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전기제품을 하나하나 없애고 있는데요
요즘 전기로 쓰는 제품을 하나하나 추려내서 처분하고 있습니다.
전기밥솥. 보온물통. 큰믹서기.등등
도시생활을 하면서 전자제품을 아예 안쓸수는 없지만 최대한 안써보려고 시도해보는데...
얼마나 어느만큼 안쓸 수 있을지 의문이네요.
보온으로만 쓰던 전기밥솥을 없애고 나니 남은밥데워먹는게 참 애꿎네요
전자렌지에 돌리면 딱딱해지고 쪄먹자니 이리저리 손가고...
코드만 꽂으면 파르르 끓어오르던 전기주전자 안쓰니 일일이 데워 먹어야 하고..
큰믹서기는 안쓴다 해도 어차피 무얼 갈려면 작은믹서기라도 돌려야 하고...
아이러니한건 모든 먹거리 조리를 전기렌지로 하는데...
전기소비에 있어서 정녕 자유로울수는 없겠구나 싶은 ... 벽에 막히네요.
전기제품 안쓰고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서는 정말 불가능할까요?
이런 세세한 말푸는것도 결국은 전기의 힘을 빌어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군요. 허허~
편리를 위해 개발된 전력이 결국은 우리를 노예로 만들고 있다는 생각은 너무 과한 생각일까요?
1. ㅇ_ㅇ
'11.3.21 6:47 PM (124.5.xxx.166)차라리 전기밥솥을 두고 전자렌지를 없애시지...
2. 그래서
'11.3.21 6:52 PM (111.118.xxx.60)저는 애초에 안 삽니다.
잡다한 전자제품들 말이지요.
하지만, 그래도 둘 곳이 있으시면 그냥 두시죠.3. ㄴㅁ
'11.3.21 6:55 PM (115.126.xxx.146)최소한의 것만 갖춰 살며 또 그럭저럭 ..
전기 주전자는 보온 물통 쓰고
전자렌지는 건강을 위해서 안 씁니다...4. ㅇ
'11.3.21 6:56 PM (121.130.xxx.42)전기 안쓰면 결국 가스 쓰시잖아요.
장작 때서 밥 할 거 아니면 결국 문명의 노예가 되는 건 마찬가지죠.5. .
'11.3.21 6:58 PM (125.185.xxx.144)제일 기본 가열기구를 전기렌지 쓰시면서
전기 노예가 어떻다 하시니 참 공감이 안되네요.6. 왜
'11.3.21 6:58 PM (14.52.xxx.162)안쓰시려는지 명확한 이유가 ,,,
전 보온물통은 물때때문에 절대 안 쓰구요,전기주전자로 야채데치는것등,,많은 분야에 사용합니다,
무조건 가짓수를 줄이고 불편해하시기보다,,기능이 중복되는 애들을 줄이세요,
생할이 편하자고 만들어진 제품들이라 처음부터 없으면 모를까,있다가 없어지면 당연히 불편하죠,
지구를 살리기 위해서라면 효율적으로 줄이시는게 좋아요,
그리고 전기 안 쓴다고 다른 댜체에너지를 사용해도 어차피 지구에 좋을건 없다고 하더라구요7. 환경보호
'11.3.21 7:07 PM (122.37.xxx.2)필요한건 다 쓰시되, 안쓸때 콘센트 뽑기나 일회용품 안쓰기, 가까운곳 걸어다니기등...
다른곳에서 에너지절약 해보세요.8. 저도
'11.3.21 7:14 PM (211.33.xxx.239)전자렌지 없이 사니. 뭐 그럭저럭 살만하구요.. 커피마실때도 주전자 이용하니
별어려움이 없네여.9. ..
'11.3.21 7:17 PM (119.70.xxx.148)전기를 아예 안쓸거면 모를까..
윗분말씀처럼 아껴쓰고, 일회용품안쓰고 이런것아니면
결국 가스든 뭐든 대체되는 것들을 쓰는거잖아요.
저도 전기밥솥은 쓰지만 취사에만 쓰고, 바로 끕니다.
남은 밥은 냉동했다가 전자렌지 돌리구요..
전기를 아예 안쓰는건 무리...10. 절약
'11.3.21 7:17 PM (211.244.xxx.239)저도 전자렌지 없앤지 2주 넘었어요.
거의 가스불 이용하니 힘든거 모르겠어요.
보온물통이나 큰믹서기는 원래 없었는데
있어도 쓸때가 없네요.11. .
'11.3.21 7:29 PM (125.185.xxx.183)전기밥솥치우고 직화 압력밥솥사용한지 4년째 너무 좋아요
압력솥에 밥해 먹고 다음 식사때 압력솥 담긴째 그대로 식은밥을 약간 불조절하여 5분 데우면 새 밥같이 맛있게 먹습니다12. 5
'11.3.21 7:30 PM (180.66.xxx.106)전기렌지.쓰지말고 가스렌지 쓰세요.
그리고 전자렌지도 쓰지마세요.
전기제품 왜 안쓰려는건지 모르겠네요.
차라리 일회용품을 덜쓰거나 전기를 절약하거나
쓰레기분리수거를 열심히하고 재활용을 하는게
환경에 더 도움이되겠죠..13. 전기는..
'11.3.21 7:43 PM (203.234.xxx.3)전기는 수력, 풍력 등등으로 할 수 있는데 가스는 천연자원인 도시가스밖에 안되지 않나요?
그리고 전기는 고갈이 없지만 가스는 천연자원이라 매장량에 한계가 있을텐데요??
그리고 누진세가 무서운 거지, 단가로만 따지면 전기가 제일 싸답니다. 한달 300킬로와트 넘지 않으시면..14. 전
'11.3.21 7:46 PM (14.52.xxx.162)주방에서 쓰는 가스가 주부들의 폐암의 원인이고 치매의 원인도 된다는데,,차라리 가스를 쓰지 마시지요,
15. 전기제품
'11.3.21 8:09 PM (219.241.xxx.239)없애시는 이유는 모르겠지만 저는 전기밥솥 안 쓴지 몇달 됐는데 우선 전기밥솥을 안 쓰니까 전기세가 한달에 만원 가까이 줄어들었어요.
그걸 보니 고무 되어서 커피포트도 가급적 사용을 줄이고(전자렌지는 원래 잘 안 썼고...)
슬로쿠커도 잘 안 쓰고 있네요..16. *
'11.3.21 9:24 PM (203.234.xxx.2)전기 관련 일 하시는 분꼐 들었는데 전기밥솥, 포트를 비롯해서
전열 기구가 전력 소모 제일 크다고 합니다.
소비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 시스템을 바꾸는 노력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고 봐요.
지금 같은 문명에서 의미 있을 정도로 소비를 줄이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의문이 들 때가 많거든요.
지구에 여전히 부담을 준다고 해도 대안에너지 개발에 힘을 보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봐요.