것으로 추정됨.
IP : 112.160.xxx.21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8045 13살이 아이가 고졸검정고시 합격했단 기사 읽으니요... 2 저도... 2011/06/13 660
    658044 홈쇼핑에서 전화로, 이벤트 당첨됐다고 무료로 뭐 받아가라고 해서 됐다고 끊었는데요.. 4 텔레마케팅?.. 2011/06/13 479
    658043 우습지만 개님 병수발도 힘드네요..ㅠㅠㅠ 23 하소연 2011/06/13 2,668
    658042 신용불량자 양산하는 학자금 대출 …대학생 고통만 가중 2 세우실 2011/06/13 184
    658041 임재범 10년전 결혼식 영상 화제 (뽀뽀세례) 2 .. 2011/06/13 1,564
    658040 이해 안가는 횡령사건.. 1 .. 2011/06/13 491
    658039 이소라 편곡자 이승환 인터뷰 중에서 --- 21 대공감 2011/06/13 4,440
    658038 사각턱 수술 하려고 했는데..무언가를 보고 포기 했어요 6 하아.. 2011/06/13 2,131
    658037 경제단신- 점점 가난해지는 가계와 저축을 늘리는 기업 .. 2011/06/13 220
    658036 컴퓨터 c: 드라이브에 저장한 것도 없는데요 2 꽉찬하드 2011/06/13 422
    658035 그래서 사실 최근대기업에선 면접할때 즉석에서 핸드폰을 보는경우 1 쿠웅 2011/06/13 631
    658034 '양성평등'을 주장하는 진보, '유시민-이정희 치정' 표현 낯 뜨겁다 1 뉴스페이스펌.. 2011/06/13 426
    658033 11월~2월 부모님 해외여행 어디가 좋나요? 3 방사능? 2011/06/13 417
    658032 첫인상이 너무 좋아도 문제...... 3 뚱한얼굴 2011/06/13 1,451
    658031 오리발 내미는 세입자 어떻게 하면 좋을지요? 8 집주인 2011/06/13 1,295
    658030 종합병원진료 니른해 2011/06/13 124
    658029 비빔면 중에 어떤게 젤 맛있나요 22 .. 2011/06/13 2,133
    658028 흑발청춘(샴푸식염색제) 써보신 분 계시나요? 3 염색 2011/06/13 7,968
    658027 12년된 오메가시계를 잊어버렸는데.... 6 시계추천 2011/06/13 897
    658026 남초싸이트에서의 옥주현에 대한 이야기.... 47 ^ ^ 2011/06/13 13,879
    658025 전기렌지에 알맞은 코팅후라이팬 추천 바랍니다 후라이팬 2011/06/13 263
    658024 옥주현..너무 이쁘네요 68 ㅇㅇ 2011/06/13 8,741
    658023 원전.4호기 원자로엔 연료봉이 들어있다? 8 .. 2011/06/13 760
    658022 요즘 알러지 천식 심해질 시기인가요? 4 ..... 2011/06/13 443
    658021 이곳에 알밥 보거라...블랙홀에 빠져 허우적거릴 ㄴㅗ ㅁ 알밥보아라!.. 2011/06/13 173
    658020 생일 중1딸 2011/06/13 125
    658019 몸이 너무 피곤할 때....뭘 하세요? 7 피곤 2011/06/13 1,704
    658018 로드샵구두는 수선 어디서 하세요? 길거리 구두방? 1 에공 2011/06/13 290
    658017 강남쪽에 남자 상담 세심하게 봐주시는 성형외과 있나요? 3 질문 2011/06/13 274
    658016 강남에서 지방으로 이사가면 힘든가요? 6 강남 2011/06/13 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